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수학은 무한의 과학
수학의 시점과 더 넓은 눈으로 탐구해 보는 무한에 대하여
수학적 무한의 개념을 다양한 과학적 관점에서 탐구하며, 일상적인 경험과는 다른 새로운 인식의 세계를 열어준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독창적이면서도 이해하기 쉽게 무한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며, 이를 철학적 사유와 과학적 논리로 풀어내고 있다. 이 책은 수학이나 물리학적 배경이 없는 독자라도 쉽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특히 수학의 경이로운 세계에 첫발을 내딛고자 하는 입문서의 역할을 한다.
저자의 친절한 설명과 직관적인 예시는 복잡한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길잡이가 되어준다. 더불어 수학의 추상적 개념이 물리학 및 철학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 다양한 지식으로의 확장 기회를 열어준다. 또한 무한이 우리 일상에 어떻게 자리할 수 있는지를 자연스럽게 깨닫게 해준다.
“무한소, 무한대의 이야기는 여러 가지의 동화에 등장하고 있다. 난쟁이의 ‘도깨비방망이’에서는 한번 휘두를 때마다 커진다. 잭과 콩나무의 ‘콩’의 덩굴은 하늘 높이 계속 성장하고 손오공의 ‘여의봉(如意擇)’도 어디까지나 커진다. 찾아보면 흥밋거리는 끝이 없다.” (p.20)
“실례로는 관동대지진 직후의 ‘한국인이 우물에 독을 넣었다.’라는 근거 없는 풍설로부터 무고한 사람들에 대한 학살, 제2차 대전 종전 시의 ‘미군으로부터 남자는 살해, 여자는 폭행을 당한다.’라는 유언비어, 또한 오일쇼크 때의 ‘화장지나 세제가 없어진다.’라는 데마에 따른 매점매석 등이 있다. 어떤 데마나 정보가 어떤 한 사람으로부터 10분간에 10명씩 전파된다고 할 때 1시간 후에는 무려 100만 명이 알게 되는 것이 된다. 이것은 ‘10의 12승’이라는 굉장한 수로 1조(此)를 넘기 때문에 현대의 지구의 전 인구 80억 명에게는 2시간도 안 되어서 알릴 수 있다.” (p.43)
““굉장한 유한이 무한인가”하면 그렇지는 않다. 모래의 수, 별의 수라 해도 커다란 유한이지 무한은 아니고 유한과 무한에는 커다란 도랑이 있어 전혀 ‘별개의 세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이 무한을 무언가의 방법으로 유한에 가두어 버릴 수는 있다.“ (p.109)
수평선 상의 보름달은 왜 크게 보이나?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수평선 위로 떠오르는 붉은 달을 보면, 중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바다를 빛내는 푸른빛의 정체, 녹티루카 (0) | 2025.02.24 |
---|---|
태양전지는 햇빛을 받으면 왜 전류가 흐를까? (0) | 2025.02.24 |
수평선 상의 보름달은 왜 크게 보이나? (0) | 2025.02.24 |
야행성동물의 초감각적 시각(視覺) (0) | 2025.02.24 |
무지개 빛을 내는 투명한 민물고기 – 그 이유?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