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질량' 태그의 글 목록

질량 5

돌턴의 기체에 대한 '부분 압력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기체에 대한 돌턴(Dalton)의 '부분 압력의 법칙’  고무풍선 속에 공기를 집어넣으면, 기체의 압력 때문에 풍선은 팽팽하게 부풀어 오른다. 만일 팽팽한 풍선을 냉장고에 넣어둔다면 풍선의 크기는 작아진다. 그렇다고 풍선 안에 든 기체의 질량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 다만 풍선 속 기체 분자들의 운동 속도가 줄어들어 압력이 낮아졌을 뿐이다. 증기기관이나 보일러의 뜨거운 수증기가 높은 압력을 가진 것은 고온이기 때문이다. 영국의 돌턴(John Dalton 1766-1844)은 시골에서 태어난 아마추어 과학자였다. 특히 ..

과학 상식 2025.03.24

기체의 부피 변화에 대한 '보일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기체의 부피 변화에 대한 ‘보일의 법칙’  스킨다이버가 잠수할 때 등에 지고 들어가는 공기 탱크라든가, 프로판가스 탱크에는 높은 압력으로 채운 기체가 들어 있다. 같은 크기의 용기이지만 압력이 강하면 더 많은 기체를 담을 수 있다.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로버트 보일(Robert Boyle, 1627-1691)은 스스로 만든 성능 좋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기체에 대한 여러 가지 실험을 했다. 그는 공기의 부피와 압력 사이에, 오늘날 '보일의 법칙'(Boyle's Law)이라 불리는 원리가 있음을 발견하고, ..

과학 상식 2025.03.20

질량의 측정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실제로 질량을 측정하는 데는 천칭을 사용한다. 질량이 무게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하려는 물체의 무게를 이미 질량을 알고 있는 저울추의 무게와 비교하여 그 물체의 질량을 잰다(그림 22).​보통은 그보다도 용수철저울 등을 사용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간접적으로 질량을 구하는 일이 많다. 이미 말했듯이 용수철저울은 무게, 즉 중력의 크기를 재는 장치다. 그리고 무게는 (mg= W)에 제시돼 있듯이 질량과 중력가속도의 크기를 곱한 값과 같다. 중력가속도는 일정하며 980㎝/(초)2이므로, 무게로부터 질량이..

과학 상식 2025.03.13

질량(mass)과 중량(weight)은 어떻게 다른가?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달 표면에 내리면 자신의 몸무게가 지구에서보다 약 6분의 1로 감소하는 것은 달의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이기 때문이라는 것은 모두 알고 있다. 달에 가더라도 몸을 구성하는 물질의 양(질량)은 줄지 않았다, 다만 중력이 약하게 작용하여 체중(중량)이 가벼워진 것이다. ​일반인들은 대부분 kg이라는 단위를 붙여 물체의 무게를 말하며, 질량(質量)과 중량(重量)을 같은 뜻으로 알고 살아가지만, 과학적 사고를 해야 하는 사람이라면 이 두 언어의 차이를 확실히 구분한다. 질량과 중량 두 말은 모두 무게를 나타내지만 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질량(質量)이란?파인애플 1개나 야구 방망이의 질량은 약 1kg이..

과학 상식 2025.01.22

우주를 움직이는 4가지 기본 힘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우주에 존재하는 가장 거대한 은하에서부터 원자를 이루는 가장 작은 입자들까지, 세상 만물은 정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도 어떤 힘에 의해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 태양과 지구 사이에는 중력이 작용하고, 자석은 쇠붙이를 끌어당기거나 밀거나 한다. 물질을 구성하는 수많은 원자들은 강력에 의해 서로 결합해 있다. 또한 원자의 핵이 깨어지면 약력이라는 거대한 힘이 발생한다.    중력이라는 힘의 성질중력을 설명할 때는 가속도라는 용어가 따라다닌다. 속도(速度 velocity)와 가속도(加速度 accelerration)는 다르다. 비행기는 속도가 빠르다. 만일 비행기가 같은 속도(등속도)로 비행하고 있다면, 그 비..

과학 상식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