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동물성 플랑크톤은 신비한 생명체

과학 상식

동물성 플랑크톤은 신비한 생명체

sciencewave 2025. 2. 17. 16:37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육상에 사는 동물의 종류와 생태는 많이 알려져 있지만, 물속의 미세한 동물들 즉 플랑크톤(부유생물)으로 분류되는 생명체들의 모습과 생태는 거의 알려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없다면 바다에는 조개와 새우에서부터 오징어, 물고기, 상어, 고래까지 모든 수생동물이 생존할 수 없게 된다.

바다나 호수에서 수영하면서 눈을 뜨고 바라보면 무수히 많은 크고 작은 입자들이 떠돌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수중에는 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더 작은 입자(생명체)가 몇 갑절 많이 존재한다.

동물성 플랑크톤(zooplankton)이란 zoo(동물)와 plankton(돌아다니다)이 합쳐진 용어이다. 즉 플랑크톤이란 해수나 담수에 사는 현미경으로 보아야 보일 정도로 작은 생명체 중에 동물로 분류되는 모든 무리를 말한다.

 

 

그들은 남북극에서 열대까지, 수면에서 가장 깊은 심해까지 어디에나 물이 있는 곳이면 살고 있다. 식물성 플랑크톤(phytoplankton 식물성 부유생물)이라 불리는 무리는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생존하는 하등 생명체(독립영양생물)이고, 동물성 플랑크톤은 단세포의 식물성 플랑크톤을 포함하여 다른 작은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포식성 하등동물(종속영양생물)을 말한다.

 

 

 

 

동물성 플랑크톤 중에 단세포인 원생동물은 일생 세포 1개의 모습으로 산다. 그러나 물고기를 비롯한 게, 조개, 소라, 산호, 불가사리, 해파리 등의 알과 부화한 새끼는 성장하면서 다른 모습의 동물이 되는데, 그들 역시 동물성 플랑크톤이다. 민물이라면 수생곤충의 알과 유충도 마찬가지이다. 위 영상에서 1-5는 요각류이고 6은 복족류, 7은 돌리올리다(doliolida), 8은 물고기 알, 9는 십각류이다. 모든 종류의 플랑크톤은 그들보다 큰 새우를 비롯하여 불가사리, 산호, 조개 , 소라, 물고기 등의 먹이가 된다.

 

 

 

 

한 스푼의 해수 속에는 100만 개 이상의 플랑크톤이 살고 있다. 플랑크톤 채집기(포충망)로 건져 올린 동물성 플랑크톤을 현미경 아래에서 처음 보는 사람은 마치 우주의 괴생명체들을 보는듯하다. 플랑크톤은 수면 가까운 곳에 더 많은 종류와 수가 산다. 그들은 거의 모두가 괴상하게 생겼다. 과학자들은 그들을 편의상 ‘종생 플랑크톤’과 ‘일시 플랑크톤’ 두 무리로 나누기도 한다.

 

 

 

플랑크톤 네트는 해저로 내리는 길이를 조정하여 희망하는 깊이에 사는 플랑크톤을 채집할 수 있다.

 

 

종생(終生) 플랑크톤(holoplankton) :

일생을 같은 모습으로 생존하는 무리들이다. 여기에는 규조류(diatom), 방산충, 편모충, 유공충, 단각류, 크릴, 요각류, 윤충류 등 곤충류보다 하등한 온갖 미세동물이 포함된다.

 

 

 

 

교과서에서 하등동물로 소개되는 아메바, 짚신벌레, 연두벌레, 편모충, 섬모충, 시아노박테리아 등은 모습이 변하지 않는 종생 플랑크톤에 속하는 원생동물이다.

 

일시(一時) 플랑크톤(meroplankton) :

성게, 불가사리, 연체류, 갑각류, 갯지렁이, 바다달팽이, 물고기, 곤충 등의 알과 그들의 어린 새끼처럼 초기에만 일시적으로 플랑크톤 상태로 지내는 종류를 말한다.

