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지구온난화가 가져올 예측불능의 재난
기상과학자들은 지구 온난화 때문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고, 앞으로 발생할 것인가에 대해 많은 사실들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기상현상이라는 것은 워낙 여러 요소가 작용하는 복잡한 문제이기 때문에 첨단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도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자연재해의 종류 참조)
일반인의 생각 같아서는 기온이 전체적으로 높아지면 농사가 불가능하던 고위도 지방까지 벼가 자라고 숲이 형성될 수 있어 오히려 좋은 조건이 될 수 있을지 모른다고 추측한다. 그러나 지구의 기상 변화는 생각처럼 단순하지 않다. 과거와 전혀 다른 극심한 폭우, 폭풍, 한발, 폭염, 혹한과 같은 기상 재난이 예측 불가능하게 자주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 염려스러운 것은 온실가스에 의한 기온과 해수면의 상승이 시작단계인데도, 세계 여기저기서 끊임없이 기상재난이 발생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앞으로 어떤 상황이 올지 짐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해수면(海水面)이 평소보다 30cm만 높아져도 지구상에는 가공할 사건이 나타난다. 근년에 와서 이탈리아의 수상도시 베니스는 수시로 물에 잠기고, 세계 여러 해변 도시들은 만조 때 자주 수해를 입는다. 태평양과 인도양의 몇 섬나라는 국토가 바닷물에 점점 잠기게 되자, 다른 나라에서 영토를 사서 이주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한다. 우리나라도 만조(滿潮) 때 밀려드는 높아진 해수면 때문에 해변 저지대 도시와 농경지가 자주 피해를 입고 있다.
기온상승으로 인한 피해 중에 가장 두려운 것은 아마도 식량생산의 감소일 것이다. IPCC의 2007년 보고에 의하면 기온상승이 현재처럼 진행될 때, 2030년에는 남아프리카의 옥수수 생산량이 30% 감소하고, 동남아시아에서는 쌀 생산이 20%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2080년에는 저개발국가의 식량생산량이 10~20% 감소할 것이며, 인도의 경우에는 30~40% 줄어들 것을 예견했다. 또한 2100년이면 전체적으로 20~40% 감소하여 심각한 식량위기를 맞게 된다고 했다. 이러한 보고는 작물생산에만 주목하고 있는데, 바다의 어패류와 육상식물 전체에 대한 예측은 아직 조사되지 않고 있다.
온실가스가 상승시킬 기온의 정도는?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온실가스 21세기에최고 섭씨 2.4 ~ 6.4도 상승 가능수백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력한 자연재난의 종류 (0) | 2025.05.14 |
---|---|
빙하와 빙상은 얼마나 녹고 있나? (0) | 2025.05.14 |
온실가스가 상승시킬 기온의 정도는? (0) | 2025.05.14 |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적정 농도는? (0) | 2025.05.12 |
뱃살, 나이 들수록 늘어나는 과학적인 이유 (0)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