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얼음' 태그의 글 목록

얼음 3

빙권(氷圈)이 지구의 기온에 미치는 영향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기온에 영향을 주는 빙하와 빙권(氷圈) 지구 표면의 약 23%는 1년 4계절 얼음이 덮여 있다. 남극과 북극, 시베리아, 알래스카, 캐나다 북부, 그린란드, 그리고 만년설이 덮인 고산지대와 같은 곳을 빙권(氷圈 cryosphere)이라 부른다. 그런데 지구온난화는 이 빙권의 규모가 줄어들게 하고 있다. 알고 보면, 세계 인구의 4분의 1 이상이 빙권(히말라야 등)에서 공급되는 물을 식수와 농공업 용수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빙권이 축소되면 당장 수억의 인구가 물 부족을 겪어야 한다. 겨울에 지면에 내린 눈은 지온을 보온하고, 수를..

과학 상식 2025.05.08

온실효과의 주역은 왜 물인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온실효과의 주역은 물, 그 다음이 온실가스 지구는 태양 둘레를 도는 행성들 중에 생명체가 생존하기에 가장 적당한 환경, 그 중에서도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주범이 이산화탄소, 메탄, 오존, 프레온 가스 등임을 알고 있다. 그러나 지구의 기온을 따뜻하게 하는 원인은 태양(적외선의 영향 참고)을 제외하면 물의 영향이 가장 크다. 지구의 기온이 살기 좋을 만큼 따뜻할 수 있는 것은 지구가 물을 가득 담고 있기 때문이다. 물은 바다, 강, 호수, 빙하, 빙산, 지하, 대기 중에 있지만, 기온에 가장..

과학 상식 2025.05.08

얼음은 왜 물 위에 뜨는가? 만일 뜨지 않는다면?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얼음이 물 위에 뜬다는 사실을 의심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액체에서 고체로 변한 얼음이 왜 물밑으로 가라앉지 않는지 이유를 아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얼음이 물 위에 뜨는 이유를 바르게 알게 된 것은 아주 최근이기도 하다.​ 얼음이 물에 뜨게 된 물리학적 이유는 얼음의 밀도가 물보다 낮아졌기 때문이다. 고체인 얼음은 밀도가 더 높아져야 하는데 왜 액체 상태일 때보다 가벼워졌을까? 과학자들은 오래도록 그 이유를 이론적으로만 생각할뿐 확실한 답을 알지 못했다. ​물 분자를 보면, 수소 원자 2개는..

과학 상식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