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좀비 거미' 포착, 곰팡이균 감염돼 이상행동

과학 상식

'좀비 거미' 포착, 곰팡이균 감염돼 이상행동

sciencewave 2025. 3. 5. 15:19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곰팡이에 감염돼 이상 행동을 보이는 ‘좀비 거미’가 발견되었다. 어두운 곳에서 서식하는 본능을 벗어나 벽이나 천장 등 개방된 곳으로 스스로 이동해 습성을 거스르는 모습을 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미국의 과학 뉴스 매체 라이브사이언스(Live Science)는 북아일랜드의 한 폐허에서 좀비 거미가 발견되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이 거미가 특이한 곰팡이에 감염되어 행동이 조종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The Last of Us’의 좀비 개미 곰팡이를 연상시키며, 자연 속에서 곰팡이가 숙주의 신경계를 조작하는 새로운 사례로 주목 받고 있다.

폐허 속에서 발견된 전례 없는 곰팡이

BBC 자연 다큐멘터리 TV 시리즈 ‘Winter watch’ 촬영 중, 연구자들은 북아일랜드 에스파이 성(Castle Espie)의 화약 저장고에서 기이한 곰팡이에 감염된 거미를 발견했다. 곰팡이는 동굴 거미(Metellina merianae)의 몸을 뒤덮으며 하얀 균사를 형성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이 곰팡이를 분석한 결과,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종임을 확인하고 이를 ‘지벨룰라 애튼버러아이'(Gibellula attenboroughii)라 명명했다.

 

 

좀비 거미의 모습 [사진=Live Science]

 

이 곰팡이는 단순한 감염원이 아니라 거미의 행동을 조작하는 특성을 보였다. 감염된 거미는 서식지를 떠나 벽이나 천장으로 이동했다. 연구자들은 곰팡이가 공기 중 포자 확산을 돕기 위해 거미를 높은 곳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숙주는 결국 죽음에 이르고, 곰팡이는 죽은 거미의 몸을 이용해 포자를 방출한다. 이는 곰팡이가 화학 신호를 통해 거미의 행동을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신경생물학적 연구에 단서를 제공한다.

기존의 좀비 거미 사례와 차별점

좀비 거미 현상 자체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과거에도 특정 곰팡이와 기생벌이 거미를 숙주로 삼아 조종하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예를 들어, 기생벌 히메노에피메키스 아르기라파가(Hymenoepimecis argyraphaga)는 거미의 행동을 조종해 유충이 보호 받을 수 있는 특별한 거미줄을 만들게 한다.

 

또한 오피오코르디셉스(Ophiocordyceps, 곤충 기생성 곰팡이 무리) 속 곰팡이는 개미와 같은 곤충을 숙주로 삼아 신경계를 조작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지벨룰라(Gibellula) 속 곰팡이도 과거 거미를 숙주로 삼는 사례가 있었지만, 숙주의 이동을 유도하는 방식은 확인된 바 없었다.

이번에 발견된 G. attenboroughii는 기존 사례들과는 확연히 다르다. 이 곰팡이는 숙주가 자연스럽게 죽기를 기다리지 않고, 화학 신호를 통해 서식지를 벗어나 공기 중 포자가 쉽게 확산될 수 있는 환경으로 이동하게 만든다. 이는 곰팡이가 숙주의 신경계를 조작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과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발견이다.

 

기생 곰팡이의 감염 메커니즘

G. attenboroughii의 감염 과정은 매우 정교하다. 곰팡이 포자가 거미의 외피를 뚫고 침입하면 체내 조직에 퍼지며 내부 장기를 감염시킨다. 이후 독소를 분비해 숙주를 사망에 이르게 하며, 동시에 박테리아의 부패를 억제하는 항생 물질을 생성해 시체를 보존한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거미의 몸에서 긴 균사 구조가 자라나며 포자가 방출된다.

과학자들은 이 곰팡이가 기생 곰팡이를 넘어 숙주 신경계를 조작해 특정한 행동을 유도하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개미를 조종하는 Ophiocordyceps 속 곰팡이와 유사하지만, 거미를 숙주로 삼는 사례는 매우 드물어 연구 가치가 크다.

 

 

 

 

이번 연구의 책임자인 해리 에반스(Harry Evans)는 생태적 호기심의 대상이 아니라, 의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곰팡이는 자연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부 종은 인간의 의약품 개발에도 기여해왔다. G. attenboroughii는 항균 물질을 생산하는데, 이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의 단서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바에 따르면, 이 곰팡이는 아일랜드에서만 발견되었지만, 유사한 곰팡이가 웨일즈에서도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G. attenboroughii의 발견은 자연 속에 아직 밝혀지지 않은 다양한 기생 곰팡이가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현재 곰팡이 왕국에는 1000만 종 이상의 미확인 종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과학적으로 연구된 것은 1%도 채 되지 않는다.

 

 

 

 

술에 점점 취할수록 우리 몸은 어떻게 바뀌나?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알코올은 단순 음료가 아니라 소량 섭취로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