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알고 보면 우리는 지금도 보이지 않는 플라스틱을 들이마시고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바다와 토양을 넘어, 대기 중에도 분포에 우리 호흡기에도 침투한다. 작은 입자일수록 폐 깊숙이 들어온다. 미세 플라스틱은 혈류를 통해 온몸을 순환할 수 있어 우리 몸 전신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또한 대기 중 미세 플라스틱은 바람을 타고 전 세계를 떠돌며 북극과 같은 외딴 지역에도 침착된다.
그렇다면 이 미세한 플라스틱 입자들은 어디서 발생해 어떻게 대기 중으로 퍼지는 걸까?
미세 플라스틱 근원지, 바다는 저장소일 뿐
그동안 과학계에서는 바다가 미세 플라스틱을 대기 중으로 퍼뜨리는 주요 경로 중 하나라고 생각해왔다. 강이나 하수를 통해 바다로 흘러든 미세 플라스틱이 파도, 바람, 해양 물보라 등에 의해 공기 중으로 다시 튀어 오를 수 있다는 가설이었다. 실제로 일부 역모델링 연구에서는 해양이 수억 톤 규모의 미세 플라스틱을 대기 중에 방출한다고 추정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독일 막스플랑크 기상연구소(MPI-M) 주도의 국제 연구팀은 이 가설에 의문을 던졌다. 이들은 전 세계 대기 흐름을 정밀하게 반영한 '대기 화학 수송 모델'을 사용해 해양 기여도를 과학적으로 검토했고, 그 결과는 놀라웠다. 해양에서 대기로 이동하는 미세 플라스틱 양은 추정치보다 훨씬 적으며, 오히려 바다는 공기 중 미세 플라스틱의 약 15%를 흡수하는 '저장소'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미세 플라스틱은 주로 육상에서 발생해 대기로 유입된다. 합성 섬유 의류에서 떨어지는 미세 섬유, 자동차 타이어 마모 분진, 산업 공정 등에서 배출된 입자들이 도심과 육지를 통해 공기 중으로 퍼져나간다.
대기 중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원(파란색)과 흡수원(주황색). [자료=npj Climate and Atmospheric Science (2025), DOI: 10.1038/s41612-025-00914-3]
미세 플라스틱의 이동, 작을수록 멀리간다
입자의 크기도 중요한 변수다. 상대적으로 큰 미세 플라스틱 입자들은 무게 때문에 공기 중에서 빠르게 가라앉아, 발생지 인근에 침착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아주 작은 입자들은 공기 중에 최대 1년까지 머물 수 있으며, 이들은 바람을 타고 대륙과 해양을 넘나들며 수천 킬로미터를 이동한다.
실제로 연구팀의 모델링 결과에 따르면, 유럽이나 북미에서 발생한 미세 플라스틱 입자들이 북극에까지 도달해 눈과 얼음 위에 침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지구적 오염 문제임을 분명히 보여준다.
타이어는 합성고무와 플라스틱 계열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행 중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미세한 고무 분진이 떨어져 나온다. 이는 미세 플라스틱 성분으로 대기와 환경으로 퍼지는 주요 오염원이 된다.
미세 플라스틱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WHO 및 ECHA(유럽화학물질청) 자료에 따르면 지름 수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 플라스틱 입자는 폐포 깊숙이 침투할 수 있으며, 일부는 혈류를 통해 체내를 순환할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인체 혈액, 폐 조직, 태반, 심지어 심혈관계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된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소화기계로 들어간 미세 플라스틱은 장내 미생물군의 균형을 교란시키거나, 만성 염증을 유발한다. 연구 결과 플라스틱 입자가 세포막에 직접적인 손상을 일으키거나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세포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확인됐다. 현재까지 인체 건강에 대한 장기적·직접적인 영향은 여전히 연구 진행 중이며, 축적된 노출이 어떤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인과관계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효과적인 대책은 육지에서의 차단
이번 연구는 미세 플라스틱 저감 전략의 방향을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그동안 바다를 주범으로 생각했던 인식에서 벗어나, 실제로 배출의 시작점인 육상에서의 오염원을 차단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세탁 시 발생하는 섬유 미세먼지, 도로 위 차량 타이어 마모, 플라스틱 가공 산업에서 나오는 입자 등을 통제하는 것이 가장 직접적인 대응이다. 이와 함께 각국의 환경 정책은 미세 플라스틱의 공기 중 유입을 막기 위한 규제와 기술 개발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
HMS 드레드노트, 영국 차세대 전략 핵잠수함 건조 돌입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영국 해군의 차세대 전략 핵잠수함 HMS 드레드노트가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피어엑스, 우주탐사 임무 본격 수행한다 (0) | 2025.04.10 |
---|---|
거짓말을 하면 왜 얼굴이 빨개질까? (0) | 2025.04.10 |
HMS 드레드노트, 영국 차세대 전략 핵잠수함 건조 돌입 (0) | 2025.04.09 |
햇살이 우리 몸과 정신에 미치는 놀라운 영향 (0) | 2025.04.09 |
"외계인과 통화를 하고 싶다면, 이 번호를 누르세요"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