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

과학 상식 584

퍼그-페르시아고양이 닮은 꼴, 가축화가 낳은 극단적 수렴진화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퍼그와 페르시아고양이는 짧고 납작한 얼굴, 큰 눈, 뭉툭한 주둥이라는 외형적 특징으로 잘 알려진 반려동물이다. 이들은 각각 늑대와 야생고양이를 조상으로 두고, 오랜 시간 독립적인 진화 경로를 걸어왔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품종은 가축화 과정에서 놀랍도록 유사한 두개골 구조를 갖게 됐다. 미국 코넬대학교와 워싱턴대학교 연구팀은 퍼그와 페르시아고양이가 단순히 외형적으로 닮은 것이 아니라, 인간의 선택적 번식이 두 종 모두에 강한 형태적 압력을 가해 수렴진화(convergent evolution)를 일으켰음을 과학적으로 규명했다. 연구 결과는..

과학 상식 2025.05.07

잠든 데이터의 부활, 20년 전 위성 관측 자료로 밝혀낸 태양계 분자운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2003년, 한국 최초의 천문관측위성인 과학기술위성 1호가 지구 궤도에 올랐다. 당시 이 위성에 탑재된 원자외선분광기(FIMS, Far-ultraviolet Imaging Spectrograph)는 약 2년에 걸쳐 우주의 원자외선 영역을 관측하며 전천지도를 구축했다. 관측 당시엔 한계가 뚜렷했다. 기기의 공간 해상도나 감도, 그리고 해석 도구 모두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지도는 긴 시간 동안 천문 자료 아카이브 속에 머물러 있었다.​그러나 최근, 이 데이터가 다시 분석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을 중심으로 한 국제 공동 연구팀은 20여 년..

과학 상식 2025.05.07

블랙홀 중력파 모드 불협화음, 30년 만에 원인 규명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두 모드 간 공명으로 발생, 비에르미션 물리학 구조 규명 ​블랙홀이 방출하는 중력파 신호에서 발견된 불협화음(dissonance)의 원인이 30년 만에 밝혀졌다. 도쿄도립대학 하야토 모토하시 부교수는 고정밀 수치 계산과 비에르미션 물리학 이론을 적용해, 이 현상이 두 개의 진동 모드(mode) 간 공명(resonance) 때문임을 규명했다. 연구 결과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발표됐다.​30년 묵은 중력파 이상 신호블랙홀은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는 초고밀도 천체다. 이들이 충돌하거나 합쳐질 때 발생하는 중력파는 다양한..

과학 상식 2025.05.07

거대 캥거루 프로템노돈 멸종 원인, 화석에서 추적한 기후 변화의 증거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호주 대형 초식동물인 거대 캥거루의 멸종 원인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과학자들은 최근 화석 분석을 통해 약 30만년 전 기후 변화가 이 거대 캥거루의 멸종을 일으킨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음을 밝혀냈다. 연구자들은 기후 불안정성이 거대 캥거루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들의 생태적 특성이 어떻게 이 변화를 극복하지 못했는지를 규명했다.​프로템노돈(Protemnodon) 거대 초식동물거대 캥거루는 현재의 캥거루보다 몸무게가 두 배나 더 무거운, 약 170킬로그램에 달하는 초식동물이었다. 이들은 500만 년 전부터 호주 대륙을 ..

과학 상식 2025.05.07

허블 우주망원경 35주년, NASA가 공개한 ‘우주의 창’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NASA가 허블 우주망원경 발사 35주년을 맞아 최근 촬영된 우주 이미지들을 공개했다. 화성, 별이 태어나는 성운, 가까운 은하 등 다양한 대상을 담은 이 이미지들은 허블이 여전히 활발히 관측을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허블은 1990년 4월 24일,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에 실려 지구 저궤도에 배치됐다. 이후 1,700만 건에 이르는 관측을 수행했고, 약 5만 5천 개의 천체를 연구했다. 이로 인해 2만 2천 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됐고, 인용 횟수는 130만 회를 넘는다. 수집된 데이터는 400TB에 달하며,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

