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6 글 목록 (10 Page)

2025/06 95

스페이스X 스타십 9차 시험비행 실패…원인은?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스타십 9차 시험비행, 궤도 진입 성공했으나 위성 배출·재진입 모두 실패페이로드 도어 미작동, 연료탱크 누출, 통제력 상실로 통신 두절1단 로켓 슈퍼 헤비도 회수 실패… 인도양 상공 해체 추정스페이스X는 지속적 시험 예고, 미국 우주 전략 핵심 과제로 주목​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추진하는 초대형 재사용 발사체 ‘스타십(Starship)’의 9차 시험비행이 또다시 실패로 귀결됐다. 발사 자체는 성공했으나, 페이로드 분리 실패와 대기권 재진입 통제력 상실 등 복합적 기술 문제가 발생하며 임무는 조..

천문학 2025.06.05

올여름 홍수 위험지도 공개…AI가 콕 집어냈다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해마다 반복되는 침수, 교통 마비, 인명 피해. 피해 지역도, 원인도 대체로 비슷하다. 기후위기와 도시화가 맞물리면서 홍수는 더 이상 예외적인 재난이 아니라 매년 반복되고 있다.​행정안전부 재해연보를 기반으로 환경부가 ‘기후위기 대응 홍수방어기준 수립 연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매년 평균 13건의 홍수 피해가 발생했고, 연평균 3,200억 원의 재산 피해와 2천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피해 지역은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과 주요 중소도시에 집중됐고, 같은 지역에서 ..

호모 에렉투스 흔적 해저 발견, 인류 진화 실마리 찾다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인도네시아 마두라 해협 해저에서 호모 에렉투스 두개골 조각 발견사냥 흔적···문화적 교류 또는 유전적 접촉 가능성 ​지금은 바다 밑에 잠긴 인도네시아 해역에서, 고대 인류 호모 에렉투스의 유해와 사냥 흔적이 최초로 확인됐다. 이 발견은 동남아시아가 단순한 고립지가 아니라, 인류 확산과 생존 전략 변화의 핵심 무대였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지금의 동남아시아는 수많은 섬들로 나뉘어 있지만, 약 14만 년 전 빙하기 동안 이 지역은 전혀 다른 지형을 이루고 있었다. 당시 지구 평균기온이 낮아지면서 극지방..

앤스로픽 ‘클로드 오푸스4’, 챗GPT와 정면승부…AI 자율성 시대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AI 기술의 다음 단계는 ‘자율성’이다.미국 AI 스타트업 앤스로픽(Anthropic)은 22일 최신 모델 ‘클로드 오푸스4(Claude Opus 4)’를 공개했다. 앤스로픽 ‘클로드 오푸스4’는 자율성을 전면에 내세운다. 단순한 문답 기능을 넘어, 사용자 개입 없이 수 시간 이상 작업을 이어가며 자율적으로 목표를 추적하고 실행하는 능력을 갖춘 점이 핵심이다. 앤스로픽은 이를 “AI의 실용성과 자율성을 동시에 구현한 기술적 분기점”으로 규정한다. 오픈AI의 공동 창립자였던 다리오 아모데이 형제가 202..

제임스 웹, 허블 상수 오차 줄였다···우주 팽창률 논쟁 해소 가능성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제임스 웹으로 허블 상수 측정 정확도 크게 향상우주 팽창 속도 계산 방식 간 수치 차이 대부분 해소표준 우주 모델(ΛCDM) 유지 가능성 높아져​우주는 시간이 지날수록 팽창하고 있다. 그런데 그 속도를 어떻게 측정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랐다. 이 ‘허블 상수(Hubble constant)’는 우주의 현재 크기와 미래 운명을 예측하는 핵심 지표지만, 지난 10여 년간 두 가지 측정 방식이 서로 다른 값을 제시해왔다. ​첫 번째 방식은 우주의 과거, 즉 빅뱅 직후 방출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복사(CMB)..

천문학 2025.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