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sciencewave 님의 블로그

전체 글 410

봄철 운동, 칼로리 소모가 더 잘 되는 과학적 이유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봄이 되면 따뜻한 햇살과 바람을 맞으러 자연스레 외출을 하고 싶어진다. 겨울 내내 실내에서 운동하던 사람도 야외로 나가 운동을 하고 싶어지기 마련. 과학적으로 봄철 야외 운동은 효율성이 뛰어나다. ​체온 조절 부담이 줄어들면서 신진대사가 최적화되고, 햇볕을 받으면 호르몬 균형과 면역 기능이 개선되며, 자연 환경이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 생리학적 효과를 주기 때문이다. 같은 운동을 해도 칼로리 소모와 근육 발달 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다. ​적절한 기온이 심폐 기능, 에너지 대사 높여 운동 중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생리적 반..

과학 상식 2025.04.03

영화 ‘미키17’ 인간 프린트, 공상과 현실 사이···실제로 가능할까?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봉준호 감독의 신작 미키17은 인간의 육체를 복제하고 기억까지 전송하는 ‘인간 프린트’ 기술을 전면에 내세운다. 과학과 공상이 절묘하게 뒤섞인 이 영화는 SF적 상상력으로 무장했다. 흥미로우면서 섬뜩하게 기술의 발전과 존재론적 가치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영화에서 나온 이 기술은 현실에서도 가능한 것일까? 생명공학, 신경과학, 컴퓨터 공학 등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며 인간 프린트 기술의 가능성과 한계를 알아봤다. ​인간을 프린트 한다···현실 가능성은? 현재 생명공학과 바이오프린팅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지만, 인간 전체를 프린트하는 것..

과학 상식 2025.04.03

전기를 이해하는 기초 용어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전기 없이는 잠시도 생존이 어려워하는 생명체가 오늘의 인류이다. 그러나 인류는 전기를 모르고 살았던 시대가 전기시대보다 비교할 수 없이 길다. 전기와 관련된 전문용어는 헤아리기 어렵도록 많다. 오늘날의 디지털 전기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용어 몇 가지를 간단하게 이해해보자. ​전기(electricity) - 전등 스위치를 올리면 불이 켜진다. 이것은 에너지를 가진 음전하 입자(전자)의 작용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래서 전기란 ‘에너지를 가진 전자의 흐름’이라고 간단히 말할 수 있다. ​전류(current) - 수도관 속으로 물이..

과학 상식 2025.04.03

우리 은하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은하들, 제임스 웹 포착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의 최신 관측에서 예상과 다른 은하의 회전 방향이 포착되었다. 우주가 무작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은하의 회전 방향은 균등하게 나타나야 하지만, 실제 관측된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이 비대칭성이 우연일지, 혹은 우주의 구조를 나타내는 새로운 단서일지 궁금증을 자아낸다.​특정 방향으로 치우친 은하 회전 캔자스 주립대학교의 컴퓨터 과학 부교수인 리오르 샤미르(Lior Shamir)가 분석한 결과, JWST의 심우주 외부은하 탐사(JADES)를 통해 촬영된 263개의 은하 중 약 3분의 2는 시계 방향, 나머지 3..

과학 상식 2025.04.03

비타민D "햇빛 좀 쬔다고 안생겨요"···결핍이 대부분이라는데 뭘 어떻게 먹을까?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인류는 햇빛 아래 성장했다. 햇빛 아래 생존하며 몸의 리듬을 조율하고 질병에 맞서는 방식을 익혔다. 비타민 D는 유일하게 ‘햇빛을 통해 몸속에서 만들어지는 비타민’이다.​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체내 콜레스테롤 유도체가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비타민 D로 전환되는데, 비타민 D는 햇빛, 보다 정확히는 자외선 B(UVB)에 의해 인체 내에서 자연 합성되는 몇 안 되는 비타민 중 하나다. 인간의 생리적 구조는 원래 태양광을 주요 공급원으로 삼도록 진화해왔고 빛이 생물학적 신호로 작용하는 대표적인 사례다. 비타민 D는 햇빛이라는 외부 자극이 면..

