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53 Page)

분류 전체보기 842

전류와 자력에 대한 외르스테드의 전자기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외르스테드(Oersted)의 전자기(電磁氣) 이론 덴마크의 코펜하겐 대학 물리학 교수이던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Hans Christian Oersted 1777-1851)는 오래 전부터 자석의 자력과 전류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1820년 4월 21일, 강의 시간에 그는 학생들 앞에서 전류가 흐르는 전선 옆에 자침(磁針 compass needle)을 전선과 나란하게 배치하자, 북쪽을 향하던 자침이 수직으로 방향을 바꾸는 현상을 보였다. 이어 전류를 끊자, 자침은 본래의 방향으로 돌아갔..

과학 상식 2025.03.25

기체의 분자 수에 대한 '아보가드로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기체의 분자 수에 대한아보가드로(Avogadro)의 법칙 화학을 공부하기 시작하면 원자, 분자, 기체의 성질 등을 배우게 되고, 곧 ‘아보가드로의 법칙’과 ‘아보가드로 수’라는 것을 이해해야 하게 된다. 이탈리아의 과학자 아메데오 아보가드로(Amedeo Avogadro 1776-1856)는 교회법에 대한 공부를 하여 법학박사 학위를 가졌으나, 자연과학을 독학하여 일생 수학과 물리학을 연구하는 토리노 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아보가드로가 살던 당시의 과학자들은 원자라든가 분자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었다. 그는 게이..

과학 상식 2025.03.25

라마르크의 '용불론설'은 옳은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라마르크(Lamarck)의 ‘용불용설’과 그 진실 과학의 역사에서는 때때로 잘못된 이론이 전해오기도 한다. 그런 틀린 이론 중에는 프랑스의 과학자이며 군인이기도 한 라마르크(Jean-Baptiste Lamarck 1744-1829)가 발표한 진화에 대한 학설이 있다. 그는 1809년에 저술한 책 Philosophie Zoologique>에서 “한 세대 동안에 이루어진 형질은 계속해서 후대에 유전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그 뜻은 생물체가 생존하는 동안 ‘획득한 형질(獲得形質)이 누적되어 후대에 그 형질이 유전될..

과학 상식 2025.03.25

게이뤼삭의 기체반응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게이뤼삭(Gay-Lussac)의 기체반응의 법칙 프랑스의 화학자이며 물리학자인 루이 게이뤼삭(Joseph Louis Gay-Lussac 1778-1850)은 기체의 성질에 대한 두 가지 법칙을 발견한 과학자로 유명하다. 첫 번째는 1802년에 발견한 ‘기체팽창의 법칙’(Pressure-Temperature Law)이고, 두 번째는 1808년에 발표한 ‘기체반응의 법칙’(Law of Combining Volumes)이다. 게이뤼삭은 위대한 실험 과학자로서 엄청난 양의 실험을 하는 동안 기체가 가진 중요한 자연의 법..

과학 상식 2025.03.25

돌턴의 기체에 대한 '부분 압력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기체에 대한 돌턴(Dalton)의 '부분 압력의 법칙’ 고무풍선 속에 공기를 집어넣으면, 기체의 압력 때문에 풍선은 팽팽하게 부풀어 오른다. 만일 팽팽한 풍선을 냉장고에 넣어둔다면 풍선의 크기는 작아진다. 그렇다고 풍선 안에 든 기체의 질량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 다만 풍선 속 기체 분자들의 운동 속도가 줄어들어 압력이 낮아졌을 뿐이다. 증기기관이나 보일러의 뜨거운 수증기가 높은 압력을 가진 것은 고온이기 때문이다. 영국의 돌턴(John Dalton 1766-1844)은 시골에서 태어난 아마추어 과학자였다. 특히 ..

과학 상식 2025.03.24

프루스트의 일정성분비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프루스트(Proust)의 일정 성분비의 법칙 화학시간에 화합물과 혼합물의 차이에 대해 배운다. 물은 산소와 수소가 화학적으로 결합한 화합물이고, 소금은 나트륨과 염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반면에 소금물은 물과 소금이 섞인 혼합물이고, 공기는 산소와 질소, 이산화탄소 등으로 구성된 혼합물이다. 즉 혼합물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단지 섞여만 있는 것을 말한다. “화합물을 구성하는 성분 원소의 질량비(質量比)는 항상 일정하다.” 예를 들자면, 물(H2O)은 수소 2분자(질량비는 11.2%)..

과학 상식 2025.03.24

기하급수로 증가한다는 맬서스의 인구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기하급수로 증가한다는맬서스의 인구론의 진실 21세기의 과학자들은 식량부족, 화석연료의 고갈, 공해, 물의 부족, 온실효과에 의한 지구의 기후 변화 등이 인류의 미래를 위협한다고 염려한다. 역사적으로 18세기 말에 이르자, 유럽은 산업혁명이 일어나 생산기술이 발전하고 소득이 증가하자, 인구가 매우 빨리 증가하는 사회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시기에 영국의 경제학자이며 수학자인 토머스 맬서스(Thomas bert Malthus 1766-1834)는 1798년부터 1826년까지 (An Essay on the ..

과학 상식 2025.03.24

'럼포드의 열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열에 대한 ‘럼포드(Rumford) 이론’ 열은 태양에서도 오고, 물체를 태워도 발생하며, 나무토막을 서로 비빌 때(마찰할 때)도 생겨난다. 18세기의 과학자들은 ‘열이 도대체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일부 과학자는 “열이란 칼로릭(caloric 열)이라 부르는 물질이 흐르는 것이다. 모든 물질은 얼마간의 칼로릭을 가지고 있으며, 칼로릭을 방출하고 나면 온도가 내려가고, 물체에 칼로릭을 공급하면 온도가 올라간다.”고 상상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이론으로는 “마찰하면 왜 열이 발생하는가?”에 대해 설명..

과학 상식 2025.03.24

갈바니와 볼타의 전류에 대한 개념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갈바니(Galvani)와 볼타(Volta)의 전류 개념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의 의사이며 해부학자인 갈바니(Lulgi Galvani 1737-1798)와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볼타(Alessandro Volta 1745-1827)는 전류에 대해 처음 연구한 과학자들이다. 그들이 전류를 발견하기 이전까지 과학자들은 정전기에 대해서만 알고 있었다. 정전기와 달리 움직이는 전기 즉 동전기(動電氣) 전류(electric current)를 알게 되면서 전기에 대한 과학이 급속히 발전하게 되었다. 1786년 어느 날, 갈바니와 ..

과학 상식 2025.03.24

질량불변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라부아지에(Lavoisier)의 '질량불변의 법칙' 프랑스의 앙트왕 라부아지에(Antoine Lavoisier 1743-1794)는 ‘화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가 살았던 당시까지 사람들은 고대의 ‘4원소설’을 믿어 물과 공기를 원소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라부아지에는 물과 공기가 모두 화합물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했다. 한편 당시 사람들은 “물질이 연소하면 플로지스톤이라는 질량이 없는 물질이 생성된다.”고 믿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100여 년 동안 지배해온 플로지스톤설(Phlogiston theory)을 부정..

과학 상식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