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심해 야광 물고기는 어떻게 빛을 내나?

과학 상식

심해 야광 물고기는 어떻게 빛을 내나?

sciencewave 2025. 2. 24. 16:18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지구의 심해는 빛이 닿지 않는 고요하고 차가운 세계다. 평균 수심 4300m에 이르는 바다의 85%는 완전한 어둠 속에 있다. 그러나 이 극한 환경에서도 생명은 빛을 내며 살아간다. 발광 생물은 독특한 생존 전략을 통해 어둠을 뚫고 생명을 이어간다.

열 없는 빛, 냉광(冷光)

심해 생물들이 빛을 내는 과정은 화학적 반응에 기반한 냉광(冷光)의 형태다. 이 과정의 중심에는 루시페린(Luciferin)이라는 발광 물질과 이를 촉매하는 루시페레이스(Luciferase) 효소가 있다. 루시페린이 산소와 반응하며 빛을 방출하고, 이 과정에서 열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뿐만 아니라 일부 심해 생물은 피부나 발광기관에 공생하는 발광 박테리아를 통해 빛을 생성하기도 한다. 이 박테리아는 숙주의 피부에서 빛을 내며, 이는 먹잇감 유인과 방어에 활용된다.

 

 

 

 

극한 환경 속 생물의 적응

심해는 빛뿐만 아니라 온도와 압력도 생존에 큰 도전이 된다. 수심 600m 이하에서는 햇빛이 전혀 도달하지 않고 수온은 5~6℃로 떨어진다.

이 극한 환경에 적응한 심해어들은 먹이가 귀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커다란 입과 유연한 턱을 발달시켜 한 번에 최대한 많은 먹이를 섭취할 수 있게 진화했다. 이들은 주로 수면에서 가라앉은 사체를 섭취하며, 극도로 제한된 자원 속에서 생명을 유지한다.

 

심해어의 발광 메커니즘

심해 생물들은 어둠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빛을 내는 독특한 능력을 진화시켰다. 이 발광 메커니즘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피부에 기생하는 발광박테리아를 활용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스스로 발광하는 방식이다.

 

 

심해 서식하는 아귀류(anglerfish) 대서양 풋볼피시(Atlantic footballfish)

 

 

발광박테리아에 의한 발광은 오징어나 샛비늘치 같은 생물들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 생물들은 발광박테리아가 만들어내는 빛을 활용해 자신을 밝히며, 이는 먹잇감을 유인하거나 포식자에게 혼란을 주는 데 사용된다. 박테리아를 통한 발광은 심해 생물들에게 에너지를 절약하면서도 효과적인 생존 전략을 제공한다.

스스로 발광하는 생물들은 발광기관을 통해 빛을 내며 다양한 생존 활동에 활용한다. 예를 들어 헤드라이트물고기는 눈 옆에 발달한 발광기관을 이용해 빛을 깜박이거나 밝기를 조절하며, 이를 통해 방향을 잡거나 먹잇감을 찾는다. 앵퉁이는 몸 옆구리에 도끼날 모양의 발광기관을 가지고 은은한 빛을 내며, 이 빛은 짝짓기와 같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된다.

드래곤 피시는 머리에 난 긴 수염 끝에서 밝은 빛을 내며, 작은 물고기를 유인하는 데 이 빛을 사용한다. 먹잇감이 가까워지면 드래곤 피시는 입을 120°까지 벌려 순식간에 삼킨다. 심해어의 발광은 기능을 넘어 생존 전략의 핵심적인 요소인 것이다.

 

 

 

 

심해어는 바다의 가장 깊은 곳에서 플랑크톤이나 가라앉은 유기물(‘마린 스노우’)을 섭취해 에너지 순환을 돕는다. 다른 생물의 먹잇감이 되어 먹이사슬을 유지하고 죽은 동물의 사체를 분해하며 심해 생태계의 정화와 유기물 재활용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살아남기 위해 심해에 사는 것이 아니라, 심해라는 환경에 최적화된 독특한 생태적 지위를 구축한 것이다. 이는 극한 환경에서도 독창적인 생존 방식으로 진화한 자연의 위대함을 보여준다.

 

 

 

 

 

찹쌀은 왜 찰진 밥이 될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일반인에게 쌀의 종류를 몇 가지 아느냐고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