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인공으로 만든 초(超)우라늄 원소들
천연의 우라늄(원소번호 92)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원소 중에서 가장 무겁다. 1940년부터 과학자들은 우라늄보다 더 무거운 인공 우라늄(초우라늄 원소 transuranium elements)들을 만들기 시작하여, 2010년까지 20개의 초우라늄을 만들었다.
20세기의 핵물리학 발전을 이끈 과학자 가운데 한 사람인 이탈리아의 엔리코 페르미(Enrico Fermi 1901-1954)는 1933년, 대부분의 원소들은 그 핵이 중성자를 잘 흡수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원소를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1934년에 우라늄 핵에서 방출되는 중성자를 이용하여 새로운 핵을 만드는 실험에 착수했다. 그러나 그의 실험은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미국의 핵물리학자인 에드윈 맥밀런(Edwin McMillan 1907-1991)은 1940년에 원자번호 93인 새로운 인공원소 넵투늄(neptunium)을 처음으로 만들었다. 같은 해, 미국의 물리학자 글렌 디오도어 시보그(Glenn Theodore Seabog 1912-1999)는 원자번호 94인 플루토늄(plutonium)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맥밀런과 시보그는 새로운 인공원소를 만든 공로로 1951년에 노벨 화학상을 함께 수상했다.
이후 계속하여 초우라늄 원소가 만들어졌으며, 아래의 표와 같이 각 원소에는 대부분 유명 물리학자들의 이름이 붙여졌다.
원자번호 | 원소 이름 | 원소기호 | 연관 이름 | 발견 연도 |
93 | neptunium | Np | Neptune(해왕성) | 1940 |
94 | plutonium | Pu | Pluto(명왕성) | 1940 |
95 | americium | Am | America | 1944 |
96 | curium | Cm | Marie Curie | 1944 |
97 | berkelium | Bk | Berkely | 1949 |
98 | californium | Cf | California | 1950 |
99 | einsteinium | Es | Albert Einstein | 1952 |
100 | fermium | Fm | Enrico Fermi | 1951 |
101 | mendelevium | Md | Dmitri Mendeleev | 1955 |
102 | nobelium | No | Alfred Nobel | 1956 |
103 | lawrencium | Lr | Ernest Lawrence | 1961 |
104 | rutherfordium | Rf | Ernest Rutherford | 1966 |
105 | dubnium | Db | Dubna(국제핵연구소 소재 러시아 도시 이름) | 1968 |
106 | seaborgium | Sg | Glenn T. Seaborg | 1974 |
107 | bohrium | Bh | Niels Bohr | 1981 |
108 | hassium | Hs | Hessen(국제화학연구소 소재 독일의 주 이름) | 1984 |
109 | meitnerium | Mt | Lise Meitner | 1982 |
110 | darmstadium | Ds | Darmstadt | 1994 |
111 | roentgenium | Rg | Wilhelm Conrad Röntgen | 1994 |
112 | copernium | Cn | Nicolaus Copernicus | 2010 |
한스 베테의 별 에너지 이론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별의 에너지에 대한 한스 베테(Hans Bethe)의 이론 태양과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이란? (0) | 2025.04.21 |
---|---|
로봇공학의 3원칙이란? (0) | 2025.04.21 |
한스 베테의 별 에너지 이론이란? (0) | 2025.04.21 |
우라늄 핵분열 현상의 첫 발견 (0) | 2025.04.21 |
오파린의 '생명 기원설'이란?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