과학 상식 2025.05.07

우리는 어떻게 ‘나’를 인식할까?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인간은 어떻게 스스로를 인식할 수 있을까? 우리는 왜 '나'라는 개념을 가지며, 이는 뇌에서 어떤 방식으로 형성될까? 이는 오랜 철학적 질문이었지만, 신경과학은 이제 이 미스터리를 신경망과 생리적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탐구하고 있다. 의식은 환영이 아니라, 수십억 개의 뉴런이 협력하며 정보를 통합하고 조율하는 정교한 생물학적 산물이다. 하지만 이 복잡한 시스템이 어떻게 개별적인 자아 경험으로 이어지는지, 그리고 우리가 느끼는 ‘자유 의지’는 실제로 존재하는 것인지에 대한 수수께끼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채 남아 있다.​의식의 좌표, 뇌에서 의..

과학 상식 2025.05.07

탈모, 스트레스+노화 때 가속 폐달— 생존 단백질 MCL-1 감소가 원인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탈모는 인류 최대의 난제다. 외모의 문제를 넘어 삶의 질, 정신, 심리 스트레스와 연결된다. 사회적 관계, 자존감, 심하면 우울증까지 유발한다. 탈모를 완전히 해결하는 건 개인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 갈등, 심리적 고통을 줄이는 일이기도 하다. 실제로 의료계에서도 탈모 치료를 미용이 아니라 삶의 질 치료'로 보는 시각이 점점 강해지고 있다.​탈모의 근본적인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예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호주 월터·엘리자 홀 의학연구소와 싱가포르 듀크-NUS 의대 공동 연구팀이 발표한 MCL-1 단백질 관련 연구는..

과학 상식 2025.05.07

우라늄, 플루토늄은 어디서 왔을까? 무거운 원소들의 비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주기율표에 등장하는 우라늄과 플루토늄 같은 무거운 원소들은 어디서 왔을까? 이 물음은 현대 물리학에서 여전히 가장 풀기 어려운 문제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최근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주도의 연구팀이 이 질문에 대해 새로운 접근을 제시했다. 이들은 붕괴하는 별에서 분출되는 감마선 폭발 제트(gamma-ray burst jet)와 이를 둘러싼 고온 물질층(cocoon)을 무대로, 무거운 원소들이 생성될 수 있는 경로를 이론적으로 제안했다. 연구 결과는 《Astrophysical ..

과학 상식 2025.05.07

중력파 분석, 라벨 바꾸니···선명해진 블랙홀 자전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중력파는 두 블랙홀이 서로를 돌다 충돌할 때 생기는 신호다. 이 신호를 분석할 때는 관례적으로 더 무거운 쪽을 ‘1번’, 나머지를 ‘2번’으로 라벨링해 왔다. 그런데 알고 보니, 이 라벨을 어떻게 붙이느냐에 따라 분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데이터를 전체적으로 보고 라벨을 다시 정하자 블랙홀의 자전 방향이나 정체 같은 정보가 훨씬 더 정확하게 드러났고, 자전 속도 측정의 정확도는 최대 50%까지 높아졌다. 분석 방식 하나만 바꿨을 뿐인데 해석의 신뢰도가 크게 향상된 셈이다.​중력파 분석, 고정된 라벨이 분석 정확도를 떨..

과학 상식 2025.05.07

'교토 의정서'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교토 의정서는 온실가스를 줄이는​유엔기후변화협약​ 지구의 기후 재난을 대비하여 유엔의 주최로 처음으로 리우데자네이로에서 개최된 '리우회의'(리우회의 참고)에 참석한 각 나라는 온실가스를 자발적으로 줄이자는데 의견을 모으고, 의무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제한하는 협약을 맺었다. 이를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또는 FCCC)이라 부른다. 이때 당사국들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의 배출량보다 평균 5.2% 줄이기로 약속했다. UNFCCC 협약이 제대로 지켜지지 못한 가운데, 1997년에 일본 교토에서 제3차 기후변화협약 총회가 개최되었..

과학 상식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