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2/19 글 목록

2025/02/19 15

UFO와 UAP 연구는 왜 중요한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UFO(unidentified flying object)와 UAP(unidentified aerial phenomena)는 비슷하지만 약간 차이가 있다. UFO는 ‘미확인 비행체’라 하고, UAP는 ‘미확인 공중 현상’이라 한다. 즉 UFO는 말 그대로 하늘에서 목격되는 어떤 미지의 비행 물체를 뜻하고, UAP는 대기층에서 나타나는 신비한 어떤 광경을 의미한다.​‘미확인 비행체’라는 이름이 붙게 된 원인은, 이상한 형체와 움직임을 보이는 그들이 목격 현장에서 어떤 물체가 어떤 이유로 그렇게 보였는지 확인되거나 설명이..

과학 상식 2025.02.19

오나니(onanism, onania, 자위, 수음, 성교중절)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오나니즘은 자위행위로서 유태교에서 유래된 명칭이다. 유태교에서는 혼외성교를 죄악시하고 있으며 자위행위(수음, masturvation)을 오나니즘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오난(Onan)은 성경의 창세기에 나오는 인물인데 이 사람은 황무지(질외부)에 씨(정자)를 뿌리는 사람이었다. 고대유태인은 여자의 질 밖에 사정하는 것을 죄악시하였다고 한다.      주머니 속 핫팩, 어떻게 오랫동안 열을 낼까?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과학 상식 2025.02.19

주머니 속 핫팩, 어떻게 오랫동안 열을 낼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온열 찜질기는 추운 겨울날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고마운 발명품이다. 그중에서도 비닐 주머니로 만든 핫팩은 간단한 구조로도 장시간 열을 유지할 수 있어 겨울철 인기를 끌고 있다. 작고 평범해 보이는 이 주머니는 사실 물리학과 화학의 흥미로운 원리를 담고 있다.    금속조각 '똑딱' 하면 화학 반응 일어나 핫팩 속에는 물처럼 보이는 액체와 함께 작은 금속조각이 들어 있다. 이 금속조각을 굽히거나 충격을 주면 내부의 액체가 빠르게 고체로 변하면서 열을 방출한다. 이 과정은 단순히 물질 상태가 변하는 것을 넘어선 화학 반..

과학 상식 2025.02.19

'썩은 내' 암모니아의 비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길을 걷다 분뇨 냄새나 썩은 음식 냄새를 맡으면 본능적으로 얼굴이 찌푸려진다. 그중에서도 강하게 톡 쏘는 느낌 냄새가 있으니 바로 암모니아다. 사람 입장에서는 가장 불쾌한 냄새 중 하나이지만, 사실 암모니아는 우리 삶과 자연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화학물질이다. 이 불쾌한 냄새의 정체와 그 역할은 무엇인지 알아봤다.    질소와 수소가 만든 결합 가스 암모니아는 공기 중의 질소(N)와 수소(H)가 결합해 만들어진 기체(NH3)로, ‘암모니아 가스’라고도 불린다. 물에 잘 녹는 성질 덕에 암모니아가 녹아 있는 물을..

과학 상식 2025.02.19

인간과 생물계의 분류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인간과 생물계의 분류지구상에는 수백만 종의 동물이 살고 있다. ‘호모 사피엔스’는 우리 인간 종의 학명으로, ‘슬기로운 사람’이라는 뜻이다. 생물 분류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종이다. 종이란 공통의 유전체(遺傳體, genome)를 공유하는 개체들의 집단이며 다른 종의 집단과는 원칙적으로 생식이 불가능하다. 다른 종간에 간혹 생식이 이루어지더라도 이렇게 태어난 잡종은 말과 당나귀 사이에서 태어난 노새처럼 번식 능력이 없다. 생명의 분류는 너무도 복잡하다. 좀 쉽게 정리하여 현대 생물학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인간은 진핵생..

과학 상식 2025.02.19

가장 목이 길었던 공룡들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많은 먹이를 쉽게 찾아먹는 긴 목  현존(現存)하는 동물 중에 목이 가장 긴 것은 기린이다. 기린의 조상은 2,500-2,000만 년 전에 나타났고, 지금의 기린은 약 900만 년 전에 진화되어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지구상에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 9종의 기린이 살고 있으나, 대부분 멸종 위기에 있다.​기린 중에서 최 장다리 기록(記錄)은 5.88m(평균 5m 정도)이고, 몸무게는 1,192kg이었다. 기린의 목 길이는 2-2.4m이다. 그들은 목만 아니라 다리도 길어 높은 나무의 잎을 쉽게 따먹..

과학 상식 2025.02.19

아원자와 콰크(쿼크)란 무엇인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원자에 대해 배우기 시작하면, 원자를 구성하는 수많은 입자들의 이름이 나와 어리둥절하게 한다. 그 중에 자주 등장하는 아원자(亞原子 subatomic)와 콰크(quark)의 의미를 생각해본다. quark의 발음기호를 보면 ‘콰크’로 표기하는 것이 옳아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왜 ‘쿼크’라고 표기하는지 그 이유를 저자는 모른다. 양자(量子 quantum)의 발음인 퀀텀과 관계가 있을까? ​원자의 핵은 중성자, 양성자, 전자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양성자와 중성자를 연구한 과학자들은 그들이 더 작은 입자로 구성되어 있음..

과학 상식 2025.02.19

물리적 변화와 화학적 변화는 어떻게 다른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물리적 변화, 화학적 변화라는 두 용어는 과학만 아니라 사회적 언어로도 자주 쓰인다. 일반적으로 물리적 변화는 ‘외형은 변하더라도 본질은 그대로인 것을 말하고, 화학적 변화는 형태는 그대로 있어도 성질이 다른 물질로 변하는 것’이라고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선반에 놓아둔 사과가 썩었다면 그것은 어떤 변화인가? 물리적 변화액체인 물은 온도의 조건에 따라 고체상태인 얼음으로, 또 기체인 수증기로 형태가 변한다. 그러나 녹거나 식으면 다시 액체의 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런 변화가 일어날 때 물은 형태만 아니라 부피까지..

과학 상식 2025.02.19

LED, OLED, QLED···무엇이 어떻게 다를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전기 조명은 인류 역사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지금이야 스위치 하나로 어둠을 밝히는 일이 당연하지만 150년 전만 해도 나무, 기름, 양초 같은 원시적인 방식에 의존해야 했다. 전기의 발견 이후 과학자들은 전기의 힘으로 열과 빛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연구했고, 그 결과 백열전구, 형광등, LED로 이어지는 조명 기술의 혁신이 시작됐다.    조명과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자주 언급되는 LED, OLED, QLED. 이름도 비슷하고 차이점을 알기가 힘들다. 이 세 가지 조명은 각각 어떻게 다르고 어디에 쓰이는 것일까..

과학 상식 2025.02.19

포화지방이 많은 음식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한국인의 경우 일반적인 식사를 한다고 가정하면 포화지방산 섭취 위험성은 높지 않다. 아직도 한국인 주류는 대개 채식 위주로 육류 섭취량이 서구 대비 낮다. 따라서 동물성 포화지방 섭취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다. 2008년~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타난 바에 의하면 역시 예상대로 젊은층과 소아 청소년에서 포화지방 섭취가 높지만 여전히 기준치(7%) 아래이며 노인층에서는 지방 섭취 자체가 매우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오히려 노령층에서는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다른 영양소 섭취를 권장할 필요가 있다.    ..

과학 상식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