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sciencewave 님의 블로그

전체 글 455

눈 오면 뿌리는 염화칼슘의 과학적 원리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겨울철 눈이 쌓인 도로 위에 뿌려지는 하얀 가루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바로 염화칼슘(CaCl₂)이다. 이를 단순히 눈을 녹이는 물질이라고 생각했다면 오산이다. 염화칼슘은 공기 중 습기를 흡수해 얼음을 녹이며 물 어는 점을 극적으로 낮추는 특성을 가진 과학의 산물이다. ​조해성 물질, 수분 강하게 흡수해 흐린 날 접시에 소금을 담아두면 시간이 지나며 점점 축축해지고, 결국 물에 젖은 듯한 상태가 된다. 이는 고체가 공기 중 습기를 흡수해 액체로 변하는 현상으로, 과학적으로 조해(潮解)라고 부른다. 소금뿐만 아니라 수산화나트륨과 염화칼슘(CaCl₂)도 공기 중의 습기를 강하게 빨아들이는 조해 성질이 뛰..

과학 상식 2025.02.03

인류가 가장 많이 소비하는 곡물은 무엇인가?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벼는 세계 인구 절반의 양식 (인간을 살리는 천혜의 동식물-1)​쌀은 한국인의 주식 곡물이지만 먼 옛날에는 우리나라에 없던 식물이다. 고고학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벼농사는 8,200~13,500년 전에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은 아시아 대륙의 적도지방에서 시작되었다. 그런 벼가 점점 보급되어 지금은 세계로 퍼져 북위 53도나 되는 추운 소련이나 중국 땅을 비롯하여, 인도와 네팔의 고지대에서도 재배하게 되었다. 세계에서 쌀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나라는 인도(약 28%)와 중국(24%)이고, 우리나라(남한)는 전체 쌀 생산량의 약 1%를 재배하고 있다.​열대지방에 자라던 벼가 이처럼 고위도의 땅에까지 퍼지게 된..

과학 상식 2025.02.03

[생존의 한계] 동사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매년 수많은 사람들이 등산 중에 예기치 못한 기상 변화로 조난을 당하며, 그들 대부분은 추위 때문에 고통을 당하고 일부는 불행하게도 목숨을 잃는다.​저 체온(hypothermia)으로 동사한 최초의 기록은 아마도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접경의 알프스 계곡에서 약 5200년 전에 얼어 죽은 외치(Ötzi)*일 것이다. 빙하에 묻혀 미라가 된 그의 시체가 빙하 가장자리에 반쯤 노출되어 있는 것을 1991년 어느 등산객 부부가 발견했다. 외치는 눈 속의 산행에 맞도록 잘 무장하고 다녔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갈비뼈가 세 대나 부려져 있었고 먹을 것을 지니고 있지 않았던 점으로 미루어보아 도망치듯 황급히 집을 ..

과학 상식 2025.02.03

원심력과 구심력은 왜 생기나?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원심력과 구심력은 왜 생기나? 빠른 속도로 달리는 차가 커브를 돌면, 타고 있는 사람은 몸이 바깥쪽으로 심하게 쏠린다. 그 원인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대부분은 '원심력 때문'이라고 바르게 대답한다. 그러나 재차 "원심력은 왜 생기는가?"하고 질문하면 금방 대답이 나오지 않을 것이다.​정지하고 있는 물체는 항상 정지해 있으려 하고, 운동하고 있는 물체는 언제나 같은 방향과 힘으로 직선으로 움직이려 한다. 직선으로 날던 비행기는 어떤 경우에도 직각으로 방향을 바꿀 수 없다. 자전거가 잘 넘어지지 않는 것은 구르는 바퀴가 직선으로 운동하려 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다. 이런 운동 성질을 ‘관성’(慣性, 이너셔 in..

과학 상식 2025.01.23

지구는 왜 거대한 자석이 되었나?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지구는 우주의 패러다이스 – 7인간이 살기에 지구보다 좋은 행성이 없는데도 사람들은 지구의 고마움을 생각하지 않는다. 거대한 자석이 되어 생명의 파라다이스로 변한 지구의 은총을 소개하는 시리즈–7이다.  어디에서든 나침반을 보면 자침은 남북방향을 가리킨다. 이것은 지구 전체가 하나의 큰 자석이기 때문이다. 지구가 자석이 아니라면 나침반은 모두 쓸모가 없어진다. 구름이나 안개 속을 가는 비행사와 선원은 방향을 잃고 말 것이다.   인류는 11세기부터 나침반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12세기부터 나침반에 의지하여 지구 전체를 탐험하는 대항해시대를 열었다.   코일 속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 주변에 자기가 생겨 쇳..

