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5/19 글 목록

2025/05/19 15

인체를 괴롭히는 곰팡이 - 피부사상균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고대로부터 인간의 피부에는 곰팡이 종류(진균류)가 증식하여 잘 치료하기 어려운 피부병을 일으켜왔다. 우리 조상은 이런 피부병을 통칭하여 백선(白癬)이라 불러왔다. 미생물학이 발전하면서 백선을 일으키는 원인이 피부사상균(dermatophyte)이라는 곰팡이 종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도 전 인류의 약 20%는 피부사상균에 감염된 피부병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피부사상균 피부병은 치료가 힘들고 재발한다.​ 농작물 병충해를 막아주는 농약은 살충제와 살균제 두 가지로..

과학 상식 2025.05.19

침입종 취급받던 도마뱀, 알고 보니 토착종…AI가 뒤집은 분포 이론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1400만 년 전 신종 도마뱀 화석 분석 발표AI 식별 기법, 고생물학 연구에 실질적 활용 사례 ​남미 원산의 대형 도마뱀 ‘테구(tegu)’는 1990년대 애완동물 거래를 통해 미국에 유입된 이후, 플로리다 생태계를 위협하는 외래종으로 분류됐다. 번식력과 생존력이 강해 토착 파충류를 밀어내는 대표적인 침입종(invasive species)으로 알려져 있다.​하지만 최근 플로리다 자연사박물관(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연구진은, 테구가 과거..

과일·채소에서 타이어 성분 검출···마모 입자 농작물까지 침투한다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스위스 연구진, 식품 공급망 통한 미세화학물질 이동 실증동물 실험에서는 생식 및 신경계 독성 보고 ​우리가 매일 먹는 과일과 채소가, 도로 위에서 마모된 타이어의 화학물질을 머금고 있을 수 있다면? 미세먼지와 대기오염은 흔히 ‘숨쉬는 문제’로만 여겨져 왔지만, 최근 연구는 이 오염이 식탁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타이어 마모로 발생한 미세 입자가 공기 중에 퍼지고, 비와 함께 땅으로 내려앉은 후, 토양과 물을 통해 농작물로 흡수된다는 것이다. 이 가설은 이제 단순..

화성 지하에서 바다 규모의 물 흔적 발견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화성 지하 5.4~8km 깊이에 저속층 확인다공성 암석에 물이 채워진 대수층으로 해석돼 생명체 존재 가능성, 미래 자원 활용 측면 주목​화성은 한때 물이 흐르던 행성이었다. 지금은 메마른 붉은 지형만 남아 있지만, 과거에는 강과 호수가 존재했으며, 표면 곳곳에 물이 만든 흔적들이 남아 있다. 그렇다면 그 물은 다 어디로 갔을까? 일부는 극지방의 얼음이 되었고, 일부는 광물에 흡수되었으며, 일부는 대기와 함께 우주로 흩어졌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정설이다.​하지만 이런 설명만으로는..

과학 상식 2025.05.19

자율주행 트럭 달린다···美 텍사스서 세계 첫 상업 운행 돌입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미국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오로라(Aurora) 운행 시작 운전석 비운 채 480km 고속도로 주행… 화물 운송 계약 기반 서비스​자율주행 기술이 대형트럭 분야에서 상업 운행 단계에 진입했다. 그동안 승용차 중심의 시험 운행과 기술 검증에 머물렀던 자율주행 시장이, 이제는 물류 산업을 중심으로 실제 서비스에 돌입한 것이다. 미국의 자율주행 스타트업 오로라(Aurora)는 텍사스주 고속도로에서 운전석에 사람이 없는 상태로 화물을 운송하는 자율주행 트럭 서비스를 시작했다. 단순..

원소주기율의 법칙 발견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멘델레예프의 원소 주기율 법칙 발견 1860년대에 이르자, 화학자들은 그 동안에 원소의 종류를 60가지 이상 찾아냈고, 그 중 많은 원소에 대해서는 성질도 얼마큼 알게 되었다. 이 시기에 러시아의 화학자 멘델레예프(Dmitri Mendeleev 1834-1907)는 그의 나이 35세 되던 1869년까지 알려진 61종의 원소의 원자무게(오늘날은 ‘원자량’이라 부름)와 각 원소의 성질을 카드에 적어 분류해보았다. 그는 카드를 원자무게와 성질에 따라 정리해본 결과, 원소들에게 주기..

과학 상식 2025.05.19

원소기호의 창안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원소기호의 창안과 동소체의 발견 원자론을 발표한 돌턴은 원자를 동그라미 모양으로 나타냈다. 이때 스웨덴의 화학자 베르셀리우스(Jöns Jacob Berzelius 1779-1848)는 각 원소를 간단히 나타내는 기호를 사용하자고 제안했다. 즉 그는 원소의 라틴어 이름에서 머리글자를 따서 간단히 표시하는 ‘원소기호’를 창안한 것이다. 이후 그의 제안에 따라 원소만 아니라 화합물의 이름까지 기호(화학식)로 표시하게 되었다.예를 들면 산소(Oxygen)는 O로, 수소(Hydroge..

과학 상식 2025.05.19

돌턴의 원자설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18세기에 발표한 돌턴의 원자설 코페르니쿠스가 1543년에 라는 지동설(地動說)을 주장하는 책을 내놓은 때로부터 유럽에서는 과학혁명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초기에 과학혁명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모두 귀족들이었다. 그들은 과학연구를 명예롭게 생각했으며, 그들에 의해 이루어진 과학혁명은 암흑세계이던 중세를 근대로 바꾸어놓기 시작했다. 중세기의 많은 유럽 학자들은 예부터 내려오는 전설을 실현시켜보려고 무척 노력하고 있었다. “현자(賢者)의 돌을 찾아내면 그것으로 고귀한 금이나 은을 만..

과학 상식 2025.05.19

데모크리토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원자설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데모크리토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원자설 오늘날에는 지극히 작은 원자의 세계에 대해 상당히 많은 것을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10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원자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었으니, 2,000년도 더 전에는 어떤 생각을 가졌을까? 옛 사람들은 원소라는 개념이 없었지만, 고대 이집트 시대에 이미 숯(탄소), 황, 금, 은, 구리, 수은, 납, 주석, 철 등의 원소를 알고 있었다. 세상 만물의 구성 요소에 대해 처음 생각한 사람은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 자연철학자 데모크리..

과학 상식 2025.05.19

지구 환경의 파수꾼 산호와 산호초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없애주는 산호(珊瑚)와 산호초(珊瑚礁) 오늘날 세계는 산호를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산호는 동물학상 말미잘이나 해파리와 가까운 무리(Ctenophora)에 속하며, 종류가 다양하다. 산호가 사는 주변에는 물고기와 해조(海藻)들이 함께 어울려 살기 때문에 표현하기 어렵도록 아름다운 수궁(水宮)을 형성한다. 산호는 석회화 생명체로서 지구상에 생물량이 최다(最多)인 무리에 속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대규모로 감축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

과학 상식 202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