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대만 해저서 발견된 턱뼈, 고대 인류 데니소바인 가능성

과학 상식

대만 해저서 발견된 턱뼈, 고대 인류 데니소바인 가능성

sciencewave 2025. 4. 21. 09:36
 

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2008년, 대만 해협에서 조업 중이던 어선의 그물에 사람의 턱뼈로 보이는 화석이 걸려 올라왔다. 이후 골동품 상점에 판매되었다가 수집가를 거쳐 박물관에 기증된 이 턱뼈는, 처음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유골로 분류됐다. 최근 분석 결과, 이 화석이 멸종한 고대 인류인 데니소바인으로 추정돼 눈길을 끈다.

고대 인류 데니소바인 흔적, 동아시아 해역에서 첫 포착

데니소바인은 2010년 처음 명명된 고대 인류 집단으로,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지금까지 이들의 화석은 시베리아 데니소바 동굴, 티베트 고원, 라오스의 일부 동굴에서만 발견된 바 있으며, 그 수가 매우 적다.

이번에 분석된 턱뼈는 해양 무척추동물의 흔적을 바탕으로 플라이스토세 시기의 것으로 추정됐다. 보존 상태는 양호하지 않아 DNA 분석은 불가능했지만, 연구진은 단백질 일부를 추출해 기존 데니소바인 표본과 비교했다. 분석 결과, 시베리아 데니소바 화석에서 확인된 단백질 서열과 유사성이 관찰됐다.

 

 

 

데니소바인으로 추정되는 화석 턱뼈가 발견된 펑후 해협 인근. [사진=Takumi Tsutaya via AP]

 

 

DNA 없이도 계통 추적, 단백질 분석의 역할

DNA가 남아 있지 않은 고대 유골에서도 단백질 분석을 통해 인류 계통을 유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는 방법론적으로도 주목을 받는다. 특히 단백질은 DNA보다 열과 시간에 더 강하기 때문에, 열대나 해양 환경에서 출토된 화석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연구에는 대만, 일본, 덴마크 연구진이 참여했으며, 결과는 학술지 Science에 발표됐다. 공동 저자인 츠타야 타쿠미 박사는 데니소바인 화석 자체가 드물기 때문에, 이번 표본은 이들의 활동 영역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플라이스토세 시대(약 260만 년 전~1만 1,700년 전) 대만 지역에 살았던 데니소바인 남성의 가상 복원도.

[사진=Cheng-Han Sun via AP]

 

 

데니소바인의 흔적, 해석은 계속된다

이번 분석은 데니소바인과의 유사성을 보여주지만, 확인된 단백질의 양과 해석의 한계로 인해 계통을 단정짓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지적도 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 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의 릭 포츠 박사는, 분석 자체는 매우 고무적이지만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데니소바인은 2010년 러시아 시베리아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처음 알려진 고대 인류 집단으로, 네안데르탈인과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계통이다. 현생 인류와도 교배했던 이들의 유전자는 오늘날 파푸아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필리핀 네그리토족 등의 DNA에 남아 있으며, 그 비율은 최대 5%에 이른다. 특히 티베트 고원의 고산 적응 유전자가 데니소바인에서 기원했다는 사실은, 이들이 단순한 유전적 흔적을 넘어서 생존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보여준다. 반면 이들의 실체를 보여줄 수 있는 화석은 손가락뼈, 치아, 턱뼈 일부에 불과해, 생김새나 문화적 특징에 대한 복원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데니소바인은 인류 진화사의 큰 흐름 속에서 존재는 분명하지만, 실체가 잘 드러나지 않은 계통으로 남아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에 발견된 턱뼈는, 인류학에 실질적인 단서를 제공하며, 이들의 활동 범위가 해안 지역까지 확장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삼중수소와 헬륨-3은 어떤 원소인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인공 동위원소인 삼중수소와헬륨-3의 발견 오스트레일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