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오트(Oort)의 '혜성의 구름' 이론
- 1950년 /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얀 오트(Jan Oort, 1900-1992)는 “태양계는 수십억 개의 혜성이 구름처럼 둘러싸고 있다.”는 이론을 1950년에 발표 했다. 혜성의 구름이 명왕성 궤도 바깥을 휘덮고 있다는 그의 이론은 ‘혜성의 오트구름’(Oort cloud of comets)이라 불린다. 그의 '혜성의 구름 이론'은 현재 다른 여러 천문학자들의 인정을 받고 있다.
태양으로부터 2,000~100,000 천문단위(astronomical unit ; AU.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 바깥에는 20~50조 개의 혜성이 있다. 오트의 혜성의 구름 속에 이처럼 혜성이 많아도 각 혜성 사이의 거리는 수천만km이다. 혜성의 구름은 ‘시베리아 혜성’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 이유는 혜성이 있는 공간의 온도가 절대온도 0도에 접근하는 섭씨 영하 220도에 이르기 때문이다. 이곳의 혜성들은 때때로 가까운 항성(恒星)들의 중력에 끌려 태양계 속으로 들어오게 된다.
1951년에는 미국의 천문학자 제라드 피터 카이퍼(Gerard Peter Kuiper 1905-1973)가 혜성의 무리가 있는 또 다른 장소를 발견했다. 카이퍼 벨트(Kuiper belt)라 불리는 이곳은 해왕성(지구와의 평균 거리 55AU) 바깥으로 35AU~수백AU 궤도 떨어진 공간이다. 태양계로 들어오는 많은 혜성은 오트의 혜성의 구름으로부터 온다. 오트는 레이더를 사용하여 우주에서 오는 전자파를 분석하여 우주를 탐구하는 전파천문학을 개척한 과학자 중의 한 사람이며, 은하의 크기와, 질량, 규모 등을 밝히기도 했다.
1910년에 촬영된 유명한 핼리혜성의 모습이다. 태양계 외부를 둘러싸고 무수히 많은 혜성이 떠도는 혜성의 구름대가 있다는 것이 얀 오트의 혜성의 구름 이론이다.
머피의 법칙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비과학적인 머피(Murphy)의 법칙 미국 에드워드 공군기지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A의 구조는? (0) | 2025.04.23 |
---|---|
휘플의 혜성 구조 이론이란? (0) | 2025.04.23 |
머피의 법칙이란? (0) | 2025.04.23 |
우주 항상성 이론이란? (0) | 2025.04.23 |
우주 탄생 빅뱅 이론이란?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