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북극성과 북두칠성은 어떤 별인가?

과학 상식

북극성과 북두칠성은 어떤 별인가?

sciencewave 2025. 1. 22. 16:06
 

SCIENCE WAVE

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

sciencewave.kr

 

 

북극성과 북두칠성은 어떤 별인가?

 

북극성은 3개의 별이다

지구는 남북을 향한 축을 중심으로 팽이처럼 쉬지 않고 자전한다. 그러므로 하늘의 별들도 태양처럼 동쪽에서 떠올라 서쪽으로 진다. 그런데 북극성은 돌지 않고 제자리에 있는 듯이 보인다. 그렇지만 북극성도 작은 원을 그리며 돌고 있다. 북극성은 지구라는 팽이의 회전축에 아주 가까이 있기 때문에 제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북극성은 영어로 폴라리스(Polaris)라고 부르며, 밤이면 북쪽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별이다. 옛 뱃사람들은 밤에는 북극성을 보고 방향을 판단하여 항해를 했다. 지금도 밤에 산속이나 낮선 곳에서 길을 잃는다면 북극성을 찾아 방향을 판단해야 한다.

북극성은 우리와 가장 친근한 별이므로, 이 별에 대해 조금 더 알아도 좋을 것이다. 북극성은 지구로부터 434광년 거리에 있으며, 그것의 밝기는 2등성에 가까운 1.97등성이다. 북극성이 속해 있는 별자리는 '작은곰자리'이고, 북극성은 이 별자리에서 제일 밝은 주성(主星)이다. '주성'이란 그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을 말한다. 북극성은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 별은 혼자가 아니라 3개의 별이 함께 있는 3중성이고, 또 변광성이며, 초거성에 속한다. 북극성을 이루는 3개의 별 중에 주성(Polaris A)만 밝고 나머지 두 별 Ab와 B는 '동반(同伴)하는 별'이라는 뜻으로 '반성'(伴星)이라 한다. 반성 Ab와 B는 작고 어우워서 지상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최근에 허블 우주천문대에서 왼쪽과 같은 사진을 촬영했다.

북극성의 세 별이 서로 회전하는 동안 밝기의 변화를 관측하여, 두 반성이 주성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도 알고 있다. 북국성은 광도의 변화가 미묘하여 천문학자들의 관심을 끄는 별이 되어 있다.

 

 

 

북두칠성

북두칠성은 북반구의 북쪽 하늘에서 유난히 뚜렷하게 서로 가깝게 보이는 7개의 별이다. 서양에서는 이 7개의 별이 마치 긴 손잡이를 가진 거대한 물바가지 모양이므로, ‘큰 국자'(Big Dipper)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그런데 북두칠성은 그 자체가 하나의 별자리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큰곰자리‘라는 별자리의 한 부분에 있다.

 

북두칠성은 북극성에 가까운 축을 중심으로 일주하므로, 시간마다 다른 위치에서 보인다. 예를 들면 초저녁에 머리 위에서 보였다면, 서쪽으로 돌아 새벽에는 북쪽 지평선에 걸려 보이게 된다. 만일 북두칠성이 잘 보이지 않는다면, 북쪽 지평선에서 찾아야 한다.

 

북극성 찾는 방법

북두칠성이 보이기만 하면 북극성 찾기는 매우 간단하다. 북두칠성 국자 손잡이 끝에서 헤아려 6,7번째의 두 별을 직선으로 5배 거리만큼 이어가면, 그 자리에 북극성이 있다. 북극성은 2등성이므로 북두칠성의 별보다 조금 어두운 편이다.

 

남쪽 하늘에는 북극성처럼 정남쪽 위치에 밝은 별이 없다. ‘노인성’이라 부르는 별이 조금 가까이 있지만, 우리나라처럼 북반구의 위도가 높은 나라에서는 남쪽 지평선 아래에 있는 그 별을 볼 수 없다.

 

 

작은곰자리(위)와 큰곰자리(아래)의 북두칠성

 

 

북두칠성 손잡이 끝에서 헤아려 6,7번째의 두 별을 4배 거리 이어가면 북극성이 있다.

 

 

 

패러데이의 전자기유도법칙이란?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패러데이(Faraday)의 전자기 유도 법칙 전선(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도선 주변에 자기장이 생겨나는 것은 외르스테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