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천문학' 태그의 글 목록

천문학 38

거대 충돌 한 번에 행성 수백만 년간 ‘진동’ 가능성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초기 태양계는 충돌의 연속이었다. 달 표면에 새겨진 수많은 크레이터는 당시 얼마나 많은 천체들이 충돌했는지를 그대로 보여준다. 이런 격동의 역사는 외계 행성계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보이며, 최근 한 이론 연구는 거대 가스 행성 간 충돌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 ‘행성 규모의 진동’을 남길 수 있는지를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했다.​UC버클리 이론물리학자 J.J. 자나치 박사 연구팀은 ‘직접 촬영된 거대 외계행성에서 거대 충돌이 유발하는 지진 진동(Seismic Oscillation..

과학 상식 2025.05.15

4.5일마다 폭발하는 블랙홀, 다중 관측으로 풀린 반복 플레어의 비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블랙홀 ‘안스키’, 4.5일 주기로 반복되는 X선 폭발 관측반복 플레어, 블랙홀 원반을 관통하는 저질량 천체가 원인​4.5일마다 규칙적으로 폭발하는 블랙홀이 있다. ‘안스키(Ansky)’라 불리는 이 블랙홀 시스템은 지금까지 관측된 그 어떤 QPE보다 강력한 X선을 반복적으로 방출하고 있다. NASA와 국제 연구진은 다중 우주망원경 데이터를 종합 분석해, 이 폭발이 블랙홀 주변 가스 원반을 저질량 천체가 주기적으로 관통하며 일어나는 충돌 현상임을 확인했다.​규칙적인 폭발, 충돌로 인한 고에너지 방출이번 연구에서 관측된 현상은 ‘준주기적 폭..

과학 상식 2025.05.14

잠든 데이터의 부활, 20년 전 위성 관측 자료로 밝혀낸 태양계 분자운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2003년, 한국 최초의 천문관측위성인 과학기술위성 1호가 지구 궤도에 올랐다. 당시 이 위성에 탑재된 원자외선분광기(FIMS, Far-ultraviolet Imaging Spectrograph)는 약 2년에 걸쳐 우주의 원자외선 영역을 관측하며 전천지도를 구축했다. 관측 당시엔 한계가 뚜렷했다. 기기의 공간 해상도나 감도, 그리고 해석 도구 모두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지도는 긴 시간 동안 천문 자료 아카이브 속에 머물러 있었다.​그러나 최근, 이 데이터가 다시 분석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을 중심으로 한 국제 공동 연구팀은 20여 년..

과학 상식 2025.05.07

허블 우주망원경 35주년, NASA가 공개한 ‘우주의 창’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NASA가 허블 우주망원경 발사 35주년을 맞아 최근 촬영된 우주 이미지들을 공개했다. 화성, 별이 태어나는 성운, 가까운 은하 등 다양한 대상을 담은 이 이미지들은 허블이 여전히 활발히 관측을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허블은 1990년 4월 24일,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에 실려 지구 저궤도에 배치됐다. 이후 1,700만 건에 이르는 관측을 수행했고, 약 5만 5천 개의 천체를 연구했다. 이로 인해 2만 2천 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됐고, 인용 횟수는 130만 회를 넘는다. 수집된 데이터는 400TB에 달하며,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

과학 상식 2025.05.07

중력파 분석, 라벨 바꾸니···선명해진 블랙홀 자전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중력파는 두 블랙홀이 서로를 돌다 충돌할 때 생기는 신호다. 이 신호를 분석할 때는 관례적으로 더 무거운 쪽을 ‘1번’, 나머지를 ‘2번’으로 라벨링해 왔다. 그런데 알고 보니, 이 라벨을 어떻게 붙이느냐에 따라 분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데이터를 전체적으로 보고 라벨을 다시 정하자 블랙홀의 자전 방향이나 정체 같은 정보가 훨씬 더 정확하게 드러났고, 자전 속도 측정의 정확도는 최대 50%까지 높아졌다. 분석 방식 하나만 바꿨을 뿐인데 해석의 신뢰도가 크게 향상된 셈이다.​중력파 분석, 고정된 라벨이 분석 정확도를 떨..

