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지구상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자연 재해의 종류
자연재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현상들을 두고 말한다. 이런 자연재해 중에는 지구온난화가 원인이 되어 빈도와 강도가 심해지는 것이 있다.
1. 화산폭발:화산지대를 따라 화산폭발이 수시로 일어나며, 그때마다 큰 피해를 입는다.
2. 지진:지각이 뒤틀림에 따라 발생하는 지진 역시 수시로 발생한다. 지진은 때로 해일이 발생하게도 한다.
3. 산사태(landslide):지진이나 화산 폭발 등으로 비탈면이 대규모로 무너져 내리는 사고이다. 이런 산사태가 해변에서 일어나면 해일을 일으킬 수 있다.
4. 이산화탄소 폭발(limnic eruption):서부 아프리카 카메룬의 니오스 호수에서 1986년에 갑자기 이산화탄소가 8,000만m3나 끓어올라 주변 25km 이내에 있던 야생동물들과 원주민 1,700명이 사망했다. 화산 분화구에 물이 고여 생겨난 이 호수에는 이산화탄소가 가득 녹아 있었고, 호수 아래의 화산 활동 영향으로 한꺼번에 거품이 되어 발생한 것이다. 이산화탄소는 무거운 기체이기 때문에 주변 동물들을 질식사하게 만들었다.
5. 홍수:지구온난화 이후 유례없이 많은 비가 내린 결과 큰 규모의 홍수가 도처에서 발생한다. 도로와 농경지가 물에 잠기고, 건물과 주택을 부시고 차들이 떠내려가는 홍수는 피해가 막심하다. 온난화가 심화될수록 어떤 규모의 홍수가 발생할지 예상이 어렵다.
6. 해일(tsunami):해저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 가장 큰 규모의 해일이 발생한다. 2004년에 있었던 인도양의 해일 때는 30m의 파도가 밀려와 230,000명을 희생시켰다. 2011년 일본 도후쿠 지방 앞바다에서 발생한 지진 때문에 일어난 해일은 인근 해변만 아니라 원자력발전소까지 파괴시켜 러시아의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와 동급의 피해를 주었다.
7. 토네이도:대규모의 회오리바람인 토네이도는 풍속이 최고 시속 500km에 이른다. 토네이도 피해가 특히 심한 미국 중부 대륙에서는 발생 빈도와 강도가 더해가고 있다.
8. 폭풍우(great storm):근년에 와서 해마다 세계 곳곳에서 유례가 없는 폭풍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9. 허리케인(hurricane)과 태풍(typhoon):열대바다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일으키는 대류에 의해 발생하는 폭풍을 사이클론(cyclone)이라 부르는데, 태평양에서 발생하는 것은 태풍이라 부르고, 대서양에서 생겨나는 폭풍은 허리케인이라 한다.
10. 사막화:사막 주변의 초원에서 가축의 수가 증가하고, 농경지가 확장되면서 사막의 규모가 점점 커져가고 있다. 또 사막지대에서 지나치게 지하수를 뽑아 농경에 이용하면서 토양의 염도가 높아져 농업생산이 감소하고, 심지어 지반이 침하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런 사막화는 주로 인간에 의한 자연의 재해이다.
11. 들불(산불):2007년의 그리스 산불, 2008년의 오스트레일리아 산불, 2009년의 캘리포니아 산불은 산림만 아니라 인명과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고,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대규모로 방출하는 자연재난이 되었다. 가뭄이라든가 사막화 현상은 들불의 피해를 더 확대한다.
12. 열파(熱波)와 한파:유례없이 더운 날씨가 장기간 계속되는 기상재난이 빈발하고 있다. 열파가 심하면 동시에 강우량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 가뭄이나 폭우를 만든다. 한편 극심한 추위가 여러 날 계속되는 한파도 자주 발생한다.
13. 운석 충돌:매우 드물기는 하지만 지금도 작은 규모의 운석 충돌 피해를 입는다. 6,500만 년 전의 운석 충돌은 지구상에서 공룡시대를 끝내고 대규모 멸종시대를 초래했다.
14. 강한 방사선:냉매(冷媒)인 프레온 가스와 같은 화합물을 대량 사용하면서 오존층의 온존 분자들이 대규모로 파괴되자, 태양으로부터 오는 강력한 방사선이 잘 차단되지 않아 지상 생명체들의 생존을 불리하게 한다.
15. 대규모 멸종:화석학자들은 지구 역사 속에는 당시 살던 70~90%의 생명체들이 사라지는 대멸종 시대가 적어도 5차례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많은 과학자들은 오늘의 지구온난화가 다시 대규모 멸종 시대를 자초한다고 우려한다.
빙하와 빙상은 얼마나 녹고 있나?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빙권의 빙하와 빙상은 얼마나 녹았나? 지구를 우주에서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고의 지구 환경은 어땠을까? (0) | 2025.05.14 |
---|---|
과거에도 이상기후가 있었을까? (1) | 2025.05.14 |
빙하와 빙상은 얼마나 녹고 있나? (0) | 2025.05.14 |
지구온난화의 대표적 영향은? (0) | 2025.05.14 |
온실가스가 상승시킬 기온의 정도는?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