과학 상식 2025.04.03

카이퍼 벨트와 명왕성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명왕성(Pluto)이라는 소행성은 해왕성(Neptune)보다 더 멀리 떨어진 ‘카이퍼 벨트’(Kuiper belt)라 부르는 공간을 운행하는 9번째로 큰 태양계의 가족이다. 카이퍼 벨트란 어디를 말하며, 명왕성은 왜 행성의 지위를 잃고 소행성으로 밀려나게 되었는가?​ 카이퍼벨트는 태양에서 약 30-50AU 떨어진 공간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1억 5,000만km이고, 이 거리를 천문학에서는 1AU(astronomical unit 천문단위)라 한다. AU는 태양계에 속하는 천체들 사이의 거리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되며, ‘광년’이..

과학 상식 2025.04.03

히말라야 하늘을 물들인 붉은 번개, ‘레드 스프라이트’의 비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상에서 천둥소리가 울려 퍼질 때, 하늘 위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번개가 탄생한다.​‘레드 스프라이트(Red Sprite)’라 불리는 이 붉은 방전 현상은 강한 뇌우가 칠 때, 대기 상층에서 순간적으로 빛을 발한다. 마치 해파리가 퍼져나가는 듯한 형상을 띠며 신비로운 붉은빛을 남긴다. 지난 2022년에 대규모로 발생한 이 희귀한 자연 현상에 대한 원인이 최근 밝혀져 눈길을 끈다. ​레드 스프라이트, 히말라야에서 100개 이상 펼쳐져 2022년 5월 19일, 중국의 천체사진가 앤젤 안과 수창 둥이 히말라야 상공에서 100개가 넘는 레드 스프..

과학 상식 2025.04.03

지방질(脂肪質 fat)과 지질(脂質 lipid)의 차이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3대 필수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질) 중에 에너지가 가장 많이 포함된 것이 지방질이다. 지방질은 우유, 버터, 돼지 비계, 생선, 식용유 등에 다량 포함된 영양소이다. 지방질은 지방산(fatty acid), 지방산 에스테르(에스터)(ester of fatty acid) 또는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라는 화학 명칭으로 불린다.   지방질을 구성하는 수산기와 카르복실기많은 유기물 분자에는 산소와 수소가 서로 붙은 –OH가 결합되어 있다. 둘 또는 몇 개의 원자가 분리되지 않고 결합하여 마치 하나의 원자처럼 작용하는 ..

과학 상식 2025.04.03

'유통기한=무한정', 유일한 이 음식은 무엇?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시간의 흐름 속에서 세상 모든 것이 변하지만,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 자연이 만든 최고의 보존식품, 꿀이다. 고대 이집트 피라미드에서 발견된 꿀도 멀쩡한 상태였다고 하니, 놀랍기만 하다. 시간이 모든 것을 무너뜨리는 세상에서, 꿀은 어떻게 썩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었을까? 자연이 만든 이 불멸의 식품 속 과학적 사실을 들여다봤다. ​미생물 생존이 어려운 꿀의 환경 꿀이 상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수분 활성도가 매우 낮기 때문이다. 수분 활성도(water activity, awa_waw​)는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자유로운 ..

과학 상식 2025.04.03

노화를 되돌릴 수 있을까? - 영화 '서브스턴스'가 던지는 과학적 질문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영화 '서브스턴스'는 신비로운 약물로 젊음을 되찾는 설정을 내세우며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욕망을 자극한다. 주인공은 특정 주사를 맞음으로써 새로운 육체를 얻고, 일주일마다 의식을 전환하는 기이한 과정을 겪는다. 기괴한 판타지이면서도 늙음을 거부하는 인간 본능을 꿰뚫는 흥미로운 설정이다.​세월 이기는 장사는 없다지만, 실제로 노화를 늦추는 방법이 의학적으로 가능한지 궁금해진다. 노화란 왜 일어나며, 의학은 노화에 어디까지 저항하고 있는지 알아봤다. ​피할 수 없는 세월, 노화는 숙명 노화는 단순한 시간의 흐름이 아니다. 세포와 분자 수준에서..

과학 상식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