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해수면 상승 높이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온실가스의 영향으로 기온이 상승하여 남북극의 얼음이 대규모로 녹아 바다로 흘러들어 해수면이 높아지고 있다는 뉴스가 계속 나온다. 그 동안 해수면은 얼마나 상승했을까? 해수면 수위의 변화를 조사하는 일은 기상관측 기관의 일이다.
현대적 기상관측이 시작된 때는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전신기가 발명된 1835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방송기술의 발달, 컴퓨터 활용, 기상관측위성의 이용 등은 기상관측 기술을 크게 발전시켰다. 우리나라에서 현대적 기상관측이 시작된 때는 1904년이었고, 세계기상기구(WMO)에 가입한 해는 1956년이었다.
1870년 이후 2004년까지 134년 동안에 해수면의 평균 수위는 195mm가 높아졌고, 1950년부터 2009년까지 59년 동안에는 매년 1.7mm 상승했으며, 인공위성에서 1993년부터 2009년까지 16년간 측정된 결과에 의하면 매년 3.3mm 상승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이 수치를 보면 해수면 상승 정도는 해가 갈수록 조금씩 증가해 왔다.
2007년에 있었던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의 발표에 의하면, 21세기 동안에 해수면은 지금보다 18~59cm 더 상승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미국국립연구회의(US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는 21세기 말까지 56~200cm가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도 하고 있다. 더군다나 4~6m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보고하는 기관도 있다.
해수면의 높이는 지역에 따라 약간 차이가 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각(地殼)이 상승 또는 침하(沈下)하고 있는 지역이라면 다른 곳보다 더 낮거나 높을 것이다. 또 빙하가 무겁게 누르고 있는 곳일 경우, 얼음이 녹아내리면 그 땅은 가벼워져 약간 상승하게 될 것이다. 이 외에도 수온 상승에 의한 해수의 팽창, 달과 태양의 궤도 변화에 의한 중력의 영향, 해류의 변화, 해일 등이 원인이 된다.
또한 해수면 높이는 기상 상태에 따라서도 약간 변화가 생긴다. 예를 들어 남극대륙이나 그린란드에 눈이 많이 내린 해와 그렇지 못하고 많이 녹기만 한 해 사이에는 경우에 따라 8mm 정도 수위 차이가 생기고 있다. 빙하학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그린란드를 덮고 있는 얼음이 1년 동안에 녹아내리는 양은 약 2,000억톤이라 추정한다.
해수면 상승으로 당장 위기에 처한 나라
해빙(解氷)에 의한 수위 상승을 예축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여, 학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난다. 그러나 2011년의 한 보고에 의하면, 남극대륙과 북극권의 빙상이 녹음에 따라 2050년까지 해수면이 32cm 정도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의 유명 대도시, 예를 들면 런던, 뉴욕, 미국 남부의 뉴올리언스 같은 곳은 해수면 상승에 매우 취약하다.
인도반도 끝 인도양에 있는 몰디브(Maldives) 공화국은 크고 작은 여러 산호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이고, 투발루(Tuvalu)는 태평양의 폴리네시아에 있는 섬나라이다. 이 두 나라는 특히 위험한데, 2100년이 되면 몰디브의 국토는 전혀 없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네덜란드는 국토의 많은 부분이 해수면보다 낮기 때문에 제방으로 바다를 막아 육지를 보호하고 있다. 그러므로 해수면 상승은 네덜란드 같은 나라가 가장 심한 피해를 입을 것이다. 네덜란드에서 2008년에 나온 한 보고서는 북해의 수면이 상승할 것을 대비하여 바다를 막은 제방과 강의 둑을 전부 재구축하는 사업에 2200년까지 1,440억 달러(약 150조원)의 예산이 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2100년까지 견디려면 지금보다 1.3m를, 2200년을 대비해서는 2~4m를 높여야 한다고 했다.
빙하기는 언제 왜 있었나?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과거에 적어도 5차례 빙하기가 지나갔다 어떤 이유 때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수면 상승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0) | 2025.05.14 |
---|---|
해수면 수위를 높이는 최대 요인은? (0) | 2025.05.14 |
빙하기는 언제 왜 있었나? (0) | 2025.05.14 |
태고의 지구 환경은 어땠을까? (0) | 2025.05.14 |
과거에도 이상기후가 있었을까? (1)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