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화석연료' 태그의 글 목록

화석연료 7

탄소 원소의 성질과 용도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탄소(炭素 Carbon, C)의 화학적 성질​ 󰋯 원자번호:6󰋯 족:14족(2주기)󰋯 원자량:12.01󰋯 밀도:3.51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4󰋯 mp:3,570℃ / 󰋯 bp:4,827℃ 숯과 흑연과 다이아몬드가 탄소라는 것은 잘 알려진 상식의 하나이다. 지구에는 탄소가 0.09%뿐이지만, 모든 생명체의 몸을 구성하는 기본 원소는 탄소이다. 즉 식물이나 동물체를 이루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호르몬, 효소, 섬유소 등의 주성분이 모두 탄소이다. 놀랍게도 우리 몸은..

과학 상식 2025.05.22

미래의 화석연료 종류와 매장량?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새로 개발되는 미래의 화석연료 종류와 매장량 오늘날 여러 나라는 더욱 깊은 지층에 매장된 석유자원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 종류를 크게 나누면 프리-솔트오일(pre-salt oil), 오일샌드(oil sand), 셰일오일(shale oil), 오일셰일(oil shale) 4종이 있다. 이름이 비슷하지만 각각은 매장 지층과 성분에 차이가 있다. 1. 프리솔트 오일(pre-salt oil)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 앞바다 약 2,900km 거리의 대서양에는 축구장보다 더 큰 시추선..

과학 상식 2025.05.15

화석연료 얼마나 남아 있을까?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원유와 천연가스의 형성 과정과화석연료의 재고량​ 원유를 만든 것은 미생물이었다 석탄과 달리 석유와 천연가스를 만들어낸 것은 바다에 살던 규조(硅藻)를 비롯한 몇 가지 무리의 하등한 단세포식물(식물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이었다. 수억 년 전, 수명을 다한 이들이 죽어 해저에 쌓이면 침전물인 진흙과 함께 퇴적되었다. 유기물(동식물 플랑크톤)과 진흙이 함께 섞인 것을 케로젠(kerogen)이라 하는데, 이 케로젠이 수억 년 동안 쌓여 있다가 지각변화에 의해 장기간 열과 압력을..

과학 상식 2025.05.15

애그리볼테익스(Agrivoltaics 영농광전기공학)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태양 에너지로부터 직접 전력을 얻기 위해 태양전지판을 불모지(不毛地)인 사막과 늪지대, 호수, 산야, 건물의 지붕, 창가와 벽, 고속도로 좌우, 주차장 등에도 세우고 있다. 근년에는 양과 소를 사육하는 목장과 농경지에 대규모 태양발전소를 설치하고 있다. 농업생산도 하고 동시에 전력생산도 하는 영농광전기공학을 ‘애그리볼테익스’라 한다. ​agrivoltaics의 agri는 agriculture(농업)에서, voltaics는 photovoltaics에서 따온 말이다. photovoltaics는 태양에너지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발전공학 ..

과학 상식 2025.05.14

이산화탄소 대량 발생 요인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인위적인 이산화탄소 발생 요인은화석연료 사용이다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물 다음으로 많은 9~26%를 차지하여 ‘온실가스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다. 그러나 식물은 이산화탄소로 광합성을 하여 생존하고, 인간과 다른 동물은 식물이 광합성으로 만든 영양분을 취하고 있으니, 이산화탄소에게 '주범'이라는 말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그런데도 온실효과의 원인을 물 때문이라 하지 않고, 이산화탄소, 메탄, 오존과 같은 ‘온실가스’ 탓이라고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산화탄소는 자연적으로 막대한 양이 발생하고 있지만(인위적인 이..

과학 상식 2025.05.12

시멘트 공장에서는 왜 이산화탄소가 대량 발생하는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시멘트 생산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2010년의 통계에 의하면, 전 세계 시멘트 총 생산량은 33억톤이었다. 이 중에 18억톤을 중국이, 인도가 2억 2,000만톤, 미국은 6,350만톤, 한국은 전체의 1% 정도를 생산했다. 시멘트를 제조할 때는 석회석(탄산칼슘)을 1,000℃ 정도로 가열해야 하므로 화석연료를 대량 소비하게 되고, 동시에 상당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CaCO3 --> CaO(생석회) + CO2 그 결과 1,000kg의 시멘트를 생산하면 900k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데, 그 절반은 화석연료가 연소하여 나오는 ..

과학 상식 2025.05.12

굴뚝 검댕이 기온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발전소와 공장 굴뚝 연기 속의 검댕은기온상승에 이산화탄소의 55% 영향​촛불이라든가 석유난로가 불완전 연소하면 심하게 검댕(그을음)이 나온다. 화석연료나 목재를 태우면 굴뚝으로부터 대량의 이산화탄소와 몇 가지 공해가스, 그리고 미세한 재(검댕)가 방출된다. 검댕은 화석연료가 불완전 연소함에 따라 발생한다. 공장 연기와 검댕은 60~70년대까지 대기를 지나치게 오염시켜 큰 공해였다. 다행히 분진(粉塵)을 제거하는 집진(集塵)과 황 및 질소 성분을 처리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공해가스만 아니라 검댕까지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눈에 ..

과학 상식 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