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강과 하천에 서식하는 깔따구 유충의 외피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된 시기가 1971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버밍엄대학교 연구팀은 박물관에 보관된 깔따구 유충 외피를 분석해, 수십 년 전부터 미세플라스틱이 자연 재료처럼 섞여왔음을 확인했다.
민물 생태계 지표, 깔따구 유충
깔따구는 작은 날벌레로, 유충 시기를 민물 바닥에서 보낸다. 모래와 자갈 틈에 숨어 유기물 찌꺼기나 미세 조류를 섭취하며 성장하고, 주변 재료를 모아 외부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외피를 만든다. 성장 후에는 물속에서 번데기 단계를 거쳐 성충이 되어 물 밖으로 날아오른다. 깔따구 유충은 민물 생태계 먹이사슬을 지탱하는 동시에 수질 오염을 감지하는 지표 생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971년 5월 18일, 네덜란드 로에넨에서 채집된 Ironoquia dubia의 외피(RMNH.INS.1544419).
[사진=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25), DOI: 10.1016/j.scitotenv.2025.178947]
1971년부터 외피에 섞인 미세 플라스틱
네덜란드 자연생물다양성센터 연구팀은 박물관에 보관된 깔따구 유충 외피를 조사해, 1950년대 표본 일부에서 플라스틱 입자가 발견됐으며, 1971년부터는 미세플라스틱이 일관되게 외피에 포함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연구는 한 연구원이 표본 중 하나에서 색깔이 다른 조각을 발견하면서 시작됐다. 정밀 관찰 결과, 이는 미세플라스틱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549개의 표본을 전수 조사했고, 다수의 외피에서 플라스틱 조각이 검출됐다. 1971년 표본에서는 노란색 플라스틱이, 1986년 표본에서는 여러 개의 파란색 플라스틱 조각이 확인됐다. 또한 외피 속에는 납, 티타늄, 아연과 같은 플라스틱 첨가제 흔적도 발견됐다.
깔따구 유충은 여전히 모래, 조개껍질, 식물 조각 등을 이용해 외피를 만들지만, 오염된 환경에서는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자연 재료처럼 섞여들었다. 연구팀은 플라스틱이 자연 재료보다 더 눈에 띄고 부력이 높아, 유충이 새나 물고기에 쉽게 포식될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결과는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수십 년 전부터 민물 생태계에 깊숙이 침투해왔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 영향이 생태계 기반 구조에까지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축적되는 미세플라스틱, 확산되는 위협
현재 전 세계 해양에는 최소 170조 개 이상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떠다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05년 이후 15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미세플라스틱은 물고기, 조개류, 바닷새뿐만 아니라 인간의 혈액과 폐 조직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한 사람이 일주일 동안 섭취하는 미세플라스틱 양은 최대 5g에 달하며, 이는 신용카드 한 장의 무게와 맞먹는다.
문제는 미세플라스틱이 단순히 해양 표면에 떠다니는 데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심해 퇴적물, 민물 호수, 농경지 토양, 대기 중 먼지 입자 속에서도 검출되고 있다. 이로 인해 먹이사슬을 통해 농축될 가능성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생태계 기능과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까지 우려되고 있다.
깔따구 유충 껍질에 축적된 미세플라스틱은 이 오염이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생태계 곳곳에 장기적으로 누적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미세플라스틱은 눈에 띄지 않지만 이미 토양, 강, 해양, 대기까지 연결된 순환망을 통해 확산되고 있으며, 복원 불가능한 환경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싱크홀 대참사, 생활 속 이상 징후 살펴보니···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난 3월,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등학교 인근 도로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도 기억을 한다?···워터 메모리 가설의 진실 (0) | 2025.05.07 |
---|---|
버섯, 알고 보면 야채도 식물도 아니다? (0) | 2025.05.07 |
싱크홀 대참사, 생활 속 이상 징후 살펴보니··· (1) | 2025.05.07 |
식물이 숨기고 있는 비밀 - 식물의 회전성장 운동 (0) | 2025.05.07 |
퍼그-페르시아고양이 닮은 꼴, 가축화가 낳은 극단적 수렴진화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