 

 

 

 

문어의 알과 어린 새끼는 일시 플랑크톤으로 취급한다.

 

과학자들은 플랑크톤을 크기에 따라 다음처럼 분류하기도 한다.

나노플랑크톤 : 길이 2-20μm

마이크로플랑크톤 : 길이 20-200μm

메소플랑크톤 : 길이 0.2-20mm

마크로플랑크톤 : 길이 20-200mm

 

 

 

 

수중에 사는 식물성 플랑크톤(규조류)은 수와 양에서 가장 많다. 그들은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영양을 생산하는 독립영양생물이기 때문에 먹이사슬에서 기초가 되는 생명체들이다. 사진은 규조류의 여러 형태이다.

 

사람들은 육상에 사는 동물들만 보아도 그들의 다양성에 놀란다. 그러나 플랑크톤을 알게 되면 육상동물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생명의 세계가 다양하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누군가가 다른 별나라의 괴생물이 어떻게 생겼는지 상상하고 싶다면 바다의 동물성 플랑크톤을 관찰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방산충 무리는 크기가 0.1-0.2mm 정도인 단세포 원생동물이다. 그들의 몸은 규소 성분 껍질로 덮여 있다. 종류가 대단히 많은 그들은 모양이 좌우사방 대칭 형태인 종류가 많기 때문에 방산충(放散蟲)이라 불린다.

 

 

플랑크톤 종류는 물에 떠서 헤엄을 치기도 하지만, 몸에 기름방울을 가지고 있거나, 공기방울이 있거나 다른 여러 가지 방법으로 편리하게 부유생활을 한다. 동시에 그들은 수면 아래로 빠르게 내려가는 기술도 다양하게 발전시키고 있다. 어떤 종류는 물고기 밥이 되지 않도록 몸을 투명체로 만들거나, 밝은 광채를 가지거나, 고약한 맛을 가지거나, 변색을 하거나, 강한 가시를 뻗치거나, 단단한 갑옷을 덮고 있다.

 

 

 

 

다양한 동물성 플랑크톤의 모습이다. 모기의 유충인 장구벌레는 일시 플랑크톤에 속한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태양광을 받기 위해 수심이 얕은 곳에 주로 산다. 그러나 많은 종류의 동물성 플랑크톤은 그들을 노리는 포식자를 피하여 낮에는 깊은 곳으로 내려가 지내다가 밤이 되면 수면으로 올라와 식물성 플랑크톤을 찾아먹으며 살아간다. 동물성 플랑크톤이 낮 동안에 수심이 깊은 곳으로 내려가면 그곳은 수온이 낮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도 하게 된다.

 

동물성 플랑크톤은 빛의 세기와 수온과 염분 농도 등에 만감하게 반응하면서 그들의 생존에 적합한 환경을 선택한다. 따라서 바다의 수온, 염도, 광도, 해류, 수심, 먹이의 양, 공해의 정도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플랑크톤이 서식하게 된다. 식물성 플랑크톤이 풍부한 곳에 동물성 플랑크톤이 많은 것은 당연하다.

동물성 플랑크톤 종류는 제마다 독특한 방법으로 헤엄을 친다. 그들의 특수한 이동 기술을 연구하면 새로운 방법으로 항진하는 잠수정이나 수중 추진체를 개발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들은 빠른 동작으로 사냥을 한다. 이때 그들의 동작기관에서는 소리가 발생한다. 플랑크톤 연구자 중에는 마이크로폰으로 그들이 발생시키는 지극히 작은 음파를 분석하기도 한다. 생명의 다양성과 신비는 끝이 없을 것이다. - YS

 

 

 

석고의 성분은 무엇이며, 물에 개어두면 왜 단단하게 굳어지나?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석고는 육지가 된 바다나 호수가 증발할 때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