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2/17 글 목록

2025/02/17 14

음악으로 우울증뿐 아니라 고혈압, 위장병도 치료한다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연히 듣게 된 노래 한 곡으로 기분이 고조되거나 감동을 받은 적이 있는가? 음악은 하나의 가락을 넘어 마음을 어루만지고, 감정의 균형을 되찾게 하는 또 다른 언어이기도 하다. 이같은 음악의 치유 효과가 일본에서는 체계적으로 쓰이고 있어 눈길을 끈다. ​호시 게이코의 책 에 따르면 음악요법은 정신건강 치료의 한 축으로, 예술요법의 한 갈래다. 음악요법은 크게 음악을 듣는 ‘수용적 요법’과 직접 악기를 연주하거나 노래를 부르는 ‘능동적 요법’으로 나뉜다. 우울증 환자는 치료사의 지도 아래 감정을 자극하는 음악을 듣거나..

과학 상식 2025.02.17

우주에 새겨진 긴 꼬리, 정체는 뭘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붙박이별(항성·恒星)에서 방출된 항성풍(별의 외곽 대기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입자의 흐름)이 행성을 스치며 남긴 흔적이 관측됐다.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인 WASP-69 b의 대기는 항성풍의 영향을 받아 길게 늘어진 가스 꼬리를 형성하며, 별과 행성 간의 독특한 상호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NASA는 이 모습을 최근 미국 천문학회(American Astronomical Society)의 공식 학술지 Astrophysical Journal (ApJ)에 발표된 논문을 통해 공개했다.​뜨거운 목성의 대기, 우주에 꼬리를 ..

과학 상식 2025.02.17

삼투, 역삼투, 해수 담수화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삼투와 반투성막​지렁이를 바닷물 속에 넣으면 어떻게 될까? 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렁이의 체내 염분 농도보다 높다. 그러므로 지렁이 몸속의 수분이 피부를 통과하여 해수 속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지렁이는 탈수 상태가 되어 생존하지 못하게 된다. ​해수 속의 소금 성분은 지렁이 몸속으로 들어가지(삼투滲透 osmosis) 못하는가?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소금의 분자가 물 분자보다 크기 때문에 지렁이의 세포막에 있는 미세한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배추를 소금물에 넣으면 왜 절여지나?배추를 구성하는 세포 내부의..

과학 상식 2025.02.17

심해에 사는 신종 유령상어 발견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캘리포니아 대학 ‘태평양 상어 연구소’의 소장 에버트(David Ebert) 박사 팀은 타일랜드의 안다만해 수심 500m 되는 곳에서 어둠 속의 요괴처럼 보이는 신종 ‘유령상어’를 발견하여, 그에 대한 기록을 2024년 3월 6일 발행된 학술지 Raffles Bulletin of Zoology>에 발표했다. 상어라고 하면 일반인들은 영화 에 등장한 백상아리 모습을 먼저 연상한다. 상어류는 약 4억 2,000만 년 전 가오리 종류와 함께 가장 먼저 나타난 연골을 가진 고대 어류이다. 상어 종류는 길이가 17cm 정..

과학 상식 2025.02.17

흰개미의 고층 개미탑 건축술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곤충학자들은 일부 곤충이 얼마나 훌륭한 건축가인지 잘 알고 있다. 미장이벌은 진흙으로 파이프 오르간처럼 생긴 집을 짓고, 호리병벌은 호리병처럼 생긴 흙집을 지어 나무에 붙여 두고 그 안에 알은 낳아 키운다. 지구상에 사는 수만 종의 벌은 종에 따라 각기 다른 고유 건축 기술을 가지고 있다. * 호리병벌집몸길이 25~30㎜인 야생 호리병벌이 흙과 자신의 침으로 지은 새끼를 안전하게 키우는 건축물이다. 흰개미라는 곤충의 건축술은 오래 전부터 곤충학자들에게 흥미로운 연구 대상이었다. 지구상에는 약 2,000종의 흰..

