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54 Page)

분류 전체보기 842

공기의 부피에 대한 '샤를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공기의 부피에 대한 ‘샤를의 법칙’ 공기를 가득 채운 팽팽한 고무풍선을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꺼내보면, 부피가 훨씬 줄어 있다. 그러나 바깥에 내놓으면 고무풍선은 다시 본래의 부피로 팽창한다. 이것은 공기의 부피가 온도에 따라 팽창하고 수축하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발명가이자 수학자인 쟈크 샤를(Jacques Charles, 1746-1823)은 1783년 8월 27일, 형제 로버츠와 함께 수소 가스를 채워 사람이 탈 수 있도록 만든 최초의 기구(氣球 hydrogen balloon)에 올랐다. 그들이 제작한 기구는..

과학 상식 2025.03.24

'허턴의 동일과정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질학을 선도한허턴(Hutton)의 동일과정 이론 오늘날의 과학자들은, 우주가 탄생한 역사는 약 140억년이고, 지구의 나이는 약 46억년이라 믿고 있다. 그러나 18세기에 이르러서도 유럽 사람들의 의식은 성서의 기록과 기독교 교리가 지배하고 있었다. 따라서 당시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믿고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지구의 나이는 수천 년에 불과하고, 지구의 모습은 창조된 당시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믿고 있었다. 스코틀랜드의 지질학자이며 물리학자인 제임스 허턴(James Hutton, 1726-1797)..

과학 상식 2025.03.24

쿨롱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전기의 힘에 대한 ‘쿨롱(Coulomb)의 법칙’ 프랑스의 화학자였던 뒤 파이(Charles Francois du Fay 1698-1739)는 유리관을 문질렀을 때 발생하는 정전기와, 호박(琥珀)을 문질렀을 때 생기는 정전기의 성질이 같지 않으며, 같은 성질의 정전기는 서로 밀고, 다른 성질의 정전기는 서로 끄는 현상을 발견했다. 그리하여 그는 1733년에 ‘전기에는 두 가지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파이의 이러한 발표 이후, 음전기와 양전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몇 해가 더 지나서였다. (라이덴병 참고..

과학 상식 2025.03.24

광합성 과정의 '잉겐호스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광합성 과정의 잉겐호스(Ingenhousz) 이론 광합성은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가장 중요하면서 신비한 화학반응이다. 자동차가 움직이려면 연료(에너지)가 필요하듯이, 식물도 자라고 열매를 맺는 생명현상을 유지하려면 에너지가 필요하다. 식물은 태양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포도당)를 생산하므로 이를 광합성이라 한다. 식물체에서 광합성이 일어날 때는 자동차와는 달리 열도 발생치 않고, 어떤 공해물질도 방출되지 않는다.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잉겐호스(Jan Ingenhousz, 1730-1799..

과학 상식 2025.03.24

혜성의 위치에 대한 '보데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행성의 위치에 대한 '보데(Bode)의 법칙' 독일의 천문학자 요한 엘러트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와, 영국의 천문학자인 대니얼 티티우스(Johann Daniel Titlus, 1729-1796)는 1768년경에 태양계의 행성 6개가 일정한 법칙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 있다는 사실을 각기 발표했다. 행성들이 일정한 거리에 있다는 법칙을 보데의 법칙(Bode's Law) 또는 티티우스-보데의 법칙(Titius-Bode Law)이라 한다. 0, 3, 6, 12, 24, 48, 96으로 ..

과학 상식 2025.03.24

정전기를 모으는 라이덴병의 원리는?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정전기를 모으는 라이덴병 (Leyden Jar)이란? 라이덴병은 정전기를 저장할 수 있도록 만든 최초의 장치(일종의 축전기)를 말한다. 라이덴병이 발명된 이후 수많은 과학자들이 이것으로 전기 실험을 하게 되어, 전기에 대한 많은 지식을 발견하게 되었다. 라이덴병은 오늘날 전자 부속품의 하나로 사용하는 크고 작은 다양한 콘덴서(condenser 또는 capacitor)의 원형이다. 겨울철이 오면 옷에 발생하는 정전기 때문에 깜짝 놀라는 경우를 자주 경험하게 된다. 마찰에 의해 생겨나는 이러한 전기는 흐르지 않고 대..

과학 상식 2025.03.24

섭씨온도와 화씨온도의 관계는?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섭씨온도계와 화씨온도계의 눈금 대기의 온도를 측정한 기온은 기상관측에 꼭 필요하다. 온도의 측정단위는 과학 연구에 중요한 기준의 하나이다. 온도를 나타내는 단위에는 섭씨온도(Celsius scale)와 화씨온도(Fahrenheit scale)가 있다. 오늘날 국제적으로는 섭씨온도를 사용토록 정하고 있으나, 미국을 비롯한 일부 나라에서는 오랜 관습 때문에 화씨온도를 사용하고 있다. 섭씨온도는 물이 어는 온도를 0도로 하고, 물이 끓는 온도를 100도로 정하고 있다. 다시 말한다면 물이 어는 온도와 끓는 온도 사이를 ..

과학 상식 2025.03.24

기체 분자의 운동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기체 분자의 운동 이론 고무풍선 속에 바람을 불어넣고 입구를 단단히 막은 후, 그 풍선을 온도가 낮은 냉장고에 넣어두면 풍선의 부피는 점점 줄어든다. 그러나 풍선을 따뜻한 곳에 두면 부풀어 올라 부피가 증가한다. 이것은 기체의 부피가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주사기 바늘구멍을 막고, 피스톤을 누르면, 주사기 안의 기체가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든다. 이것은 공기의 부피가 압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18세기가 되도록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라 기체의 부피가 왜 변하는지, 그 이유를 잘 알지 못했..

과학 상식 2025.03.24

'린네의 동식물 분류' 시스템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동식물 분류 체계 ‘린네 시스템 (Linnaean System) 지구상에 사는 수백만 종의 동식물에 대해 과학자들은 각각 고유(固有)한 이름을 붙여 서로 구분하고 있다. 우리가 사자라고 부르는 동물을 서양에서는 라이온(lion)이라 한다. 하나의 생물을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부른다면 혼란이 온다. 그래서 생물학자(특히 생물 분류학자)들은 생물의 각 종에 대해 학술명 또는 학명(學名)이라 부르는 이름을 붙여, 세계인이 공통으로 사용토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은 Homo sapience이고, 개는 Canis lu..

과학 상식 2025.03.24

'생체 시계(생물 시계)' 가설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생물의 몸속에 있는 ‘생체 시계’ 가설 진달래, 개나리, 벚꽃 등은 반드시 이른 봄에 핀다. 이처럼 나무들은 1년 중 언제 싹이 트고, 꽃을 피우며, 열매를 성숙시키고, 또 단풍잎으로 변할 것인지 정확히 알고 있다. 나팔꽃은 하루 중에서도 꼭 아침에 핀다. 어떤 나무의 잎은 아침에 펼쳐졌다가 저녁이 되면 접어버린다. 이러한 현상은 고대로부터 관찰되고 있었다. 프랑스의 지구물리학자인 메랑(Jean-Jacques d'Ortous de Mairan, 1678-1771)은 원래 천문학자였으나, 도중에 식물 연구에 빠졌다...

과학 상식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