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6 글 목록 (9 Page)

2025/06 95

인공 감미제 여러가지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설탕을 대신하는 중요 인공감미제 세상에는 혀의 미각을 달콤하게 느끼도록 하는 물질(인공감미제)이 수백 가지 물질이 알려져 있다. 그들은 대부분이 화학자들이 인공적으로 합성한 감미물질이다. 그러나 감미제라고 하면 무엇보다 인체에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세계적으로 이용되는 여러 감미 물질의 단맛 비교 (설탕의 단맛 1)감미 물질화합물 상태단맛 정도유당(젖당)이당류0.16말토스이당류0.33-0.45소르비톨다당류0.6포도당단당류0.74-0.8설탕이당류1.00과당단당류1.17-1.75사이클라메이트황화물30-50..

과학 상식 2025.06.09

천연의 감미식품 종류와 감미의 정도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설탕 이외의 중요한 천연 감미식품​​ 과일이나 식물체의 수액에 포함된 단맛을 내는 천연의 감미 성분(sugar)에는 포도당(葡萄糖 glucose), 과당(果糖 fructose), 유당(乳糖 lactose), 엿당(maltose) 등이 있다. 사탕수수의 수액을 정제한 설탕(雪糖 sucrose)은 포도당 50%와 과당 50%로 구성되어 있다. 이 3가지 당분은 소화기관에서 전적으로 흡수되어 에너지로 변한다. 설탕 대신 사용되는 천연 감미료 몇 가지를 소개한다. ​ 벌꿀​꿀은 가장 역사가 오랜 천연의 감미물..

과학 상식 2025.06.09

음식물의 열량 단위 칼로리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음식물의 열량 단위 칼로리, 중요 음식물의 열량 1칼로리(cal)란 1g의 물 온도를 섭씨 1도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일상생활에서 음식물이 가진 열량의 단위로 사용하는 ‘칼로리’는 Cal, kcal(킬로 칼로리)라는 기호로 나타내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칼로리라 말하지만 그것은 1cal의 1,000배인 킬로칼로리를 나타낸다.​단백질과 탄수화물의 열량은 똑같이 1g당 4kcal이고(설탕도 탄수화물이므로 열량은 1g당 4kcal이다), 지방은 9kcal, 알콜은 7kcal의 열량을 가지고 있다. ..

과학 상식 2025.06.09

설탕과 사탕수수 이야기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인류 역사 속의 설탕의 역사 세계를 변화시킨 설탕의 역사 설탕의 원료가 되는 달콤한 수액을 만드는 사탕수수의 원산지는 인도와 열대 동남아시아이다. 이 지역에는 식물분류학상 몇 종류의 사탕수수가 자생하고 있다.​인도에서는 기원전 6-4세기에 사탕수수 대를 씹으면 달콤한 즙이 나오는 것을 알고, 사탕수수를 ‘꿀벌 없이 꿀을 만드는 식물’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당시의 인도 사람들은 사탕수수 즙보다 오히려 천연의 꿀을 더 쉽게 구할 수 있었으므로 설탕을 애써 만들지 않았다. 약 1,500년 전에 중동의 사막을..

과학 상식 2025.06.09

설탕은 인체에 해로운가?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설탕은 인체에 해로운 물질 아니다​​​1. 당분, 탄수화물이라는 물질2. 중요 과일과 채소에 포함된 당분의 비교표(g/100g)3. 한국인의 설탕 소비량4. 설탕은 과연 건강에 위험한가?​신문 방송에서는 설탕이 건강을 해치는 악의 식품인 것처럼 보도할 때가 흔히 있다. 과연 설탕은 인체에 해롭기만 한 물질인지 어느 정도 알 필요가 있다.​설탕을 넣지 않은 과자와 음료수 종류는 드물다. 설탕 없는 아이스크림이나 음료를 맛있다고 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설탕가루가 마루에 흩어져 있으면 개미들이 달려..

과학 상식 2025.06.09

천연감미료 스테비오사이드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열대 허브 식물​스테비아의 천연 감미물질 스테비오사이드​열대 브라질과 파라과이에 자생하는 스테비아(Stevia)라는 학명을 가진 식물(국화과에 속함)의 잎에는 설탕보다 수 백배 강한 감미를 가진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원주민들은 수천 년 전부터 차(茶)와 식품, 의약으로 이용해 왔다.​스테비아 잎에서 추출하여 정제한 물질의 성분은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라 불리며, 현재 이 물질은 강한 천연의 감미를 가졌으면서도, 인체에 에너지를 전혀 제공하지 않는 물질이기 때문에 당뇨환자와 다이어트를 원..

과학 상식 2025.06.09

스테비아란 어떤 식물인가?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설탕을 대신하는 천연의 감미 식물 스테비아​** 중요 내용 ** ​1. 감미식물 스테비아의 발견2. 천연감미료를 대신하게 된 식물 3. 한국서도 실내에서 재배 가능한 스테비아​4. 세계가 경쟁하는 천연 감미물질​5. 인체에 미치는 효과6. 건강을 돕는 스테비아의 항산화물질7. 설탕은 다이어트에 얼마나 불리한가?​​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벌꿀의 단맛보다 설탕의 감미를 더 좋아한다. 그러나 과체중이거나 혈당에 문제가 있는 분들은 꿀이나 설탕의 맛을 마음대로 즐기지 못하면서 살아간다. 그 이유는 설탕이 고열량..

과학 상식 2025.06.09

요드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요드(옥소, 아이어다인 Iodine, I)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53󰋯 족:17족(5주기), 할로겐(halogen)󰋯 원자량:126.9󰋯 밀도:4.923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18, 7󰋯 mp:113.7℃ / 󰋯 bp:184.3℃ 제17족에 속하는 F, Cl, Br, I, At (아스타틴) 그리고 인공원소인 117번 Uus (우눈셉튬) 이상 6가지 원소를 ‘할로겐 원소’(halogen)라 부른다. 이 용어는 스웨덴의 유명한 화학자 ..

과학 상식 2025.06.09

텔루륨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텔루륨(텔루르, Tellurium, Te)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52󰋯 족:16족(VIA), 준금속(metalioid)󰋯 원자량:127.60󰋯 밀도:6.24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18, 6󰋯 mp:449.51℃ / 󰋯 bp:988℃ 주석과 비슷하게 생긴 은백색의 준금속인 텔루륨(텔루르)은 비금속 원소인 산소, 황과 함께 16족에 속한다. 이 원소는 대단히 부스러지기 쉽고, 전기도 잘 통하지 않으며, 생물학적 기능은 알려진 것이 없으..

과학 상식 2025.06.09

안티모니(안티몬)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안티모니(안티몬, 앤티모니 Antimony, Sb)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51󰋯 족:15족(5주기), 준금속(metalioid)󰋯 원자량:121.760󰋯 밀도:6.697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18, 5󰋯 mp:630.63℃ / 󰋯 bp:1,587℃ 단단하면서 부스러지기 쉬운 은회색 광택을 가진 금속인 안티모니(영어 발음은 앤티모니)는 자연계에 순수한 모습으로도 존재하지만 대부분은 황화안티모니(Sb2S3)로 발견된다. 황화안티모니 원석..

과학 상식 2025.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