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바다' 태그의 글 목록

바다 6

미세 플라스틱, 우리가 들이마시는 공기에도 있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알고 보면 우리는 지금도 보이지 않는 플라스틱을 들이마시고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바다와 토양을 넘어, 대기 중에도 분포에 우리 호흡기에도 침투한다. 작은 입자일수록 폐 깊숙이 들어온다. 미세 플라스틱은 혈류를 통해 온몸을 순환할 수 있어 우리 몸 전신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또한 대기 중 미세 플라스틱은 바람을 타고 전 세계를 떠돌며 북극과 같은 외딴 지역에도 침착된다. ​그렇다면 이 미세한 플라스틱 입자들은 어디서 발생해 어떻게 대기 중으로 퍼지는 걸까?​미세 플라스틱 근원지, 바다는 저장소일 뿐 그동안 과학계에서는 바다가 미세..

과학 상식 2025.04.09

상어 멸종 위기, 사라지는 최상위 포식자···무너지는 해양 생태계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어획으로 인해 급감하는 상어 개체수단순 방류로는 멸종 방어 역부족먹이사슬 불균형, 해양 생태계 연쇄 영향 ​상어는 오랫동안 바다의 포식자로 군림해왔지만, 인간으로부터 훨씬 더 큰 위협을 받고 있다. 현재 전 세계 상어 종의 약 3분의 1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가장 큰 원인은 어획이다. 최근 UC 산타바바라 대학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어업에서 포획된 상어를 단순히 방류하는 정책만으로는 이들의 개체수 감소를 막기에 역부족이다. 해당 연구는 국제 학술지 Fish & Fisheries에 게재되었으며, 상어 보존을 위한 종합적인 ..

과학 상식 2025.04.07

물고기도 물을 마실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평생 물속에서 사는 물고기도 목이 마를까? 만약 그렇다면, 이들은 물을 어떻게 마실까? 어린 시절 한 번 쯤 가져봤을 호기심이다. 우리에게는 너무 당연한 수분 섭취가 물고기들에게는 생존을 위한 복잡한 법칙으로 작용된다. ​이 호기심의 해답은 '서식 환경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어떤 물고기는 물을 전혀 마시지 않고도 살아가며, 어떤 물고기는 물을 삼키면서도 몸속 염분을 걸러내는 정교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심지어 민물과 바다를 오가는 물고기들은 환경에 따라 몸의 생리 작용을 완전히 바꾸기도 한다. ​삼투압과 물고..

과학 상식 2025.03.05

밤바다를 빛내는 푸른빛의 정체, 녹티루카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여름밤, 해안가를 거닐다 보면 파도가 푸른빛으로 반짝이는 신비로운 광경을 볼 수 있다. 이 빛의 정체는 바로 녹티루카(Noctiluca scintillans), 흔히 야광충으로 불리는 단세포 미생물이다. 자연이 만들어낸 이 작은 생명체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때로는 환경 변화의 신호로도 작용한다.​녹티루카가 빛을 내는 방법녹티루카의 빛은 생체발광(Bioluminescence)이라고 한다. 이는 개똥벌레나 발광 박테리아처럼 생명체가 스스로 빛을 내는 현상이다. 녹티루카는 세포 내부에 신틸런(Scinti..

과학 상식 2025.02.24

심해 야광 물고기는 어떻게 빛을 내나?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구의 심해는 빛이 닿지 않는 고요하고 차가운 세계다. 평균 수심 4300m에 이르는 바다의 85%는 완전한 어둠 속에 있다. 그러나 이 극한 환경에서도 생명은 빛을 내며 살아간다. 발광 생물은 독특한 생존 전략을 통해 어둠을 뚫고 생명을 이어간다. ​열 없는 빛, 냉광(冷光) 심해 생물들이 빛을 내는 과정은 화학적 반응에 기반한 냉광(冷光)의 형태다. 이 과정의 중심에는 루시페린(Luciferin)이라는 발광 물질과 이를 촉매하는 루시페레이스(Luciferase) 효소가 있다. 루시페린이 산소와 반응하며 빛을 방출..

과학 상식 2025.02.24

따개비와 홍합이 물속에서 초강력 접착제를 만드는 이유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접착제를 물속에서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 순간접착제도, 강력본드도 물에 젖으면 속수무책이 된다. 그런데 따개비와 홍합 같은 생물들은 바닷물 속에서도 떨어지지 않는 초강력 접착제를 만들어낸다. 이것은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화학 접착제는 산업혁명 이후 급속히 발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뤘다. 그러나 자연이 만들어낸 접착제의 정교함과 효율성은 여전히 화학 기술이 따라가기 힘든 영역이다. 따개비, 홍합, 조개 같은 생물체는 물속에서도 강력하고 영구적인 접착력을 발휘하는..

과학 상식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