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태양전지는 햇빛을 받으면 왜 전류가 흐를까?

과학 상식

태양전지는 햇빛을 받으면 왜 전류가 흐를까?

sciencewave 2025. 2. 24. 16:57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자동문이 저절로 열리고, 가로등이 해가 지면 자동으로 불을 밝히는 일상. 디지털카메라는 피사체의 밝기를 감지해 적정한 노출로 사진을 찍는다. 이 모든 편리함의 이면에는 태양전지라는 과학 기술이 자리 잡고 있다. 태양전지는 어떻게 빛을 받아 전류를 생성하는 걸까? 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태양전지의 근본 원리인 광전효과를 살펴보자.

빛을 흡수해 전자를 방출하는 광전효과

태양전지는 주로 실리콘 같은 반도체로 만들어지며, 빛을 전기로 바꾸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태양광의 광자(Photon)가 반도체의 전자와 상호작용하여, 충분한 에너지를 받은 전자가 원자의 결합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움직이는 광전효과가 발생한다.

태양전지 내부의 PN 접합 구조는 전기장을 형성해 방출된 전자를 N형으로, 양공을 P형으로 이동시키며, 이로 인해 전류가 생성된다. 태양전지 양단에 전선을 연결하면 전류가 외부 회로를 통해 흐르며, 빛이 강할수록 더 많은 광자가 상호작용해 전류량도 증가한다.

 

 

 

셀레늄에서 실리콘까지, 태양전지의 역사

태양전지의 역사는 1873년, 영국 화학자 윌로비 스미스(Willoughby Smith)가 셀레늄에 빛을 비췄을 때 전류가 흐른다는 사실을 발견하며 시작되었다. 그는 빛이 셀레늄 원자와 상호작용해 전자를 방출한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당시의 기술로는 전류가 약해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1954년, 미국 벨전화연구소의 과학자들은 실리콘이 셀레늄보다 5배 더 강한 광전류를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실리콘은 지구에서 풍부하게 존재하며, 가공이 쉽고 전기적 특성이 우수해 태양전지 재료로 자리 잡았다. 이후 기술이 발전하며 태양전지는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여왔다.

 

 

 

태양광 발전의 현재와 미래

초기 태양전지는 비용이 비싸 주로 우주선에만 사용되었다. 우주 환경은 24시간 내내 태양빛을 받을 수 있어 태양전지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오늘날에는 실리콘 외에도 갈륨비소, 황화카드뮴 같은 물질이 태양전지 재료로 사용되며, 다양한 환경에서 높은 효율을 발휘하고 있다.

현재 과학자들은 우주 태양광 발전소라는 새로운 개념을 연구 중이다. 우주는 지구보다 더 강렬한 태양빛을 받을 수 있고, 기후나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적인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 우주에서 생산된 전력은 무선 송전을 통해 지구로 전달할 수 있으며, 송전선 없이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기대되고 있다.

 

 

 

 

수학적 무한을 향한 흥미로운 여정 '무한의 불가사의'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수학은 무한의 과학수학의 시점과 더 넓은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