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항성' 태그의 글 목록

항성 3

카이퍼 벨트와 명왕성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명왕성(Pluto)이라는 소행성은 해왕성(Neptune)보다 더 멀리 떨어진 ‘카이퍼 벨트’(Kuiper belt)라 부르는 공간을 운행하는 9번째로 큰 태양계의 가족이다. 카이퍼 벨트란 어디를 말하며, 명왕성은 왜 행성의 지위를 잃고 소행성으로 밀려나게 되었는가?​ 카이퍼벨트는 태양에서 약 30-50AU 떨어진 공간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1억 5,000만km이고, 이 거리를 천문학에서는 1AU(astronomical unit 천문단위)라 한다. AU는 태양계에 속하는 천체들 사이의 거리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되며, ‘광년’이..

과학 상식 2025.04.03

티코 브라헤의 '천체 변화설'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관측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의 '천체 변화설'  덴마크의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Tycho Brahe, 1546-1601)는 귀족의 자녀로 탄생했다. 젊은 시절 그는 태양의 일식 현상을 관측하게 되면서 정치가의 꿈을 버리고 천문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덴마크의 프레데릭 2세 왕이 세운 궁정천문대의 관리자가 된 그는, 망원경이 아직 발명되지 않았던 시대에 여러 가지 천체관측장비를 직접 제작하여, 맨눈으로 별들의 위치를 당시로서 매우 정확하게 777개나 기록한 최초의 관측 천문학자가 되었다.   그는 행성(行星)..

과학 상식 2025.03.19

우주에 새겨진 긴 꼬리, 정체는 뭘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붙박이별(항성·恒星)에서 방출된 항성풍(별의 외곽 대기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입자의 흐름)이 행성을 스치며 남긴 흔적이 관측됐다.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인 WASP-69 b의 대기는 항성풍의 영향을 받아 길게 늘어진 가스 꼬리를 형성하며, 별과 행성 간의 독특한 상호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NASA는 이 모습을 최근 미국 천문학회(American Astronomical Society)의 공식 학술지 Astrophysical Journal (ApJ)에 발표된 논문을 통해 공개했다.​뜨거운 목성의 대기, 우주에 꼬리를 ..

과학 상식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