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제임스웹' 태그의 글 목록

제임스웹 16

제임스 웹, 120억 년 전 은하 그룹 1678개 포착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제임스 웹, 가장 방대한 은하 샘플 관측···코스믹 웹 기원 추적하늘에 떠 있는 은하들은 사실 고립된 존재가 아니다. 중력으로 서로 얽혀 집단을 이루고, 이 집단들이 다시 실처럼 연결돼 우주 전체에 거대한 구조망을 형성한다. 이를 ‘코스믹 웹’이라 부른다. 하지만 이 복잡한 골격이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오랫동안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였다.​이번에 국제 연구진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을 통해 약 120억 년 전의 우주를 관측하고, 총 1,678개의 은하 그룹을 포착했다. 지금껏 확보된 가장 방대한 자료다. 단일 은하가 아닌 은..

과학 상식 2025.05.08

허블 우주망원경 35주년, NASA가 공개한 ‘우주의 창’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NASA가 허블 우주망원경 발사 35주년을 맞아 최근 촬영된 우주 이미지들을 공개했다. 화성, 별이 태어나는 성운, 가까운 은하 등 다양한 대상을 담은 이 이미지들은 허블이 여전히 활발히 관측을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허블은 1990년 4월 24일,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에 실려 지구 저궤도에 배치됐다. 이후 1,700만 건에 이르는 관측을 수행했고, 약 5만 5천 개의 천체를 연구했다. 이로 인해 2만 2천 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됐고, 인용 횟수는 130만 회를 넘는다. 수집된 데이터는 400TB에 달하며,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

과학 상식 2025.05.07

제임스 웹 vs 이벤트 호라이즌, 가장 정밀한 우주 망원경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600배 정밀한 단일 장비, 제임스 웹지구를 하나의 망원경처럼, 이벤트 호라이즌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는 약 38만 킬로미터. 오늘날 천문학자들이 사용하는 관측 장비는 이 거리에서 지름 7센티미터의 오렌지를 구분할 수 있을 만큼 정밀한 해상도를 구현한다. 이는 단순한 확대가 아닌, 우주의 구조를 미세하게 ‘구별’하는 능력의 차이다. 사람의 눈이 1킬로미터 거리에서 30센티미터 간격도 식별하기 어려운 것과 비교하면, 지금의 망원경 기술은 수십만 배 이상의 분해능을 확보한 셈이다. ​이 극단적 해상도의 구현은 크게 두 방향에서 이뤄졌다. 하..

과학 상식 2025.04.28

죽어가는 별이 만든 우주 먼지 고리…4000년간 형성된 물질의 구조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NASA는 최근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촬영한 행성상 성운 NGC 1514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공개했다. 사진에는 수천 년 전부터 시작된 별의 죽음 과정이 남긴 가스와 먼지 구조가 세밀하게 드러나 있다.​중적외선 관측을 통해 포착된 고리 모양의 먼지는 단순한 원형이 아니라 얽히고설킨 덩어리들로 이루어져 있다. 중심부에는 더 빠른 물질이 밀고 지나가며 만들어낸 구멍들이 퍼져 있다. 이 성운은 최소 4000년 전부터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지금도 계속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성운 중심에는 서로 가까운 거리에서 9년 주기로 도는 두 ..

과학 상식 2025.04.28

솜브레로 은하를 아시나요?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빛과 어둠이 수평으로 맞닿은 곳. 중심에는 밀도 높은 빛이 집약돼 있고, 그 위로 얇고 어두운 띠 하나가 정밀하게 가로지른다. 중심부는 부드러운 곡선을 따라 둥글게 솟아 있고, 그 둘레를 따라 먼지가 얇게 퍼져 있다. 전체 구조는 납작하고 평평하며, 위에서 보면 넓은 원반 형태지만, 측면에서는 챙 넓은 모자가 기울어진 듯한 형상을 드러낸다.​멕시코 전통 모자 ‘솜브레로’를 닮아 솜브레로 은하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구에서 약 2,900만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방향에 위치하며, 메시에 104번(M104)으로 분류된다. 멕시코 전통모자. ..

