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세계에는 약 45,000종의 거미가 살고, 우리나라에서는 2024년 현재까지 약 700종이 알려져 있다. 거미는 해충을 잡아먹는 포식자이기 때문에 중요한 익충으로 인정받는다. 2024년 5월 초, 미국의 각종 언론은 뉴욕 남쪽 여러 주에서 서식처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 동아시아로부터 유입된 무당거미(Trichonephila clavata)에 대한 소식을 다투어 소개했다.
우리나라의 거미는 왕거미, 무당거미, 호랑거미를 제외하면 거의가 작은 종류이기 때문에 특별히 의식하지 않는다면 잘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나 무당거미는 대형이고 무섭게 생겼기 때문에 야외를 걷다가 갑자기 눈앞에서 그들을 만나면 흠칫 놀라기 쉽다.
무당거미는 유난히 큰 복부가 크다. 또한 복부는 진한 청색과 황금색 고리무늬에 붉은 반점까지 있기 때문에 모르는 사람은 무서운 독충이라도 만난 듯이 두려워한다. 그러나 무당거미는 사람이나 가축을 공격하지 않으며, 작은 벌레를 마비시킬 정도의 독만 가지고 있다. 그들이 무섭게 생긴 이유는 천적인 새들을 피하도록 진화된 방법인지도 모른다.
무당거미는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의 동아시아에 사는 종류이다. 미국에서는 무당거미를 조로 스파이더(Joro spider)라 부른다. ‘조로’는 일본에서 무당거미를 ‘조로구모’라 부르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무당거미는 대식가이기 때문에 복부가 유난히 크다. 암컷의 몸통 길이는 17-30mm이고, 수컷은 7-10mm로 훨씬 작다. 5월 경에 알에서 깨어난 새끼는 10여 차례 탈피를 하여 초가을이 되면 최대 크기로 성장한다. 교미를 한 암컷은 400~1,500개의 알을 낳아 거미줄로 짠 1개의 알주머니에 싸서 나뭇가지나 낙엽에 붙여둔다. 산란이 끝난 암컷은 수명을 다한다.
무당거미는 왕거미보다 높은 위치에 더 크게 거미줄 그물을 친다. 나뭇가지 사이에 펼쳐진 거미줄은 최대 3m에 이르기도 한다. 무당거미의 거미줄은 다른 거미와 달리 3가닥의 거미줄을 결합해 한 가닥으로 만들며, 접착력이 강하다. 거미줄에는 모기, 파리, 나방, 야생벌 등 온갖 비행 곤충들이 걸려든다. 거미는 '살아있는 농약'이라 불리는 대표적인 익충이다.
무당거미가 미국 대륙 특히 조지아주와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도시 정원에서 다수가 발견된다는 기록은 10여 년 전부터 알려지고 있었다. 하지만 곤충학자들은 2010년쯤에 수출 화물이 실린 컨테이너에 붙어 미국으로 전래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현재 미국의 방송 신문 뉴스들은 이 무당거미가 빠르면 금년 여름에 뉴욕과 뉴저지주까지 이동해올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한다.
무당거미는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오히려 해충을 잡아주는 익충이지만, 복부가 유난히 크고 다리가 길며, 입체적인 거미줄을 대형으로 치는 그들이 무섭게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그들에게 무당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도 황금색 고리무늬가 유난히 두드러지기 때문일 것이다. 황금색 마디 무늬가 있는 그들의 긴 다리는 대형 거미줄을 설치하기에 편리하다.
무당거미의 거미줄은 햇빛이 비치면 옅은 황금색을 띤다. 바람이 강하게 불면, 그들은 거미줄을 낙하산으로 하여 수십 수백km를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다. 클렘슨대학의 곤충학자 코일(David Coyle) 교수는 ‘조로거미는 매우 순하고 부끄럼을 타며, 잘못하여 물리더라도 모기에게 쏘인 것보다 증세가 가벼울 것’이라고 말한다.
미국 대륙에 무당거미가 번성하더라도 두려워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무당거미가 많이 사는 한국에서 아무도 이 거미를 비난하지 않기 때문이다. 무당거미의 생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EBS가 2010년 5월 1일에 방영한 영상학습자료 - 안산원곡초등학교 이상인 교사의 <화려한 건축가 무당거미> -를 참고하기 바란다. - YS
한국의 무당거미 미국에서 대소동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세계에는 약 45,000종의 거미가 살고, 우리나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을 조작할 수 있을까? 루시드 드림의 과학 (0) | 2025.03.06 |
---|---|
美 마약과의 전쟁, 신약 개발로 진통제 오남용 해결되나 (0) | 2025.03.06 |
비행기 탈 때 귀 먹먹? 이것 하나면 해결된다 (0) | 2025.03.06 |
우주 비행사들이 말하는 ‘우주의 냄새’ (1) | 2025.03.06 |
탄수화물과 식이섬유 (1)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