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태그의 글 목록

이산화탄소 28

구리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구리(Copper, Cu)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29󰋯 족:11족(4주기)󰋯 원자량:63.546󰋯 밀도:8.94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1󰋯 mp:1084.62℃ / 󰋯 bp:2562℃ 독특한 색을 가진 구리는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함 금속이다. 전선 속에는 모두 구리선이 들었고, 수도관이라든가 보일러관은 구리로 만든 관이 많다. 구리 전선은 지구를 동그란 실타래를 칭칭 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구리가 전기와 열을 가장 잘 전..

과학 상식 2025.05.27

탄소 원소의 성질과 용도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탄소(炭素 Carbon, C)의 화학적 성질​ 󰋯 원자번호:6󰋯 족:14족(2주기)󰋯 원자량:12.01󰋯 밀도:3.51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4󰋯 mp:3,570℃ / 󰋯 bp:4,827℃ 숯과 흑연과 다이아몬드가 탄소라는 것은 잘 알려진 상식의 하나이다. 지구에는 탄소가 0.09%뿐이지만, 모든 생명체의 몸을 구성하는 기본 원소는 탄소이다. 즉 식물이나 동물체를 이루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호르몬, 효소, 섬유소 등의 주성분이 모두 탄소이다. 놀랍게도 우리 몸은..

과학 상식 2025.05.22

이산화탄소를 감축해주는 석회화 생명체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굴, 조개, 소라, 산호의 석회질 성분은절반이 이산화탄소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기 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생명체는 광합성을 하는 녹색식물 뿐인 것으로 안다. 그러나 바다에 사는 조개, 굴, 소라, 산호, 게, 새우, 크릴 등은 물속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들의 몸을 보호하는 탄산칼슘 뼈대를 만들고 있다. 석회 껍데기를 가진 이런 동물 무리를 '석회화 동물'이라 부른다. 인간을 포함한 척추동물의 뼈 주성분도 탄산칼슘이다.​물속에 막대한 양의 석회화 동물이 살..

과학 상식 2025.05.19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화학적 방법 있을까?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화학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연구 미국 카네기연구소의 기상학자인 캘데이러(Ken Kaldeira)는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듯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화학적으로 흡수하는 ‘인공나무’ 같은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 광합성을 인공적으로 하면 이상적인 방법이 되겠지만 매우 어려운 연구로 보인다.​컬럼비아 대학의 클라우스 래크너(Klaus Lackner) 교수는 수산화나트륨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입하는 집탄(集炭) 시설 모형을 대형으로 만들어 실험하고 있다. 그는 잠수함이나 우..

과학 상식 2025.05.15

애그리볼테익스(Agrivoltaics 영농광전기공학)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태양 에너지로부터 직접 전력을 얻기 위해 태양전지판을 불모지(不毛地)인 사막과 늪지대, 호수, 산야, 건물의 지붕, 창가와 벽, 고속도로 좌우, 주차장 등에도 세우고 있다. 근년에는 양과 소를 사육하는 목장과 농경지에 대규모 태양발전소를 설치하고 있다. 농업생산도 하고 동시에 전력생산도 하는 영농광전기공학을 ‘애그리볼테익스’라 한다. ​agrivoltaics의 agri는 agriculture(농업)에서, voltaics는 photovoltaics에서 따온 말이다. photovoltaics는 태양에너지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발전공학 ..

과학 상식 2025.05.14

빙하기는 언제 왜 있었나?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과거에 적어도 5차례 빙하기가 지나갔다 어떤 이유 때문인지 과학자들조차 알지 못하지만, 24억 년 전에 최초의 빙하기가 찾아왔다. 빙하기를 맞으면서 두 가지 큰 변화가 일어났다. 첫째는 기온과 수온이 낮아짐으로, 해수 속에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해수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고, 반면에 대기 중에서는 감소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이산화탄소가 수온이 낮은 물에 더 많이 용해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대기 중에서는 이산화탄소가 더욱 감소하여 기온이 내려가기도 했다. 두 번째는, 해수 속에 증가한 이산화탄소는 물과 ..

과학 상식 2025.05.14

강력한 자연재난의 종류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구상에 나타나는여러 가지 자연 재해의 종류 자연재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현상들을 두고 말한다. 이런 자연재해 중에는 지구온난화가 원인이 되어 빈도와 강도가 심해지는 것이 있다. 1. 화산폭발:화산지대를 따라 화산폭발이 수시로 일어나며, 그때마다 큰 피해를 입는다. 2. 지진:지각이 뒤틀림에 따라 발생하는 지진 역시 수시로 발생한다. 지진은 때로 해일이 발생하게도 한다. 3. 산사태(landslide):지진이나 화산 폭발 등으로 비탈면이 대규모로 무너져 내리는 사고이다. 이런 산사태가 해변에서 일어나면 해일을 일으킬 수 있다...

과학 상식 2025.05.14

온실가스가 상승시킬 기온의 정도는?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온실가스 21세기에최고 섭씨 2.4 ~ 6.4도 상승 가능​수백만 년 눈이 쌓인 빙하 속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사한 과학자들은, 지난 80만년 동안에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이 일정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초부터 본격적으로 상승이 시작된 평균기온은 1980년대까지 0.8℃ 정도 올라 있었다. 지구는 이 정도의 기온 변화에도 예측이 어려운 기상변화를 일으킨다. 기온이 섭씨 2도 더 오른다면 지구상의 기후는 인간이 어디에 살든 생존에 위기를 가져올 것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는 2007년의 보고서에서,..

과학 상식 2025.05.14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적정 농도는?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위험선은 어디일까?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때는 오염이 가장 적다고 생각되는 남극과 북극, 하와이 섬의 산정(山頂) 등에서 실시한다. 과학자들이 수십만 년 전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때는 남극이나 그린란드의 두터운 빙하에 구멍을 뚫어 얼음 틈새에 포함된 공기를 조사하면 된다. 빙하의 얼음은 수백만 년 동안 쌓여온 것이기 때문이다. 빙하의 얼음이 퇴적된 연대는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으로 알 수 있다. 과거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 1. 5억 년 전:약 6% (지금의 20배 농도..

과학 상식 2025.05.12

대기의 산소 농도는 얼마가 최적인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대기의 산소 농도 21%가 최적인 이유? 공기의 성분을 보면, 질소가 78.09%, 산소가 20.95%, 아르곤 0.93%, 이산화탄소가 0,039%이고, 이 외에 수증기가 약 1% 포함되어 있다. 산소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산소를 호흡하지 못한 인간은 5분을 견디기 어렵다. 뇌 세포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의식을 잃어버리고, 모든 세포의 생리적 활동이 중단되어 버린다. 2014년 세월호 침몰사건 때 인명 구조 요원들이 사용한 잠수용 탱크에는 산소가 아니라 일반 공기를 압축한 압축공기를 채운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산소탱..

과학 상식 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