과학 상식 2025.01.23

그림자는 왜 생길까? 해시계를 통해 보는 빛의 과학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그림자는 우리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현상이지만, 그 생성 원리는 매우 흥미롭다. 특히 고대 사람들은 그림자의 움직임을 관찰해 시간 개념을 잡고, 해시계를 발명했다. 이번 기사에서는 그림자가 생기는 원리와 함께, 우리나라 최초 해시계의 원리를 살펴본다.​빛과 그림자의 관계​그림자는 빛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빛은 직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불투명한 물체에 가로막힐 때 그림자가 생긴다. 물체가 빛을 전혀 통과시키지 않을 때 그림자가 생기고, 반대로 창유리나 맑은 물과 같이 빛을 통과시키는 투명체는 그림자를 거의 만들지 않는다.   빛이 물체를 가로막으면 그림자는 두 가지로 나눠진다. 짙고 선명한 ..

과학 상식 2025.01.23

(남성 vs 여성)의 오르가즘(orgasm, 절정감)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오르가즘(절정감, 성적 극치감)은 남성과 여성이 성적 흥분기에 이어 최절정(climax)감을 느끼는 것으로서, 전신의 근육이 긴장되면서 음경과 음핵, 질 등이 리드미컬(율동적)하게 수축되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전신반응으로서 보통 1회 3~4초에서 7~8초간 수회 지속된다. 생물학적 관점에서 보면, 오르가즘 직전이나 도중에는 몸의 어느 부분을 자극해도 똑같은 생리적 반응(즉 골반내 충혈이나 근수축)이 일어난다. 한 여성이 느끼는 오르가즘은 반드시 똑같은 것이 아니어서 성교, 구음(오럴 섹스), 자위, 유방자극, 음핵(클리토리스)자극 등에 따라 각양각색으로 나타나는데 반해서 남성이 느끼는 오르가즘은 대부분..

과학 상식 2025.01.23

전자껍질(전자각)이란?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전자껍질(전자각), 원자가 껍질, 원자가 전자​ 모든 원소의 핵은 일정한 수의 양성자를 가졌고, 그 양성자의 수만큼 전자를 가졌다. 원자번호가 올라감에 따라 전자의 수가 많아지면, 전자들은 마치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들처럼 어떤 궤도(orbital)를 돌게 된다.  전자의 궤도를 설명할 때 편의상 양파 껍질과 비슷하게 나타내고 있다. 전자의 수가 많으면 전자들은 층을 이루어 궤도를 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원자과학에서 몇 층으로 된 전자 궤도를 전자각(電子殼 electron shell) 또는 ‘전자껍질’이라 한다. 핵에 가까운 껍질(전자각)을 도는 전자일수록 안정되어 있다. 그 이유는 전자의 음전하(-)..

과학 상식 2025.01.23

스펀지(sponge)라 불리는 해면동물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스펀지라고 하면 물을 잘 빨아들이는, 구멍이 가득 뚫린 쿠션이 좋은 카스테라 빵 모양의 합성 수세미를 우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스펀지의 원형은 아메바보다는 더 진화되고, 산호보다는 덜 진화된 하등한 해면동물(海綿動物, 해면)이다. 해면은 해저 바위에 부착해 고착생활을 하기 때문에 움직이는 생명체(동물체)라고 쉽게 생각되지 않는다. ​해면은 수많은 세포가 모여 군체(群體)를 이룬 상태로 사는 동물이다. 그들은 군체 전체에 뚫려 있는 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물속의 플랑크톤과 같은 미생물을 걸러 먹는 여과섭식동물(濾過攝食動物, filter feeder)이다. 인류는 특별한 종류의 대형 해면을 가공하여 청소도..

과학 상식 2025.01.23

겨울바다가 여름보다 더 푸르른 이유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여름바다보다 겨울 바다를 더 운치 있게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 차분하고 고요한 분위기이외에도 과학적으로 어떤 이유가 있을까?​겨울에 더 푸르른 바다색?​겨울철에는 바다의 수온이 낮아 플랑크톤과 유기물의 농도가 줄어들면서 바닷물이 더 맑고 투명해진다. 그리고 먼 수평선까지 깨끗하게 펼쳐진 푸른색과 차분한 회색빛이 조화를 이룬다. 이러한 겨울 바다의 색감은 여름과는 다른 고요하고 차분한 느낌을 주며, 바다의 고독한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겨울철 바다가 청녹색으로 보이는 이유는?​선조들은 계곡의 푸른 물을 ‘벽계수(碧溪水)’라고 불렀다. ‘벽계수’란 물 빛이 매우 푸르게 보이는 시냇물을 뜻한다. ..

과학 상식 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