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주에 새겨진 긴 꼬리, 정체는 뭘까?

과학 상식

우주에 새겨진 긴 꼬리, 정체는 뭘까?

sciencewave 2025. 2. 17. 17:20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붙박이별(항성·恒星)에서 방출된 항성풍(별의 외곽 대기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입자의 흐름)이 행성을 스치며 남긴 흔적이 관측됐다.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인 WASP-69 b의 대기는 항성풍의 영향을 받아 길게 늘어진 가스 꼬리를 형성하며, 별과 행성 간의 독특한 상호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NASA는 이 모습을 최근 미국 천문학회(American Astronomical Society)의 공식 학술지 Astrophysical Journal (ApJ)에 발표된 논문을 통해 공개했다.

뜨거운 목성의 대기, 우주에 꼬리를 새기다

WASP-69 b는 '뜨거운 목성(Hot Jupiter)'으로 불리는 외계 행성이다. 중심 항성을 가깝게 공전하며 극한의 환경을 겪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이 행성의 대기는 항성에서 나오는 강렬한 방사선과 항성풍에 의해 탈출하며 행성 뒤로 길게 늘어진 가스 꼬리를 형성한다.

 

 

지구에서 약 160광년 떨어진 WASP-69 b는 중심 별 가까이에서 뜨거운 궤도를 돈다. 이 과정에서 행성 뒤로 길게 늘어진 가스 꼬리가 형성되는데, 혜성의 꼬리와 비슷한 모습을 띠고 있다.

NASA Science [사진=science.nasa.gov]

이 가스 꼬리는 행성 반지름의 7.5배 이상, 약 35만 마일(56만 km)에 달하며 이는 지구에서 달까지 거리의 약 1.5배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관측 당시 제한된 시간 때문에 꼬리의 전체 길이를 파악하지 못했으나, 실제 길이는 훨씬 더 클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연구를 이끈 UCLA 다코타 타일러(Dakotah Tyler)는 "이 가스 꼬리는 항성과 행성 대기의 상호작용을 생생히 보여준다"면서 "행성은 단순히 대기를 잃는 것이 아니라, 항성풍에 의해 대기가 우주 공간에 조각된다"고 설명했다.

대기를 탈출시키는 우주의 힘

WASP-69 b는 강력한 방사선으로 인해 대기의 외곽층이 가열되는 광증발(photoevaporation) 현상을 겪고 있다. 이 과정에서 수소와 헬륨과 같은 가벼운 입자들이 우주로 탈출한다. 그러나 이 가스는 고르게 퍼지지 않고 항성에서 방출되는 항성풍(stellar wind)에 의해 휩쓸리며 꼬리 모양으로 정렬된다.

 

항성풍은 별의 대기(코로나)에서 방출되는 전하를 띤 입자의 흐름으로, 행성 대기를 직접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지구에서는 태양풍이 지구 자기장과 상호작용해 오로라를 만들지만, WASP-69 b에서는 항성풍이 가스를 끌고 가며 꼬리를 형성한다.

관계자는 이를 '항성풍이 그려내는 우주 스냅샷'으로 묘사하며, "탈출한 대기가 항성풍의 방향과 강도에 따라 다르게 조각되기 때문에 꼬리는 계속 변화한다"고 말했다.

 

 

 

변화무쌍한 꼬리의 형성 과정

연구에 따르면, 항성풍이 약해지면 가스는 행성 주위에서 대칭적으로 흩어져 꼬리가 형성되지 않는다. 반대로 항성풍이 강할수록 대기는 더 길고 뚜렷한 꼬리로 변한다. 이와 같은 변화는 항성과 행성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행성 뒤로 늘어진 가스 꼬리는 혜성의 꼬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되지만, 차이점도 있다. 혜성은 태양풍과 반응하며 꼬리를 형성하는 반면, WASP-69 b의 꼬리는 항성의 지속적인 바람과 대기의 탈출 속도가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WASP-69 b가 별 주위를 돌고 있는 모습 [사진=astronomy]

 

지구 질량 7배를 잃었지만 여전히 생존 중

WASP-69 b는 초당 약 20만 톤의 대기를 잃고 있으며, 이는 10억 년에 걸쳐 지구 질량과 맞먹는 양이다. 이 행성이 속한 태양계는 약 70억 년 된 것으로 추정되며, 지금까지 약 7개의 지구 질량에 해당하는 대기를 잃은 것으로 계산된다. 하지만 WASP-69 b는 여전히 안정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대기 소실 속도는 느리게 진행되며, 행성의 완전한 증발 가능성은 매우 낮다. 오히려 이 현상은 외계 행성과 항성 간의 관계를 연구할 귀중한 실험실로서의 역할을 한다.

한편 이번 연구는 Keck II 망원경의 근적외선 분광기(NIRSPEC)를 통해 이루어졌다.

 

 

 

 

삼투, 역삼투, 해수 담수화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삼투와 반투성막​지렁이를 바닷물 속에 넣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