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밤하늘에서 달이 사라진다. 조용히 어둠에 잠식되었다가, 붉은 빛을 머금고 다시 떠오른다. 개기월식이다. 평소 밝고 온화한 느낌을 주는 달과 다르게 어둡게 붉은 빛으로 물들어가는 달을 보고 있노 라면, 자연이 얼마나 경이로운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오는 3월 16일(한국시간), 이 순간이 펼쳐진다. 이번 개기월식은 북미와 남미 전역에서 가장 뚜렷하게 보일 예정이며, 유럽과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도 달이 지기 전까지 부분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아쉽게도 한국은 대낮이기 때문에 이번 개기월식을 볼 수 없다. 그러나 NASA 공식 유튜브 채널이나 공식 웹사이트(NASA TV)를 통해 고해상도의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이 그래픽은 월식의 진행 과정을 세계 표준시(UT)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래픽에서는 천구의 북쪽이 화면 상단에 위치하며,
달이 뜰 때 하늘에서 반시계 방향(왼쪽)으로 회전하고,
달이 질 때 하늘에서 시계 방향(오른쪽)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보인다. [자료=Sky & Telescope]
지구에 대기가 없다면, 개기월식 동안 달은 완전히 검게 보일 것이다. 그러나 태양빛 중 일부가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며 굴절되어 지구의 본그림자(엄브라) 안으로 들어오게 되며, 이로 인해 개기월식 동안 달의 표면이 붉은빛을 띠게 된다. [자료= Sky & Telescope]
월식은 태양, 지구, 달이 정확히 일직선으로 정렬될 때 발생한다. 이때 지구가 달을 완전히 가리면 개기월식이 되고, 부분적으로 가리면 부분월식이 된다. 하지만 개기월식 동안에도 달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평소와는 전혀 다른 모습, 깊은 붉은빛을 띤 채 밤하늘에 떠오른다.
그 이유는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빛이 달을 비추기 때문이다. 태양빛이 지구 대기를 통과하는 동안 짧은 파장의 푸른빛은 산란되고, 긴 파장의 붉은빛만 남아 달에 도달한다. 이는 마치 지평선 근처에서 해가 질 때 하늘이 붉게 보이는 현상과 같은 원리다. 그 결과, 개기월식 중의 달은 마치 핏빛처럼 붉게 보이며 ‘블러드 문’이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달의 궤도면은 지구의 공전 궤도면에 대해 약 5도 기울어져 있어, 모든 보름달에 월식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개기월식은 평균적으로 약 2.5년에 한 번 발생한다.
한국에서는 9월에 관측 가능
오는 16일 개기월식은 한국에서는 관측할 수 없지만, 다행히도 올해 안에 한국에서도 개기월식을 볼 기회가 있다. 2024년 9월 7일,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아프리카, 호주, 유럽에서 개기월식이 일어나며, 우리나라에서도 선명한 블러드문을 볼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2026년 3월 3일에는 한국에서도 개기월식이 발생할 예정이며, 이는 대규모 천문 현상을 직접 관측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유기물과 무기물 어떻게 구분할까?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리는 매일 유기물과 무기물 속에서 살아간다. 아침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SA가 조니 김을 우주에 보낸 진짜 이유 (1) | 2025.04.02 |
---|---|
벌새 새끼의 기묘한 위장술, 애벌래 위장해 포식자 속인다 (0) | 2025.04.02 |
유기물과 무기물 어떻게 구분할까? (0) | 2025.04.02 |
과학쿠키 이효종, 윤하 남편되다 (1) | 2025.04.02 |
2025년 개기월식이 온다, 3년 만에 만나는 블러드문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