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5/22 글 목록

2025/05/22 14

지구 밖에서 본 첫 오로라···퍼시비어런스가 화성에서 기록한 빛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밤하늘을 물들이는 오로라는 지구 극지방에서나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우주 현상이다. 태양에서 방출된 고에너지 입자가 지구 자기장에 끌려 대기 입자와 충돌하며 만들어지는 이 빛은, 단순한 자연의 장관을 넘어 우주 환경과 대기 구조를 설명하는 단서로 여겨진다.​그렇다면 자기장이 거의 없는 행성에서는 오로라가 어떻게 나타날까?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로버 퍼시비어런스(Perseverance)는 이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화성에서 포착했다. 과학자들은 화성 하늘에 퍼지는 녹색 빛을 기록했고, 그 원인..

워커홀릭, 예민해지는 성격? 과학적 이유 있었다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MRI로 본 장시간 노동의 신체화집중력과 의사결정-감정·사회적 기능까지 영향 ​김씨(40대, 병원 근무)는 요즘 자신이 달라졌다는 걸 부정하기 어렵다. 회의 중 후배가 건넨 평범한 질문에 목소리가 높아지고, 익숙한 실수 하나에도 눈살이 먼저 찌푸려진다. 전에는 "괜찮아, 다음엔 조심하자"며 넘기던 상황에서, 이제는 말보다 표정이 먼저 반응하고, 말보다 먼저 감정이 올라온다.​최근 들어선 퇴근 후에도 일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고, 자고 나도 개운하지 않다. 작은 일에도 짜증이 나고, 때때로 자신이 왜 그런..

과학 상식 2025.05.22

생명 기원의 새 학설 - 마이크로 번개(microlightning) 이론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태초의 지구는 물 분자 하나 없는 고독한 불덩어리 천체였다. 수억 년이 지나 지구가 냉각되면서 바다가 생겨나고 드디어 생명체가 나타났다. 최초의 생명체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생명의 기원(abiogenesis)에 대한 엄청난 의문에 대해 정확히 설명하는 과학자는 아직 아무도 없다. 그동안 제기된 생명의 기원에 대한 몇 가지 이론에 추가하여, 지난 2025년 5월 14일에 발행된 힉술지 에는 ‘마이크로 번개’가 최초의 생명체를 탄생시켰을 것이라는 새로운 이론과 그를 입증하는 실험결과가 발표되었다.​ 생명의..

과학 상식 2025.05.22

'치즈냥이', 오렌지 컬러 고양이는···X 염색체 돌연변이 때문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노란 줄무늬 고양이, 일명 '치즈냥이'는 한국에서도 유난히 사랑받는 색상의 반려묘다. 그런데 이 노란 털을 가진 고양이들은 대부분 수컷이고, 같은 종이라도 암컷은 희귀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까? 반면, 주황색과 검정색이 뒤섞인 삼색 고양이는 대부분 암컷이다.​이런 색 분포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고양이의 성별과 관련된 유전자 때문이라는 주장이 오랫동안 제기돼 왔다. 특히 X 염색체에 관련 유전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돼 왔지만, 그 실체는 수십 년간 밝혀지지 않았다.​최근 일본 큐슈대학 연구팀은 이 현상..

달 앞면이 더 뜨겁다…맨틀 내부 열 비대칭 확인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달 앞면과 뒷면이 지질학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그 차이가 내부 깊숙한 곳까지 이어진다는 수치적 증거는 이번에 처음으로 확인됐다. NASA의 GRAIL(중력 회복 및 내부 구조 실험) 탐사선이 수집한 중력장 데이터를 분석한 국제 연구진은, 지구 중력에 따른 달의 조석 변형 반응을 정밀 분석해 맨틀 내부의 열적 비대칭 구조를 입증했다.​이번 연구의 핵심은 러브 수(Love number)로 불리는 조석 반응 계수 가운데 하나인 k₃ 값이다. 연구진은 이 값을 0.0163으로 산출..

산소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산소(酸素 Oxygen, O)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8󰋯 족:16족(2주기)󰋯 원자량:15.9994󰋯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6󰋯 밀도:기체(1.429 g/L), 액체(1.141 g·cm-3)󰋯 mp:-218.4℃ / 󰋯 bp:-183℃ ​산소의 성질​호흡할 때 드려 마시는 공기의 5분의 1(20.8%)은 산소이다. 산소는 우주에 수소와 헬륨 다음으로 많이 존재하며, 지구상에서는 지각 구성 물질로서 가장 많은 49.2%를 차지한다. 산소는 공기 중에서는 기체로, 물에서는 ..

과학 상식 2025.05.22

에어백의 기체는 질소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에어백을 순간에 팽창시키는 기체는 질소 자동차의 에어백은 충돌사고 때 운전자와 승객을 보호하는 중요한 안전장치인데, 이 에어백에는 ‘아지트화나트륨’(NaN3, sodium azide)이라는 질소화합물이 담겨 있다. 이 화합물은 충격을 받으면 순식간에 엄청난 양의 질소 가스를 방출하여 플라스틱 주머니를 팽창시킨다. 1967년에 미국 크라이슬러 회사가 처음 자동차에 사용한 에어백은 오늘날 대부분의 차와 모터사이클 등에 장착하고 있다. 2NaN3 --> 2Na + 3N2 에어백은 앞에 설치하는 것, ..

과학 상식 2025.05.22

질소 고정 미생물의 신비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질소비료를 합성하는 미생물​​질소는 생명체의 단백질이라든가 핵산을 구성하는 원소로서 중요하다. 질소는 화학 반응성이 적지만, 자연계의 뿌리혹박테리아와 남조류(藍藻類) 같은 일부 생명체는 질소 화합물을 스스로 합성하는 방법을 진화시켰다. 생물체가 공기 중의 질소를 비료가 되도록 반응시키는 것을 ‘질소 고정’(nitrogen fixation)이라 한다. 번개가 번쩍일 때는 공기 중의 질소가 고정(질소비료화)된다. 번개가 치면 초고압 전류에 의해 번개 주변이 고온으로 되고, 고온 에너지에 의해 질소와 산소가..

과학 상식 2025.05.22

질소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질소(窒素 Nitrogen, N)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7󰋯 족:15족(2주기)󰋯 원자량:14.01󰋯 밀도:기체(1.251 g/L), 액체(0.808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5󰋯 mp:-210℃ / 󰋯 bp:-195.8℃ ​질소의 성질 ​질소 원소는 주기율표에서 제15족 제일 윗자리를 차지한다. 질소는 대기의 78%(산소 양의 약 4배)를 차지하는 기체이다. 질소는 색, 맛, 냄새가 전혀 없으며, 화학적인 활성이 비교적 적다. 인체는 호흡할 때 질소를 대량..

과학 상식 2025.05.22

탄소 원소의 성질과 용도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탄소(炭素 Carbon, C)의 화학적 성질​ 󰋯 원자번호:6󰋯 족:14족(2주기)󰋯 원자량:12.01󰋯 밀도:3.51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4󰋯 mp:3,570℃ / 󰋯 bp:4,827℃ 숯과 흑연과 다이아몬드가 탄소라는 것은 잘 알려진 상식의 하나이다. 지구에는 탄소가 0.09%뿐이지만, 모든 생명체의 몸을 구성하는 기본 원소는 탄소이다. 즉 식물이나 동물체를 이루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호르몬, 효소, 섬유소 등의 주성분이 모두 탄소이다. 놀랍게도 우리 몸은..

과학 상식 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