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궤도' 태그의 글 목록

궤도 4

아르테미스 기반 초대형 간섭계, 달에서 별·은하 관측한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달이 우주의 착륙지로서뿐 아니라, 정밀 우주 관측의 거점으로 거듭날 계획이다. NASA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통해 사람이 머무를 수 있는 달 기지를 구축하고, 그 위에서 다양한 과학 활동을 수행할 준비를 하고 있다.​그중 하나가 바로, 달을 활용한 초고해상도 천체 관측이다. 달에는 대기가 없어 별빛이 흐려지지 않고,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망원경을 설치하면 공기 흔들림 없이 광학 관측이 가능하다. 중력도 있어 정밀 장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지구나 궤도 위성으로는 어려운 짧은 파장의 빛까지, 더 높은 해상도로 포착할 ..

과학 상식 2025.04.14

Artemis II, 우주탐사 임무 본격 수행한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2026년, 인류는 다시 달을 향해 간다. 아르테미스 세대의 첫 유인 달 탐사 비행인 아르테미스 II(Artemis II) 임무에 나설 4명의 우주비행사들이 자신들의 여정을 상징하는 공식 배지를 공개했다. 이 배지는 인류가 향하는 ‘달’이라는 목적지와, 반드시 돌아가야 할 ‘지구’라는 고향을 함께 담고 있다.​아르테미스 II, AII = All… 모두를 위한 탐사승무원들은 배지에 적힌 ‘AII’라는 글자가 단순한 임무 명칭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Artemis II’의 약어인 동시에, 모두(All)를 위한, 모두에 의한 탐..

과학 상식 2025.04.14

케플러의 '행성의 운동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케플러(Kepler)가 밝힌 ‘행성의 운동법칙’  독일의 수학자이며 위대한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 1571-1630)는 행성의 운동에 대한 3가지 법칙을 발견했다. 이를 보통 ‘케플러의 운동법칙’이라 줄여서 부르고 있다.  케플러가 행성의 운동법칙을 발표하기 전까지 사람들은 "모든 행성들은 태양의 주변을 원 궤도로 돌고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케플러는 행성들이 원 궤도가 아니라 약간의 타원 궤도를 돌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행성의 제1, 제2 운동법칙은 1609년에, 그리고 ..

과학 상식 2025.03.19

하늘 위를 떠도는 위험한 유령, 우주 쓰레기 ‘골치’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무수한 별들이 반짝인다. 그 아름다움 뒤엔 어두운 우주의 진실도 숨어 있다. 바로 우주에 쓰레기 문제다.​우주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지구 궤도에는 인공위성과 로켓 잔해들이 쌓이고 있다. 위성 기술이 발전하고 민간 기업들의 발사가 활발해지면서 궤도상의 물체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새로운 위험 요소가 등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주 쓰레기가 단순한 부수적 현상이 아니라 우주 탐사와 통신, 나아가 지구상의 일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라고 경고한다. ​하늘 위를 떠도는 위험한 유령우주..

과학 상식 20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