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 없애려고 물 끓였더니···반전

과학 상식

미세 플라스틱 없애려고 물 끓였더니···반전

sciencewave 2025. 3. 5. 15:37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생수병에 든 물을 끓이면 미세플라스틱이 줄어들까? 언뜻 그럴 것 같다는 생각이 들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물을 끓이는 과정에서 오히려 미세 플라스틱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플라스틱 입자가 열에 의해 더 작은 나노플라스틱으로 쪼개지면서, 인체에 더 쉽게 흡수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미세플라스틱이 우리 몸에 축적돼 심각한 영향을 준다고 경고한다.

미세플라스틱, 얼마나 섭취하고 있나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은 크기가 5mm 이하인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의미한다. 이들은 공기, 물, 음식, 화장품, 의류, 심지어 치약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인간이 매일 무의식적으로 섭취하고 있다.

네이처(Nature, 2024)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매년 평균 5만~12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으며, 물을 통해 섭취하는 양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생수 한 병에는 평균 325개의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다.

 

 

 

미세 플라스틱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최근 발표된 한 연구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혈관을 막고, 뇌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가디언(The Guardian, 2025) 보도에 따르면,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 연구진은 실험용 쥐에 미세플라스틱을 주입 후 혈류 변화를 살핀 결과 쥐 혈관 내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되며 혈액 흐름을 방해했다.

이는 미세플라스틱이 뇌 혈관 장벽(BBB, Blood-Brain Barrier)을 통과할 수 있으며, 신경 퇴행성 질환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치매, 파킨슨병과 같은 질환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심혈관 질환 및 염증을 유발한다는 사실도 전해졌다. 미국 로체스터 대학교 연구진은 미세플라스틱이 체내로 유입되었을 때 세포 손상과 염증 반응을 유발하며, 동맥경화, 심장병, 뇌졸중 등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발표했다.

 

 

미세플라스틱은 공기, 물, 음식 등을 통해 체내로 흡수되며,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소화기 장애, 신경계 문제, 내분비 교란, 간·신장 손상 등의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자료=ResearchGate]

 

 

내분비계 교란과 생식 기능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미세플라스틱에는 비스페놀A(BPA), 프탈레이트 등 내분비계 교란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호르몬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최근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2024).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 노출이 남성의 정자 수 감소 및 여성의 생식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다.

또한 공기를 통해 흡입된 미세플라스틱은 폐포에 축적되어 만성 호흡기 질환(호흡곤란, 천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미세 플라스틱의 효과적인 제거법

대부분의 미세플라스틱은 100°C에서 분해되지 않으며, 오히려 더 작은 나노플라스틱으로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물을 끓인 후 침전시키고 필터링하면 일부 미세플라스틱 제거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Green Chemistry, 2024).

 

 

 

 

미세플라스틱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고급 정수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역삼투압(RO) 필터는 0.0001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까지 걸러내어 미세플라스틱을 90% 이상 제거할 수 있다. 활성탄 필터나 세라믹 필터도 일부 효과가 있지만, 모든 미세플라스틱을 완전히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페트병에 든 생수보다는 수돗물을 정수하여 마시는 것이 오히려 더 안전하며, 플라스틱 포장된 음식 섭취를 줄이고, 플라스틱 용기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합성 섬유로 만든 옷을 세탁할 때 미세플라스틱이 다량 배출될 수 있으므로 면, 울, 리넨과 같은 천연 섬유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英 템즈강서 6000년전 인류 유골 발견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템즈강 바닥에서 발견된 인간 유골이 방사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