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미생물' 태그의 글 목록 (2 Page)

미생물 14

자연발생설을 부정한 레디(Redi)의 실험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자연발생설을 부정한 레디(Redi)의 실험 미생물에 대해 알지 못했던 옛 사람들은 고기나 생선에 생기는 구더기, 나뭇잎을 갉아먹는 애벌레, 늪의 개구리 등은 자연히 생겨난다고 생각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생물은 어버이 없이도 생겨날 수 있다.”고 말했던 이러한 '자연발생설'은 19세기까지도 별로 의심받지 않았다. 이탈리아의 의사이자 생물학자였던 프란체스코 레디(Francesco Redi 1626-1697)는 모두가 믿고 있던 자연발생설의 잘못을 실험으로 증명한 최초의 과학자였다. 그는 8개의 유리병을 준비하고,..

과학 상식 2025.03.20

폐플라스틱 年4억 톤, 바이오 플라스틱 시대올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4억 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하며, 이 중 9%만이 재활용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에서 유래한 소재로 만들어져 사용 후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농업 폐기물을 활용한 생분해 플라스틱 상용화가 진행 중이다.​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의 종류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자연계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환경에 부담을 덜 주는 소재로, 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부틸렌 아디페이트와 테레프탈산의 공중합체로..

과학 상식 2025.03.17

무기물과 유기물의 차이는?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동물이나 식물, 그리고 미생물의 몸을 구성하고 있거나, 이들 생물체가 생산해낸 화합물을 ‘유기물’이라 합니다. 각종 탄수화물, 지방질, 단백질, 섬유소, 호르몬, 효소, 비타민 등은 모두 유기물이지요. 유기물이란 단어 속의 ‘유기’(有機)는 ‘생명체’라는 의미입니다. ​화학적으로 유기물은 분자 속에 기본적으로 탄소(C)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 탄소와 산소, 질소, 수소, 황, 인 등의 물질이 결합한 화합물(탄소화합물)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산칼슘, 시안화수소 등의 물질은 탄소를 가지고 있으나 유기물로 취급하지 않습니다. 유기물과 반대되는 무기물은 탄소를 포함하지 않은 모든..

과학 상식 2025.01.23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은 왜 다른 색으로 염색되나?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박테리아를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는 그들의 형체가 거의 반투명하여 자세히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특별한 화학물질로 세균을 염색하여 핵과 세포막(세포벽) 등이 잘 보이도록 한다. 이때 세균이 염색되는 성질을 두고, 그람 양성균(gram-positive)과 그람 음성균(gram-negative)으로 크게 구분한다. 염색하는 과정은 인체에 감염된 병균과 곰팡이 종류 등을 분석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네덜란드의 뢰벤후크(Anthony van Leeuwenhoek, 1632-1723)가 1660년경에 현미경을 발명한 이후부터 많은 과학자들이 현미경으로 병균을 포함하여 온갖 미생물과 세포 조직 등을 관찰하기 시작..

과학 상식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