과학 상식 2025.02.17

제논의 역설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그리스의 철학자인 제논(Zeno 약 BC. 490 ~ 430, Zenon으로도 표기)의 이름을 딴 ‘제논의 역설’(逆說 Zeno’s Paradoxes)은 물리학이나 수학을 공부할 때 자주 등장하는 억지 논리이다. 그의 여러 가지 역설 중에 ‘아킬레스와 거북’, ‘2분(二分) 역설’, 그리고 ‘화살의 역설’ 3가지가 유명하다. ​아킬레스와 거북의 역설(Paradox of Achilles and the tortoise) ​아킬레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가장 빨리 달리는 영웅의 이름이다. 거북을 100m 앞에 두고 아킬..

과학 상식 2025.02.17

SNS 디톡스를 하면 어떤 효과가 일어날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하루 종일 비스듬히 누워 스마트폰만 들여다본 적이 있는가? 달콤한 순간의 탐닉이 긴 허무함으로 남은 경험은 누구나 한 번쯤 있을 것이다. 스크롤을 멈추고 잠시 디지털 세상에서 벗어나면 뇌는 어떻게 반응할까?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최근 소셜 미디어(SNS) 디톡스 효과에 대해 보도에 눈길을 끌었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미국에서는 '소셜 미디어 디톡스'를 검색하는 사람이 60%나 증가해 SNS 중독을 탈피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소셜 미디어가 뇌에 미치는 영향소셜 미디어는 뇌의 보상 시스템을 이용해 중독성을 유발한..

과학 상식 2025.02.17

우주와 지구를 이루는 원소는 어떤 일을 할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숨 쉬는 공기, 그리고 발밑을 딛고 있는 대지까지 모든 것이 원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우주에서 가장 많은 원소와 지구에서 가장 많은 원소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은 새삼 흥미롭다.우주에서는 수소와 헬륨이, 지구에서는 산소와 규소가 지배적이다. 이러한 원소들은 생명과 문명, 그리고 우리의 미래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 우주의 기본 재료, 수소와 헬륨우주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는 수소다. 우주 전체 질량의 약 75%를 차지하는 수소는 별의 연료로 사용되며, 핵융합 반응을 통해 헬륨을 생성한다. 헬륨은 약 2..

과학 상식 2025.02.17

영장류, 원숭이, 유인원, 인간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영장류, 원숭이, 유인원, 인간 영장류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고 한다. 엄지손가락으로 다른 손가락을 마주하게 할 수 있다는 점, 큰 뇌를 가진 점, 엄지발톱이 평평한 점, 보통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배는 점, 수컷의 고환이 흔들린다는 점이다. 영장류는 원숭이, 유인원 및 인간으로 진화되었는데, 원숭이와 유인원의 결정적인 차이는 꼬리의 존재다. 꼬리가 있다면 원숭이, 꼬리가 없다면 유인원으로 분류한다. 오늘날 고생물학자들은 사람 속(hominine)과 원숭이(ape)의 차이는 직립보행을 하느냐의 여부라는데 의견..

과학 상식 2025.02.17

핵분열과 핵융합은 어떻게 다를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에너지 위기와 기후 변화가 점점 더 심각해지면서 인류는 새로운 에너지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원자핵을 이용한 두 가지 기술, 핵분열과 핵융합이 있다. 하나는 이미 우리 삶의 일부가 된 현실적인 에너지 기술이고, 다른 하나는 미래를 열기 위한 가능성에 도전하는 기술이다.​핵분열, 현재를 책임지는 에너지핵분열은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같은 무거운 원자핵이 쪼개지며 에너지를 방출하는 반응이다. 주로 우라늄-235나 플루토늄-239이 중성자를 흡수하며 불안정해진 뒤 두 개의 더 가벼운 원자핵으로 쪼개지는 반응이다...

과학 상식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