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스트론튬 원소의 성질과 이용

과학 상식

스트론튬 원소의 성질과 이용

sciencewave 2025. 5. 27. 14:25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스트론튬(Strontium)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38

󰋯  화학기호:Sr

󰋯  족:2족(5주기)

󰋯  원자량:87.62

󰋯  밀도:2.64 g·cm-3

󰋯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8, 2

󰋯  mp:777℃ / 󰋯  bp:1382℃

 

스트론튬은 화학반응성이 대단히 강한 은회색의 금속으로 칼슘보다 무르다. 공기 중에 노출되면 급히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스트론튬으로 되면서 변색된다. 스트론튬과 물이 만나면 수산화스트론튬 [Sr(OH)2]이 생겨나고 이때 수소가 발생한다.

 

화학반응성이 강한 스트론튬은 자연계에 순수한 상태로 존재하지 않으며, 청천석(SrSO4)과 스트론티안석(SrCO3)이라는 광석으로부터 추출한다.

 

스트론튬은 1789년에 영국의 화학자 크로포드(Adair Crawford 1748-1795)가 스코틀랜드의 ‘스트론티안’이라는 마을에서 찾아낸 스트론티안석(strontianite)에 염산을 처리하여 처음 분리하였으므로 스트론튬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86년에 체르노빌에서 원자력발전소 폭발 사건이 일어나면서 세상에 잘 알려진 스트론튬-90(Sr-90)은 반감기가 약 28.8년인 방사선물질이다. 베타선을 방출하는 이것은 핵폭탄이 폭발하거나 원자로 사고가 났을 때 주변 광대한 지역을 오염시킬 수 있다.

 

Sr-90은 인체에 대해 칼슘과 비슷한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Sr-90으로 오염된 풀을 먹은 가축의 살이나 젖을 섭취한다면, 이는 칼슘을 대신하여 뼈에 들어가 적혈구를 생산하는 골수(骨髓)를 손상시킬 수 있다. Sr-90은 우라늄이 핵분열을 할 때 생겨난다.

 

스트론튬의 실용적인 용도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Sr-90에서 나오는 방사선 에너지를 이용하는 원자력보조발전기는 우주선이나 무인 기상관측소 등에서 이용하고 있다. 스트론튬의 다른 동위원소인 St-97과 Sr-89는 반감기가 각각 2.8시간과 50.5일로 짧기 때문에 뼈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스트론튬과 마그네슘의 합금은 BMW 자동차 엔진 제조에 사용되고 있고, 탄산스트론튬(SrCO3)은 고온에서 붉은색을 내기 때문에 불꽃탄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루비듐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루비듐(Rubidium, Rb) 원소의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트륨 원소의 성질과 이용  (0) 2025.05.27
서해는 왜 물이 흐린가?  (0) 2025.05.27
루비듐 원소의 성질과 이용  (0) 2025.05.27
광전도성과 광전도체란?  (0) 2025.05.27
크립톤 원소의 성질과 이용  (0) 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