과학 상식 2025.04.23

제임스 웹 외계 신호 포착, K2-18b 생명체의 흔적일까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영화 속 외계인과 과학자들이 찾는 생명체 달라 제임스 웹, K2-18b에서 생명 분자 DMS 포착​우리가 상상하는 외계 생명체는 대개 인간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팔, 다리, 눈을 가진 존재가 다른 행성 어딘가에 살고 있으리라 믿는다. 하지만 실제로 과학자들이 찾는 생명체는 훨씬 단순하다. 그들은 미세한 분자, 특히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화학 물질을 통해 생명의 존재 가능성을 탐색한다. ​최근 캠브리지 대학교 연구팀이 흥미로운 데이터를 발표했다. 지구에서 약 124광년 떨어진 외계 행성 K2-18b에서 특이한 분자 신호가 포착됐다는 내..

과학 상식 2025.04.23

제임스 웹, 별 탄생 막는 은하 중심부 자기장 첫 포착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NASA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은하 중심부에서 별 탄생을 억제하는 강한 자기장을 처음으로 관측했다.​구름과 먼지에 가려졌던 사수자리 C 지역을 뚫고, 어린 별의 분출 활동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별이 거의 태어나지 않는 은하 중심부의 구조를 새롭게 이해하게 됐다.​제임스 웹, 구름 뚫고 어린 별 포착 연구팀은 2023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수자리 C(Sagittarius C) 별 탄생 지역 이미지를 분석했다.​이 지역은 우리 은하 중심부, 이른바 '중심분자구역(Central Molecular Zone)'에 위치해 있으며,..

과학 상식 2025.04.16

아인슈타인 예언의 완성··중력이 만든 완벽한 빛의 고리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1915년, 아인슈타인은 중력이 시공간을 휘게 하고, 그 곡률에 따라 빛의 경로도 휘어진다고 예측했다. 이 이론은 1919년 개기일식 관측을 통해 처음 검증됐으며, 이후 다양한 천문 현상을 설명하는 기반이 되었다. 최근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중력렌즈 효과가 이상적으로 나타난 사례인 아인슈타인 링을 정밀하게 관측했다. 이 현상은 일반상대성이론의 예측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 관측 사례다.​중력이 빛의 경로를 바꾼다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질량을 가진 천체는 주변 시공간을 휘게 만들고, 빛은 이 곡률을 따라 경로를 변경한다..

과학 상식 2025.04.14

우주 팽창의 비밀, 유클리드가 밝히는 ‘어두운 우주’의 실체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유럽우주국(ESA)이 암흑에너지의 정체를 밝히기 위한 ‘유클리드(Euclid, ESA 유럽우주국이 주도하고, NASA가 협력한 우주망원경 임무)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데이터를 공개했다. NASA도 함께 참여한 이번 미션은, 우주가 왜 점점 더 빠르게 팽창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최근 공개된 이번 데이터는 유클리드가 본격 임무에 앞서 관측한 일부 하늘 구역을 담고 있다. 아직은 ‘예고편’ 격이지만, 벌써 2,600만 개의 은하를 포착했다. 가장 먼 은하는 무려 105억 광년 떨어져 있다.​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이 우주 ..

과학 상식 2025.04.14

허블이 포착한 우주의 장관, 베일 성운의 생생한 디테일 공개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광활한 우주 속, 거대한 별이 폭발한 뒤 남긴 장엄한 잔해가 허블 우주망원경에 의해 또 한 번 선명하게 포착됐다. NASA와 유럽우주국(ESA)이 공개한 새로운 베일 성운(Veil Nebula) 이미지는 초신성 폭발 이후의 우주 변화를 생생하게 담아내며 이목을 끌고 있다.​미국 과학 뉴스 사이트 피즈(Phys.org)는 최근 NASA와 유럽우주국(ESA)의 허블 우주망원경이 베일 성운(Veil Nebula)의 새로운 이미지를 포착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관측은 허블의 와이드 필드 카메라 3(Wide Field Camera 3)를 활용해 수소..

과학 상식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