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온실가스 21세기에
최고 섭씨 2.4 ~ 6.4도 상승 가능
수백만 년 눈이 쌓인 빙하 속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사한 과학자들은, 지난 80만년 동안에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이 일정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초부터 본격적으로 상승이 시작된 평균기온은 1980년대까지 0.8℃ 정도 올라 있었다. 지구는 이 정도의 기온 변화에도 예측이 어려운 기상변화를 일으킨다. 기온이 섭씨 2도 더 오른다면 지구상의 기후는 인간이 어디에 살든 생존에 위기를 가져올 것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는 2007년의 보고서에서, 21세기 동안에 최소 1.1~2.9℃에서 최대 2.4~6.4℃가 상승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기온 상승은 해수면 상승 외에 여러 가지 기상현상을 동반한다(지구온난화의 영향 참조).
오늘날 각국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에 가입해 있으며, 이 협약은 공동 노력에 의해 지구 기온을 산업화 이전보다 2℃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노력하기로 합의하고 있다. 또한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과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는 21세기 초반에 이 계획이 성공해야 한다고 2011년에 발표했다.
기온상승의 정도는 남반구와 북반구가 약간 다르다. 남반구는 바다가 넓기 때문에 육지가 많은 북반구보다 기온상승 효과가 북극보다 적다. 그러나 북반구는 대륙이 많기도 하려니와 온실가스를 더 많이 배출하는 탓으로 기온이 다소 높기도 하다. 2013년 4월초에는 남극대륙에서는 눈이 더 많이 쌓이고 있고, 북극에서는 얼음이 더 많이 녹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그 이유를 찾는다면 남북극의 이러한 환경 차이 때문일 것이다.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적정 농도는?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위험선은 어디일까? 대기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빙하와 빙상은 얼마나 녹고 있나? (0) | 2025.05.14 |
---|---|
지구온난화의 대표적 영향은? (0) | 2025.05.14 |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적정 농도는? (0) | 2025.05.12 |
뱃살, 나이 들수록 늘어나는 과학적인 이유 (0) | 2025.05.12 |
초가공식품, ‘감칠맛과 첨가물을 먹는다’···조기사망 위험 높아 (1)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