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4 글 목록 (8 Page)

2025/04 149

간헐적 단식, 소식좌보다 살 더 빠진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간헐적 단식, 일일 열량 제한보다 체중 감량과 건강 지표 개선에 효과​미국 콜로라도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이 간헐적 단식이 기존의 일일 열량 제한 방식보다 체중 감량에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대니얼 오스텐도르프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미국 내과학회 학술지 '내과학 회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 발표한 논문에서 과체중 또는 비만 성인 165명을 대상으로 1년간 진행한 무작위 임상시험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간헐적 단식의 장기 효과와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실험 참가..

과학 상식 2025.04.14

우주 팽창의 비밀, 유클리드가 밝히는 ‘어두운 우주’의 실체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유럽우주국(ESA)이 암흑에너지의 정체를 밝히기 위한 ‘유클리드(Euclid, ESA 유럽우주국이 주도하고, NASA가 협력한 우주망원경 임무)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데이터를 공개했다. NASA도 함께 참여한 이번 미션은, 우주가 왜 점점 더 빠르게 팽창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최근 공개된 이번 데이터는 유클리드가 본격 임무에 앞서 관측한 일부 하늘 구역을 담고 있다. 아직은 ‘예고편’ 격이지만, 벌써 2,600만 개의 은하를 포착했다. 가장 먼 은하는 무려 105억 광년 떨어져 있다.​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이 우주 ..

과학 상식 2025.04.14

딥시크(DEEP SEEK)의 두 얼굴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최근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 딥시크(DeepSeek)가 국내외에서 뜨거운 논란의 중심에 섰다. 딥시크는 강력한 AI 기반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기존 검색 엔진과 차별화된 방식을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보안 취약성, 중국 정부와의 연계 우려가 제기되면서 일부 국가에서는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놓았다. 혁신인지 위협인지 딥시크와 그 논란에 대해 짚어봤다. ​AI 기반 검색 혁신, 딥시크란 무엇인가?딥시크(DeepSeek)는 중국 기반의 AI 검색 엔진으로, 자연어 처리(NLP)와 기계 학습을 활용..

과학 상식 2025.04.14

초신성, 지구 대멸종의 방아쇠를 당겼다? 새 가설 주목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수억 년 전, 지구는 두 차례의 대멸종을 겪었다. 오르도비스기와 데본기 후기에 각각 발생한 이 사건들은 해양 생물의 60~70%를 사라지게 했고, 생태계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오랫동안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던 이 멸종들의 배후에, 최근 한 연구가 우주에서의 극단적인 천체 현상, 즉 초신성 폭발을 지목했다.​초신성은 거대 항성이 생을 마감하며 일으키는 폭발로, 강력한 감마선과 우주선(cosmic rays)을 방출해 수천 광년 너머까지 영향을 미친다. 연구진은 이처럼 가까운 거리에서 일어난 초신성 폭발이 지구 대기의 오존층을..

과학 상식 2025.04.14

중성미자는 어떤 우주방사선인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중성미자(neutrino)의 존재를 예측한 파울리(Pauli)  오스트리아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Wolfgang Pauli 1900-1958, 파울리의 배타원리 참조)는 원자핵의 붕괴로 베타 입자가 방출될 때, ‘질량불변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 현상이 생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후 그는 ‘전하도 없고 질량도 없는 미지(未知)의 소립자가 존재할 것’이라는 이론을 1931년에 발표했다. 이러한 입자의 존재는 1956년에 실험으로 확인되었으며, 엔리코 페르미(Enrico Fermi, 초우라늄원소 참조)는 이 입자를 뉴트리노(중..

과학 상식 2025.04.10

허블의 우주 팽창 법칙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허블(Hubble)의 우주 팽창 법칙(우주 팽창설)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포웰 허블(Edwin Powell Hubble 1889-1953)은 1920년대에 미국의 윌슨 산 천문대에서 천체를 연구하고 있었다. 그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구경(口徑)을 가진 100인치 망원경으로 우주에 흩어져 있는 수없이 많은 은하계들까지의 거리를 관측한 결과,​“모든 은하계들은 우리로부터 점점 멀어져 가고 있으며, 은하계들 사이의 거리도 멀어지고 있다. 멀리 있는 은하계일수록 멀어져 가는 속도는 더 빠르다.”​​고 하는 허블 법칙(Hubble's Law..

과학 상식 2025.04.10

뇌파와 생물전기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뇌파(腦波)를 발견한 베르거(Berger)의 실험   생물의 세포, 조직, 신경, 근육, 뇌 등의 기관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생물전기(bioelectricity)라 한다. 생물체에서 전기가 발생하는 사실은 이탈리아의 의학자 루이기 갈바니(Luigi Galvani 1737-1798, 갈바니와 볼타의 전류 개념 참조)가 1792년에 처음 발견했다. 독일의 신경생리학자 한스 베르거(Hans Berger 1873-1941)는 1890년대부터 뇌에서 발생하는 뇌파(腦波 brain wave)를 검사하여 간질과 같은 뇌의 병을 진단할 수 있는 길을 찾으..

과학 상식 2025.04.10

반물질 이론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디랙(Dirac)의 반물질 이론  영화 에 등장하는 우주선 ‘엔터프라이스 호’는 반물질의 힘으로 비행한다. 반물질은 공상과학이 아니라 현실이다. 영국의 물리학자 아서 슈스터(Arthur Schuster 1851-1934)는 1898년에 ‘일반 물질과 반대되는 성질을 가진 신기한 물질'도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영국의 이론 물리학자 폴 디랙(Paul Adrien Maurice Dirac 1902-1984)은 슈스터의 꿈을 실현했다. 그는 ‘소립자에는 마치 거울의 상처럼, 질량은 같으면서 전하가 반대인 반입자(antipart..

과학 상식 2025.04.10

불확정성 원리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不確定性) 원리   독일의 물리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Werner Heisenberg 1901-1976)는 양자 이론의 기초를 세우는데 크게 공헌한 과학자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1927년에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Heisenberg's Uncertainty Principle)라 불리는 양자역학의 새로운 이론을 발표했다. 그의 이론은   ‘전자와 같은 소립자의 위치와 운동량(momentum: 질량에 속도를 곱한 값) 두 가지를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는 것이었다. 그의 이 이론은 매우..

과학 상식 2025.04.10

슈뢰딩거의 방정식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원자의 성질에 대한슈뢰딩거의 방정식 (Schrödinger equation)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이며 수학자인 어빈 슈뢰딩거(Erwin Schrödinger 1887-1961)는 1935년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전자 등)가 어떤 특정 위치에 있을 가능성을 계산하는 복잡한 수학 방정식을 발표했다.​‘슈뢰딩거의 방정식’(Schrödinger equation)이라 불리는 이 방정식은 고전물리학에서 뉴턴의 법칙처럼 양자역학의 중심이 되었다.   보스-아인슈타인의 응축 현상이란?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과학 상식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