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요즘 유튜브나 틱톡을 보면 사람처럼 말하고 표정 짓는 AI 얼굴이 뉴스나 상품 설명에 등장하는 장면이 낯설지 않다. AI 앵커, AI 튜터, AI 은행원까지, 디지털 아바타는 콘텐츠의 전면에 나서고 있다.
그렇다면 과학 설명도 이들에게 맡길 수 있을까?
최근 독일 고급인터넷연구센터(CAIS)는 과학 정보를 전달하는 AI 아바타의 ‘얼굴’이 시청자의 신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실험했다.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누가 말하느냐가 아니라 어떤 얼굴이 말하느냐가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사람 같은 AI 아바타, 왜 더 신뢰받을까
연구팀은 실제 사람처럼 정밀하게 구현된 AI 아바타와 만화풍의 단순화된 아바타를 각각 남성과 여성 버전으로 구성해 총 네 가지 유형의 실험 영상을 제작했다. 실험 참가자 500명은 이들이 동일한 과학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을 본 뒤, 신뢰도와 인상에 대해 평가했다.
이번 연구는 실제 인간과의 비교가 아니라, AI 아바타의 외형 차이에 따른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같은 내용을 전하더라도, 만화처럼 생긴 아바타보다 현실에 가까운 외모를 가진 아바타가 더 높은 신뢰를 얻었다.
결과는 직관과 달랐다. 너무 사람처럼 생긴 존재는 오히려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언캐니 밸리’(Uncanny Valley, 불쾌한 골짜기) 이론이 있지만, 이번 실험에서는 그런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시청자들은 현실적인 외모를 가진 아바타에게서 더 큰 유능함과 진정성을 느꼈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일부 확인됐다. 남성 아바타가 다소 더 전문가처럼 인식되었지만, 정직성이나 호감도 면에서는 유의미한 성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 AI에 대한 친숙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 역시 신뢰도 평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된 아바타들을 합성한 이미지. [사진=Jasmin Baake 외]
단, 이번 실험에서 언캐니 밸리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는 결과가 반드시 외형의 기술적 완성도 때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실험에 사용된 콘텐츠가 ‘과학 정보’라는 비교적 이성적이고 논리 중심의 내용이었다는 특수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시청자 입장에서 감정적 공감을 유도하지 않는 콘텐츠일수록, 아바타의 표정이나 움직임에 대한 심리적 민감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아바타가 정서적 호소력이 큰 뉴스나 감정 중심 콘텐츠에 등장했다면, 다른 반응이 유도됐을 가능성도 있다. 콘텐츠 장르에 따라 언캐니 밸리 민감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향후 연구에서 검증되어야 할 영역이다.
국내 콘텐츠 현장에서도 적용 가능성
AI 아바타를 사용하는 흐름은 한국에서도 감지된다. 딥브레인AI는 김주하 아나운서를 본뜬 AI 앵커를 뉴스 영상에 적용했고, 2022년 대선에서는 윤석열 후보의 AI 아바타가 선거 유세 콘텐츠에 등장했다. 해당 콘텐츠들은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으며, 업계에서는 시청자의 체류 시간을 늘리고 몰입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도 나온다.
아직 구체적인 수치나 효과 분석은 제한적이지만, 이 같은 사례는 AI 아바타가 콘텐츠 소비 방식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뉴스, 교육, 금융, 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폭이 확대되는 가운데, 과학 콘텐츠도 그 흐름을 따라갈 가능성이 충분하다.
신뢰는 얼굴에서 시작될까
픽셀로 구현된 과학자일지라도, 그 얼굴이 진짜처럼 느껴진다면 우리는 그 설명을 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나 신뢰는 단순히 정교하게 만든 외모 하나로 완성되지 않는다. 콘텐츠의 성격, 전달 방식, 수용자의 기대와 맥락에 따라, 같은 얼굴도 전혀 다른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번 실험은 과학 콘텐츠라는 비교적 감정적 개입이 낮은 장르에 한정된 결과다. 감정 공감이 중요한 콘텐츠에서는 같은 아바타가 불편함을 줄 수도 있다. 결국 중요한 건 기술이 얼마나 사실적으로 구현됐는지가 아니라, 그 기술이 어디에서, 어떻게 사용되느냐다.
임신한 어룡 화석 발견…태아와 식사 흔적까지 남았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칠레 파타고니아에서 발견된 임신한 어룡 화석이 학계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의 기원, 다시 쓰나?···지구 내부에서 찾은 수소의 흔적 (0) | 2025.04.21 |
---|---|
인공 꽃가루, 꿀벌 생존 가능성 입증… 대체 사료 될까 (0) | 2025.04.21 |
임신한 어룡 화석 발견…태아와 식사 흔적까지 남았다 (0) | 2025.04.21 |
대만 해저서 발견된 턱뼈, 고대 인류 데니소바인 가능성 (0) | 2025.04.21 |
삼중수소와 헬륨-3은 어떤 원소인가?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