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sciencewave 님의 블로그

전체 글 455

허블의 우주 팽창 법칙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허블(Hubble)의 우주 팽창 법칙(우주 팽창설)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포웰 허블(Edwin Powell Hubble 1889-1953)은 1920년대에 미국의 윌슨 산 천문대에서 천체를 연구하고 있었다. 그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구경(口徑)을 가진 100인치 망원경으로 우주에 흩어져 있는 수없이 많은 은하계들까지의 거리를 관측한 결과,​“모든 은하계들은 우리로부터 점점 멀어져 가고 있으며, 은하계들 사이의 거리도 멀어지고 있다. 멀리 있는 은하계일수록 멀어져 가는 속도는 더 빠르다.”​​고 하는 허블 법칙(Hubble's Law..

과학 상식 11:37:09

뇌파와 생물전기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뇌파(腦波)를 발견한 베르거(Berger)의 실험   생물의 세포, 조직, 신경, 근육, 뇌 등의 기관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생물전기(bioelectricity)라 한다. 생물체에서 전기가 발생하는 사실은 이탈리아의 의학자 루이기 갈바니(Luigi Galvani 1737-1798, 갈바니와 볼타의 전류 개념 참조)가 1792년에 처음 발견했다. 독일의 신경생리학자 한스 베르거(Hans Berger 1873-1941)는 1890년대부터 뇌에서 발생하는 뇌파(腦波 brain wave)를 검사하여 간질과 같은 뇌의 병을 진단할 수 있는 길을 찾으..

과학 상식 11:32:15

반물질 이론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디랙(Dirac)의 반물질 이론  영화 에 등장하는 우주선 ‘엔터프라이스 호’는 반물질의 힘으로 비행한다. 반물질은 공상과학이 아니라 현실이다. 영국의 물리학자 아서 슈스터(Arthur Schuster 1851-1934)는 1898년에 ‘일반 물질과 반대되는 성질을 가진 신기한 물질'도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영국의 이론 물리학자 폴 디랙(Paul Adrien Maurice Dirac 1902-1984)은 슈스터의 꿈을 실현했다. 그는 ‘소립자에는 마치 거울의 상처럼, 질량은 같으면서 전하가 반대인 반입자(antipart..

과학 상식 11:26:42

불확정성 원리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不確定性) 원리   독일의 물리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Werner Heisenberg 1901-1976)는 양자 이론의 기초를 세우는데 크게 공헌한 과학자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1927년에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Heisenberg's Uncertainty Principle)라 불리는 양자역학의 새로운 이론을 발표했다. 그의 이론은   ‘전자와 같은 소립자의 위치와 운동량(momentum: 질량에 속도를 곱한 값) 두 가지를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는 것이었다. 그의 이 이론은 매우..

과학 상식 11:23:28

슈뢰딩거의 방정식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원자의 성질에 대한슈뢰딩거의 방정식 (Schrödinger equation)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이며 수학자인 어빈 슈뢰딩거(Erwin Schrödinger 1887-1961)는 1935년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전자 등)가 어떤 특정 위치에 있을 가능성을 계산하는 복잡한 수학 방정식을 발표했다.​‘슈뢰딩거의 방정식’(Schrödinger equation)이라 불리는 이 방정식은 고전물리학에서 뉴턴의 법칙처럼 양자역학의 중심이 되었다.   보스-아인슈타인의 응축 현상이란?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과학 상식 11:19:47

보스-아인슈타인의 응축 현상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극저온 물질이 나타내는 보스-아인슈타인(Bose-Einstein)의 응축 현상  헬륨이라는 원소는 우주 전체를 볼 때는 수소 다음으로 많지만 지구의 대기 중에는 0.0005%뿐이다. 헬륨은 가벼우면서 폭발 위험이 없는 기체여서 기구(氣球 ballon)에 넣고 있다. 헬륨의 온도를 냉각시켜 액체 헬륨으로 만들면 그 온도가 섭씨 영하 273.15도 가까이까지 내려간다(극저온 참조). 이보다 더 낮은 온도는 없으므로 이때의 온도를 절대온도 0도(absolute zero)라고 하며, ‘0 K'로 나타낸다. 이때 사용하는 K는 절대온도 눈금 사용을..

과학 상식 11:15:39

150년간 잡종으로 오인된 나비, 신종으로 공식 분류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북미 동부에서 오랫동안 잡종으로 간주되었던 나비가 새로운 종으로 공식 확인됐다. 연구자들은 기존 종과의 형태적·유전적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 나비가 단순한 교잡 개체가 아니라 독립적인 종임을 밝혀냈다. 신종으로 분류된 나비는 오대호(미국과 캐나다에 걸친 거대 호수 다섯 개를 묶어서 가리키는 이름)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는 ‘파필리오 솔스티티우스(Papilio solstitius)’이다.​유전적·형태적 차이 명확하게 구분돼 북미 동부 지역에는 기존에 두 종의 호랑나비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나는 남쪽에 주로 분포하는 파필리오 글라..

과학 상식 10:32:12

나무도 친구와 대화를 한다? '비밀 네트워크'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숲을 거닐다 보면 나무들이 가만히 서 있는 듯 보이지만, 사실 그들은 끊임없이 소통하고 있다. 나무가 말을 한다는 것이 가능할까? 연구에 따르면 나무들은 뿌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고, 심지어 도움을 주기도 한다. 마치 인터넷처럼 복잡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나무들의 세계를 과학적으로 탐구해 보자.​균사체를 통한 비밀 네트워크1997년 캐나다의 산림생태학자 수잔 시마르드 박사는 ‘우드 와이드 웹(Wood Wide Web)’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 개념은 나무들이 곰팡이와 공생하면서 뿌리 시스템을 통해 영양분과 정보를 공유한다..

과학 상식 10:27:21

BRN17(비에날17 비에날씬) 유산균, 다이어트-간헐적 단식 실패자···구원투수? 뚱보균 잡는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 A씨 — 간헐적 단식, 시간은 잘 지켰는데 뭔가 이상했다A씨는 16:8 간헐적 단식을 1년 넘게 해왔다.식사는 낮 12시부터 저녁 8시까지만 하고,그 외 시간엔 물, 커피 외에는 아무것도 먹지 않았다.처음엔 체중이 조금 빠졌지만, 몇 달 지나자 몸이 답답해졌다. “식사량은 줄였는데 오히려 얼굴이 더 자주 붓고,화장실 가는 횟수도 확 줄었어요.3일 동안 변을 못 본 적도 있고요.” 아침에 일어나면 배가 납작한 게 아니라 살짝 불룩하고 무거운 느낌이 들었다. 식사 후엔 바로 더부룩했고, 가스가 차는 날도 많았다. 일할 때도 속이 묵직해서..

과학 상식 10:21:18

허블이 포착한 우주의 장관, 베일 성운의 생생한 디테일 공개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광활한 우주 속, 거대한 별이 폭발한 뒤 남긴 장엄한 잔해가 허블 우주망원경에 의해 또 한 번 선명하게 포착됐다. NASA와 유럽우주국(ESA)이 공개한 새로운 베일 성운(Veil Nebula) 이미지는 초신성 폭발 이후의 우주 변화를 생생하게 담아내며 이목을 끌고 있다.​미국 과학 뉴스 사이트 피즈(Phys.org)는 최근 NASA와 유럽우주국(ESA)의 허블 우주망원경이 베일 성운(Veil Nebula)의 새로운 이미지를 포착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관측은 허블의 와이드 필드 카메라 3(Wide Field Camera 3)를 활용해 수소..

과학 상식 10:0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