과학 상식 2025.05.07

제임스 웹 vs 이벤트 호라이즌, 가장 정밀한 우주 망원경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600배 정밀한 단일 장비, 제임스 웹지구를 하나의 망원경처럼, 이벤트 호라이즌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는 약 38만 킬로미터. 오늘날 천문학자들이 사용하는 관측 장비는 이 거리에서 지름 7센티미터의 오렌지를 구분할 수 있을 만큼 정밀한 해상도를 구현한다. 이는 단순한 확대가 아닌, 우주의 구조를 미세하게 ‘구별’하는 능력의 차이다. 사람의 눈이 1킬로미터 거리에서 30센티미터 간격도 식별하기 어려운 것과 비교하면, 지금의 망원경 기술은 수십만 배 이상의 분해능을 확보한 셈이다. ​이 극단적 해상도의 구현은 크게 두 방향에서 이뤄졌다. 하..

과학 상식 2025.04.28

콤팩트 왜소은하 J1343+3644, 병합 과정에서 중심 별 생성 포착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주는 은하들이 끊임없이 만나고 흩어지며 스스로 모습을 바꾸는 거대한 실험 공간이다.콤팩트 왜소은하 J1343+3644는 그 한가운데에서 병합을 진행하며 중심부에 별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은하는 점차 구조를 압축하고 있으며, 콤팩트 타원은하로 이어지는 변화를 그대로 보여준다.​밝기에 비해 지나치게 작다 — 조밀한 구조의 콤팩트 왜소은하 국제 공동 연구진이 분석한 콤팩트 왜소은하 ‘SDSS J134313.15+364457.5’(약칭 J1343+3644)는 전형적인 왜소은하와는 다른 밀도와 구조를 보여준다.이 은하는 적색편이 약 0.02에 ..

과학 상식 2025.04.28

솜브레로 은하를 아시나요?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빛과 어둠이 수평으로 맞닿은 곳. 중심에는 밀도 높은 빛이 집약돼 있고, 그 위로 얇고 어두운 띠 하나가 정밀하게 가로지른다. 중심부는 부드러운 곡선을 따라 둥글게 솟아 있고, 그 둘레를 따라 먼지가 얇게 퍼져 있다. 전체 구조는 납작하고 평평하며, 위에서 보면 넓은 원반 형태지만, 측면에서는 챙 넓은 모자가 기울어진 듯한 형상을 드러낸다.​멕시코 전통 모자 ‘솜브레로’를 닮아 솜브레로 은하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구에서 약 2,900만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방향에 위치하며, 메시에 104번(M104)으로 분류된다. 멕시코 전통모자. ..

과학 상식 2025.04.23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초신성 후보 ···백색왜성 쌍성계 발견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구에서 약 150광년 떨어진 지역에서, 두 개의 백색왜성이 서로를 공전하고 있는 쌍성계가 발견됐다.영국 워릭대학교 연구팀은 이 쌍성계가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발견은 초신성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관측 결과로 평가되고 있다.​초신성과 1a형 초신성의 이해초신성은 별이 생애 마지막에 폭발하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별이 수명을 다하면 크기가 수축하거나 팽창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생을 마감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극도로 밝은 폭발을 일으키는데, 이를 초신성이라고 부른다...

과학 상식 2025.04.17

천왕성 자전의 비밀 허블이 풀었다···40년 만에 새 기준 제시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천왕성은 자전축과 자기장이 극단적으로 기울어져 있어, 내부 구조와 회전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국제 연구팀이 허블 우주망원경의 장기 관측 데이터를 분석해 천왕성의 자전 속도를 사상 최고 정밀도로 측정했다. 이 결과는 천왕성 자기장의 동역학 연구와 향후 탐사 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왕성 자전 속도, 허블 망원경으로 정밀 측정천왕성은 특이한 자기장과 자전축을 가진 행성으로, 내부 자전 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로랑 라미(프랑스 파리 천문대 LIR..

과학 상식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