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인류를 구한 작은 발명품 '비누'

과학 상식

인류를 구한 작은 발명품 '비누'

sciencewave 2025. 2. 20. 10:56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비누는 별 것 아닌 생활용품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사실상 인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인간이 비누를 사용하게 되면서 더러워진 손발과 옷, 식기 등을 씻으며 공중보건에 큰 기여를 해왔기 때문이다. 비누는 언제부터 우리와 함께 했으며 어떻게 때와 세균을 없애는 건지 알아봤다.

 
 
 

 

 

비누의 탄생과 원리

비누는 나무나 풀을 태운 뒤 남은 재에서 얻은 잿물과 기름을 결합해 만들어졌다. 잿물에 포함된 알칼리 성분이 기름과 반응해 비누가 형성되었고, 이 비누는 기름때를 제거하는 효과를 냈다. 가축을 키우며 유목 생활을 하던 초기 인류는 잿물을 이용해 가죽의 기름을 녹이고 부드럽게 만드는 데 활용했다. 가죽에 묻은 비계(기름)가 잿물에 녹으면서 자연스럽게 비누가 생겼고, 이는 때를 제거하고 세탁을 편리하게 하는 도구로 발전했다.

비누는 친수성과 소수성을 동시에 가진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소수성 부분은 기름과 결합해 기름때를 제거하며, 친수성 부분은 물과 결합해 기름때가 물에 쉽게 씻겨나가도록 돕는다. 이 작용 덕분에 비누는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성질의 물질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원리는 단순히 기름때 제거를 넘어 세균을 없애는 데도 효과적이다.

 

 

 

December 1882: P&G Advertises Ivory [사진=P&G]

 

 

 

 

비누의 발전과 역사

비누 제조법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발전해왔다. 동양에서는 식물성 기름과 잿물을 사용한 비누가 주류였고, 서양에서는 동물성 기름을 활용한 비누가 널리 사용됐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잿물을 사용해 세탁과 목욕을 했다. ‘비누’라는 단어는 17세기부터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양 문물이 들어오기 시작한 개화기에 현대적인 형태의 비누가 도입됐다.

비누라는 단어는 포르투갈어인 사버웅(sabão)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한국에 들어온 서양 문물과 함께 자리 잡았다.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비누가 등장하며 생활 전반에서 사용되고 있다.

 

 

 

 

피부에 붙은 지방질을 분해, 세균 억제 효과

세균은 피부에서 분비된 지방질에 붙어 번식하는 경우가 많다. 비누는 이 지방질을 분해해 세균의 서식 환경을 제거한다. 약산성을 띠는 비누는 세균의 세포막을 녹여 세포를 파괴하기도 한다. 비누칠을 한 뒤 30초 이상 손을 문지르면 세균의 대부분이 제거된다. 또한, 비누가 물에 녹으면 표면장력이 낮아지면서 거품이 잘 생기는데, 이 거품은 기름때와 물을 더 잘 섞이게 만들어 세정력을 높인다.

비누와 의학의 연결고리

의학자들은 비누를 인류의 생명을 가장 많이 구한 발명품으로 꼽는다. 공중보건의 혁신을 이끌고 감염성 질환의 주요 원인인 세균을 제거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했기 때문.

우리는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손 씻기의 중요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깨닫기도 했다. 비누로 손 씻기 하나로 바이러스가 눈, 코, 입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깨끗한 손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주변 사람들에게 바이러스를 전달할 위험을 크게 줄인다. 이 간단한 행동은 지역사회 전체의 감염 위험을 낮추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자연의 선물 라텍스, 고무 이야기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고무는 식물이 상처를 보호하기 위해 분비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