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글 목록

과학 상식 482

지하 토양 미생물 CSP1-3, 지하수 오염 정화 능력 발견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하 토양 미생물은 지구 생태계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깊은 지층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은 물과 영양분의 순환을 조절하고,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 자연 정수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러나 깊은 토양층은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은 영역이었다. 최근 미시간주립대학교 연구팀은 지하 200미터에 이르는 깊은 토양에서 새로운 지하 토양 미생물 문(門) 'CSP1-3'을 발견했다. 이들은 지하수 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환경 복원 기술 개발에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게재됐다.​깊은..

과학 상식 2025.04.16

프록시마 센타우리 플레어, 생명 거주 가능성 위협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구에서 약 4.2광년 떨어진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우리와 가장 가까운 별이다. 작은 M형 적색왜성이지만, 최근 ALMA(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전파망원경) 관측을 통해 이 별이 예상보다 훨씬 강력하고 빈번한 플레어를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프록시마 센타우리는 지구형 외계 행성 프록시마 b를 거느리고 있다. 그러나 별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플레어는 행성 대기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어, 생명체 거주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밀리미터파 관측으로 드러난 플레어의 빈번한 폭발콜로라도 대학교 키아나 버튼과 존스 홉킨스 대..

과학 상식 2025.04.16

연구실로 들어온 AI, 연구 패러다임을 흔들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인공지능(AI)이 학생과 연구자들의 연구 방식을 빠르게 바꾸고 있다. 2022년 후반 생성형 AI 기술이 대중화된 이후, 논문 조사부터 가설 수립, 실험 설계, 데이터 분석까지 연구의 거의 모든 과정에 AI가 활용되고 있다.​초기에는 학계에서도 AI 사용에 대해 신중하거나 경계하는 시각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많은 대학과 연구기관이 제한적 조건 하에 AI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학생과 연구자들은 일상적으로 AI 도구를 활용하고 있으며, 연구의 속도와 편리함이 크게 향상됐다.​이 같은 흐름은 학술지 네이처(Nature)가 최근 학생과 연구자들..

과학 상식 2025.04.16

머스크가 꿈꾸는 화성 이주…화성 먼지가 복병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일론 머스크는 2000년대 초반부터 인류를 다행성 종족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그는 스페이스X를 설립한 이후 화성 이주 계획을 구체화하며, 2016년 국제우주대회(IAC)에서 이를 공식 발표했다. 이후 대형 우주선 개발과 반복 발사 실험을 거쳐 최근 스타십(Starship) 발사 시험 단계에 돌입했다. 화성 이주는 실현 가능성에 가까워지고 있지만, 화성 표면을 덮은 붉은 먼지가 인류 생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은 해결되지 않은 문제다. 화성의 희박한 대기에는 미세한 먼지가 끊임없이 퍼져 있다. 숨을 쉬려 하면 ..

과학 상식 2025.04.16

말과 노래는 왜 어릴 때 빨리 배우나?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어린이들은 말을 놀랍도록 빨리 배운다. 노래의 곡과 가사도 금새 익혀 잊어버리지 않고 오래 기억한다. 외국어 공부도 어릴 때 하면 훨씬 빨리 배우고 발음도 바르게 한다. 말과 노래와 온갖 지식을 배우고(학습), 학습된 정보를 저장(기억)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행동하도록 하는 뇌의 기능은 수많은 신경세포(뉴런)와 이들 신경세포를 서로 연결하는 시냅스(신경접합부)가 한다.​​두뇌의 모든 기능은 복잡하게 연결된 평균 860억 개의 신경세포(뉴런 neuron)가 한다. 신경세포는 온몸에 존재하면서 가느다란 선(시냅스 synapse)들로 서로 ..

과학 상식 2025.04.16

포식자 없는 도심, 화려한 새들이 더 잘 적응한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화려한 깃털을 가진 새들이 도시 환경에 더 잘 적응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도시는 회색빛 환경에 포식자가 적어, 눈에 띄는 깃털을 가진 새들도 생존에 불리하지 않다. 이 때문에 갈색 깃털을 가진 새들은 도시에서 밀려난 것으로 나타났다.​스페인 그라나다 대학교와 독일 막스 플랑크 생물지능연구소 연구팀은 1,200종 이상의 새를 분석해 도시화와 깃털 색 사이의 연관성을 밝혔다. 연구 결과, 도시에 적응한 새일수록 갈색 비율이 낮고 깃털은 더 화려했다. 이 연구는 과학 저널 Ecology Letters에 실렸다. ​포식자 감소, 회색빛 도심..

과학 상식 2025.04.16

천왕성 자전의 비밀 허블이 풀었다···40년 만에 새 기준 제시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천왕성은 자전축과 자기장이 극단적으로 기울어져 있어, 내부 구조와 회전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국제 연구팀이 허블 우주망원경의 장기 관측 데이터를 분석해 천왕성의 자전 속도를 사상 최고 정밀도로 측정했다. 이 결과는 천왕성 자기장의 동역학 연구와 향후 탐사 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왕성 자전 속도, 허블 망원경으로 정밀 측정천왕성은 특이한 자기장과 자전축을 가진 행성으로, 내부 자전 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로랑 라미(프랑스 파리 천문대 LIR..

과학 상식 2025.04.16

암흑에너지 없이도 팽창하는 우주, 새로운 이론 등장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주의 가속 팽창과 은하 구조 형성은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 없이는 설명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이 두 가설적 존재 없이 우주의 진화를 설명할 수 있다는 새로운 이론이 제시됐다. ​미국 앨라배마대학교 헌츠빌 캠퍼스(UAH) 물리학 교수 리처드 리우(Richard Lieu)는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 없이도 우주의 팽창과 구조 형성을 설명하는 새로운 우주 모델을 제안했다. 이 연구는 최근 국제 학술지 Classical and Quantum Gravity에 발표됐다.​리우 교수는 기존 빅뱅 이론(Big Bang theory)..

과학 상식 2025.04.16

된장, 우주에서 발효시켜 봤더니 맛이···'놀라워라'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주에서 발효된 된장은 지구 된장과 다른 맛을 낼까? 호기심이 답을 찾았다. 최근 일본식 된장인 미소를 우주에서 발효한 결과, 기존 짠맛과는 전혀 다른 고소하고 볶은 향을 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덴마크와 MIT 연구팀이 발표한 이번 실험은 우주 환경이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우주 식품의 미래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된장, 우주 버전은 '볶은 견과류 같은 고소한 맛' 연구팀은 발효 직전 상태의 된장을 ISS로 보내 약 34일간 발효시켰다. 이후 지구로 돌아온 샘플을 지구 발효 대조군 두 종류와 비교했다. 분석 결과, 우주에..

과학 상식 2025.04.16

조니 김, ISS 도착···해치 열고 동료들과 포옹 공개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NASA 우주비행사 조니 김(41)이 2025년 4월 8일 러시아 소유즈 MS-27/73S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무사히 도착했다. 조니 김은 러시아 우주비행사 세르게이 리지코프(50), 알렉세이 주브리츠키(32)와 함께 약 8개월 동안 ISS에 장기 체류하며 과학 임무와 정거장 운영을 지원할 예정이다.​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소유즈 로켓은 이륙 8분 46초 만에 3단 분리를 완료했으며, 우주선은 독자 비행에 들어갔다. 이후 자동 항법 시스템을 이용해 약 3시간 동안 랑데부를 진행한 끝에, ISS 프리찰(..

과학 상식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