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비행기 탈 때 귀 먹먹? 이것 하나면 해결된다

과학 상식

비행기 탈 때 귀 먹먹? 이것 하나면 해결된다

sciencewave 2025. 3. 6. 15:52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혹은 고속 엘리베이터를 타고 급격한 고도 변화를 경험할 때 많은 사람들이 귀가 ‘먹먹해지는’ 불편함을 느낀다. 이는 실제로 귀 내부에서 압력 불균형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점은 껌을 씹거나 침을 삼키는 행동으로 간단히 불편함을 완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같은 현상을 귀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압 조절 원리로 알아봤다.

 

 

귀의 해부학과 기압 조절

사람의 귀는 크게 외이(바깥귀), 중이(가운데귀), 내이(속귀)로 구분된다. 중이는 고막과 세 개의 작은 귓속뼈(이소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소골을 통해 소리가 내이로 전달된다. 그러나 중이 내부는 밀폐된 공간이기 때문에 외부와의 기압 변화가 발생하면 귓속 압력과 바깥 공기 압력 사이의 차이가 생긴다.

이러한 기압 차이를 조절하는 핵심 구조가 바로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 이관)이다. 유스타키오관은 중이와 비인두(코 뒤쪽과 목구멍 상부)를 연결하는 작은 관으로, 길이는 약 3.5~4cm 정도이며 성인에서는 비교적 가늘고 길게 뻗어 있다. 이관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 중이의 기압 조절: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이관이 닫혀 있지만, 침을 삼키거나 하품을 하면 열리면서 공기가 드나들어 중이와 외부 공기의 압력을 동일하게 만든다.
  • 중이의 환기 기능: 이관을 통해 중이의 공기가 외부로 순환하면서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 분비물 배출: 중이에서 생성된 점액이나 체액이 이관을 통해 비인두 쪽으로 배출되면서 중이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한다.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

평소에는 유스타키오관이 닫혀 있지만, 침을 삼키거나 하품을 하면 순간적으로 열리면서 중이 내부의 공기가 외부 공기와 교환된다. 하지만 비행기 이착륙처럼 외부 기압이 급격하게 변화하면 이관이 순간적으로 기압을 조절하기 어려워진다.

  • 이륙할 때(고도가 올라갈 때): 외부 기압이 감소하면서 중이 내부의 상대적인 압력이 높아진다. 이로 인해 고막이 바깥쪽으로 팽창하며 먹먹한 느낌을 유발한다.
  • 착륙할 때(고도가 낮아질 때): 외부 기압이 증가하면서 중이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고막이 안쪽으로 당겨지며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때 유스타키오관이 원활하게 열리지 않으면 기압 차이가 해소되지 않고 귀가 막힌 듯한 상태가 지속된다. 특히 감기나 알레르기로 인해 코가 막히거나 비강(코 안쪽) 점막이 부어 있을 경우, 유스타키오관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서 귀먹먹한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껌을 씹으면 귀가 뚫리는 이유

껌을 씹는 행위는 생리학적으로 유스타키오관을 여는 데 직접적인 도움을 준다.

  • 턱과 이관 근육의 자극: 껌을 씹으면 하악(아래턱)이 지속적으로 움직이며, 이 과정에서 이설골근(mylohyoid muscle), 구개근(soft palate muscles), 익돌근(pterygoid muscles) 등 유스타키오관과 연결된 근육들이 반복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한다. 특히 연구개거상근(levator veli palatini)과 연구개긴장근(tensor veli palatini)이 활성화되면서 유스타키오관이 열리고, 막혀 있던 공기가 통하게 된다.
  • 반복적인 침 삼키기 효과: 껌을 씹으면 자연스럽게 침을 자주 삼키게 된다. 침을 삼키는 동작만으로도 유스타키오관이 순간적으로 열리면서 중이와 외부 공기가 교환되고, 먹먹한 느낌이 해소된다.
  • 반사적 반응 촉진: 지속적으로 저작 운동(씹기)을 하면 신경 반사 작용을 통해 귀 주변 근육들이 활성화되면서 이관 개방이 원활해진다.

 

 

 

우주 비행사들이 말하는 ‘우주의 냄새’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주는 진공 상태로, 공기가 없기 때문에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