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야생 침팬지들이 자연 발효된 과일을 함께 나누어 먹는 모습이 카메라에 처음으로 포착됐다. 이는 침팬지들이 집단 내 관계를 다지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일환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국 엑서터대학교 킴벌리 호킹스 교수 연구팀은 아프리카 기니비사우 칸탄헤즈 국립공원에 설치한 동작 감지 카메라를 통해 이 같은 장면을 총 10차례 기록했다. 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 22일자에 실렸다.
침팬지들이 먹은 열매는 자연적으로 발효된 아프리카 빵나무의 과일이었고, 분석 결과 최대 알코올 도수는 0.61%로 확인됐다. 수치 자체는 낮지만, 침팬지의 식단에서 과일이 차지하는 비율이 60~85%에 이른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은 평소에도 다양한 과일을 통해 소량의 알코올을 반복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연구진은 침팬지들이 알코올이 포함된 과일을 의도적으로 선택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단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다만, 먹이를 공유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침팬지가 발효된 과일을 나눠 먹는 모습은 단순한 영양 섭취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연구팀은 이러한 행동이 인간의 음주 문화처럼 집단 내 유대감을 형성하는 방식일 가능성에 주목했다.
알코올이 든 발효 과일 나눠 먹는 침팬지들 [사진=Current Biology / Anna Bowland et al]
제1저자인 애나 볼랜드 연구원은 “인간은 술을 통해 편안함을 느끼고, 타인과 정서적 유대를 강화한다”며 “이번 관찰은 침팬지가 발효 과일을 나눠 먹는 행동을 어떤 맥락에서 하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의문을 제기한다”고 설명했다.
킴벌리 호킹스 교수는 이미 2015년, 서아프리카 기니에서 침팬지들이 자연 발효된 야자 수액을 마시는 모습을 관찰해 보고한 바 있다. 당시 측정된 알코올 도수는 약 3%로, 이번보다 더 높은 수치였다. 하지만 알코올 섭취가 침팬지의 신진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이들이 왜 알코올이 든 음식을 반복적으로 소비하는지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인간은 술을 통해 행복감과 편안함을 느끼고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한다.이번 발견은 침팬지도 알코올 과일을 의도적으로 나눠 먹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흥미로운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연구팀 "함께 술 마시는 '잔치' 초기 진화 행동 가능성"
학계에서는 알코올에 취하는 것이 생존 확률을 높이는 데 직접적인 이점이 없다는 점에서, 이 행동에 다른 진화적 이유가 있을 것으로 본다. 최근에는 인간과 침팬지의 공통 조상에게서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이 강화됐다는 분자 진화 연구 결과도 발표되면서, 발효 과일을 통한 알코올 섭취가 생물학적으로 깊은 뿌리를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호킹스 교수는 “침팬지가 항상 음식을 공유하지는 않기 때문에, 발효된 과일을 함께 나누는 행동은 단순한 식사가 아닌 공동 활동의 형태일 수 있다”며 “이런 장면은 잔치 또는 의례적 소비의 초기 형태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존생물학, 생태학, 동물행동학, 인류학 등이 함께 참여한 칸탄헤즈 침팬지 프로젝트의 일부로, 침팬지의 식이 행동을 넘어 사회적 구조와 상호작용의 기원을 탐색하는 학제 간 접근의 사례다.
우주의 종말 상황을 예측하는 3가지 이론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과학자들은 우주가 빅뱅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이론을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에 대한 드레이크 방정식이란? (0) | 2025.04.24 |
---|---|
호스폴의 발암물질 이론은? (0) | 2025.04.24 |
우주의 종말 상황을 예측하는 3가지 이론 (0) | 2025.04.24 |
'나와라 만능손', 무른 과일도 부드럽게 집는 로봇손 개발 (0) | 2025.04.24 |
관측 편향이 만든 착시···탄소질 운석의 미스터리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