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100m 달리기, 50m 수영의 기록 한계는?

과학 상식

100m 달리기, 50m 수영의 기록 한계는?

sciencewave 2025. 1. 22. 16:42
 

SCIENCE WAVE

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

sciencewave.kr

 

 

올림픽경기는 인간의 체력 한계가 확인되는 곳이기도 하다.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도 다수의 신기록이 나올 것이다. 100m 달리기와 50m 자유형 수영 경기에서는 여러 해 기록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두 종목에서 인간이 육상 및 물속에서 이동할 수 있는 속도의 한계가 어디쯤인지 과학자들의 생각을 알아본다.

 

자마이카의 육상선수 우사인 볼트가 100m 달리기에서 2009년에 세운 기록은 9.58초였다. 그의 속도를 시속으로 계산하면 45km가 된다. 우사인 볼트의 기록은 이후 갱신되지 않고 있다.

 

 

 

미국의 여자 육상선수 플로렌스 조이너는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100m와 200m 달리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00m에서 그녀가 세운 기록은 10.49초였다. 이 기록이 나온 이후 더 빠른 여성 달리기 선수는 2023년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미국 메릴랜드 대학에서 생체공학을 연구하는 로스 밀러(Ross Miller) 교수의 생각에 의하면, 인간은 시속 60km 정도까지 달릴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속도는 100m를 5.625초에 달리는 것이다. 영어에서 스프린트(sprint)는 전력으로 질주하는 단거리 경기를 의미하고, 그런 선수를 스프린터라 한다.

 

밀러 교수는 스프린터가 기록을 단축하려면 질주 중에 발바닥이 지면에 닿아있는 시간을 줄여야 한다고 말한다. 아래 도표는 1912년 이후의 남자 100m 스프린터 기록과 1922년 이후 여자의 기록 변화를 나타낸다.

 

 

 

100m 달리기 기록을 보면, 1910년의 남자 기록은 10.7초 정도였으나 해마다 조금씩 단축되어 2010년에 최고 기록을 세운 이후 멈추고 있다. 한편 여성의 경우 1920년에 13,7초이던 기록이 빠르게 갱신되어 1988년 10. 49초에 머무르고 있다. 1968년 이전에는 경기 기록을 10분의 1초 단위까지 측정했으나 지금의 전자기록계는 100분의 1초 단위까지 재고 있다.

 

밀러 교수의 이론에 의하면, “여성 스프린터의 기록 갱신을 보면 13초대에서 10초대까지 3초나 단축되었다. 이것은 적절한 훈련을 받은 결과이다. 남성의 기록도 올바른 트레이닝을 받으면 1초 정도는 더 내려갈 수 있을 것이다.”고 말한다.

 

인간이 물속에서 빨리 간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자유형 50m 수영경기에서 남성이 세운 최고기록은 2009년에 브라질의 시엘루 필류가 세운 20.91초였다. 이 속도는 우사인 볼트가 트랙을 달린 속도의 4분의 1에 해당한다. 그리고 여성이 세운 50m 자유형 기록은 2023년에 스웨덴의 사라 셰스트룀의 23.61초이다.

 

 

 

50m 수영경기 기록을 보면, 이 경기가 시작된 1970년대 이후 남녀 모두 3초 정도 빨라졌다. 이 그래프를 보면, 2008-2009년 사이에 남녀 모두 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이때의 기록은 수영복 때문에 나타났다. 즉 부력이 좋은 섬유로 수영복을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이후 부력이 적용된 섬유로 만든 수영복은 착용이 금지되었고, 이후 기록은 단축되지 않고 있다.

 

수영경기의 기록이 얼마나 빨라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특별한 이론이 나오지 않고 있다. 문제는 선수가 물속을 헤쳐갈 때 물과의 저항을 줄이는 것이다. 수영선수가 물속에서 수면 위로 팔꿈치를 가능한 높이 드는 것은 마찰을 줄이는 자세이고, 팔을 직선으로 뻗어 물을 끌어당기는 것은 자기의 몸을 전진하게 하는 반작용의 동작이다.

 

 

 

키 195cm, 체중 80kg인 브라질의 수영선수 필류는 2008년 올림픽에서 100m와 50m 자유형 수영에서 48.07초와 21.75초로 각각 금메달을 획득했다.

 

스포츠 과학의 발달은 100m 달리기와 50m 자유형 수영에서도 분명히 기록을 갱신해갈 것이다. 파리 올림픽의 기록을 기다려본다. - YS

 

 

 

세상에서 가장 추운 10곳 어디일까?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평균기온이 해마다 조금씩 오르고 있기 때문에 올 여름은 과거 어느 해보다 덥고 많은 비가 내릴 전망이다. 지구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