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글 목록 (14 Page)

과학 상식 626

대만 해저서 발견된 턱뼈, 고대 인류 데니소바인 가능성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2008년, 대만 해협에서 조업 중이던 어선의 그물에 사람의 턱뼈로 보이는 화석이 걸려 올라왔다. 이후 골동품 상점에 판매되었다가 수집가를 거쳐 박물관에 기증된 이 턱뼈는, 처음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유골로 분류됐다. 최근 분석 결과, 이 화석이 멸종한 고대 인류인 데니소바인으로 추정돼 눈길을 끈다.​고대 인류 데니소바인 흔적, 동아시아 해역에서 첫 포착데니소바인은 2010년 처음 명명된 고대 인류 집단으로,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지금까지 이들의 화석은 시베리아 데니소바 동굴, 티베트 고원, 라오스..

과학 상식 2025.04.21

삼중수소와 헬륨-3은 어떤 원소인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인공 동위원소인 삼중수소와헬륨-3의 발견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물리학자 마르커스 올리팬트(Marcus Oliphant 1901-2000)는 최초로 핵융합(核融合 nuclear fusion) 반응 실험에 성공했으며, 원자탄 개발 계획에서 주역을 담당한 과학자이다. 또한 그는 헬륨의 동위원소인 헬륨-3(helion)과, 수소의 동위원소인 삼중수소(tritium)를 발견한 과학자이다. 의학을 공부하던 그는 1925년에 뉴질랜드의 물리학자 러더퍼드(Ernest Rutherford 1871-1937, 러더퍼더의 원자모델 참조)의 강연을 듣자, ..

과학 상식 2025.04.17

백색왜성의 질량 '찬드라세카르 한계'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백색 왜성의 최대 질량 찬드라세카르 한계 천체 물리학자들은 수많은 별들을 관찰 비교하여 간접적인 방법으로 별의 성질과 진화 과정을 짐작한다. 태양 가까이 있는 별들의 약 6%는 ‘백색 왜성(白色矮星 white dwarf)이라는 이름을 가진 별들이다. 태양은 46억 년 전에 생겨났다. 앞으로 다시 그 정도의 세월이 지나면, 태양은 가지고 있던 핵연료(수소)를 다 소모하고, 지구 크기 정도로 수축하여 매우 작은 별인 ‘백색 왜성'이 될 것이라고 천체 과학자들은 말한다. 백색 왜성은 열에너지를 대량 방출하는 매우 뜨거운 흰색의 작은 별들의 ..

과학 상식 2025.04.17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괴델(Gödel)의 불완전성 정리" 이성의 한계"의 발견 20세기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성취의 하나로 평가되는 ‘불완전성의 정리’(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를 발표한 쿠르트 괴델(Kurt Gödel, 1906-1978)은 오스트리아계 미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이다. 그는 비엔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1년 후인 1931년에 이 유명한 논문을 발표했다. 그 내용은 모순이 없는 완벽한 수학 연구가 불가능하다는 논리를 수학으로 펼친 것이다. 그의 논리는 수학자이며 컴퓨터 과학자인 존 폰 노이만(John von Ne..

과학 상식 2025.04.17

녹조와 적조의 대량 발생 원인과 대책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녹조와 적조가 대규모 발생하는 시기, 원인, 대책 해마다 여름이 오면 녹조와 적조 발생이 큰 문제가 된다. 그들의 발생 원인은 비슷하고, 각 현상을 일으키는 하등식물의 종류만 다르다. 다음은 녹조와 적조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의문과 그에 대한 답을 정리한 것이다.​* 녹조는 어떤 식물인가?* 녹조는 언제 어떤 곳에 잘 나타나는가?* 녹조(남조)는 어떤 조건일 때 잘 발생하는가?* 대량 증식한 녹조는 물의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녹조 속에 죽어 있는 물고기는 녹조 때문일까?* 녹조 발생에 대한 대비책은?​* 바다의 적조는 왜, 언제..

과학 상식 2025.04.17

디랙의 단자극 개념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자극이 하나뿐인 단자극(單磁極)에 대한디랙(Dirac)의 가상 개념​ 자석은 N극과 S극 양극(兩極)을 모두 가진다. 막대자석의 중간을 자른다면, 토막이 난 작은 자석은 S나 N의 단자극(單磁極 monopole)이 되지 않고, 각각 N과 S극을 가진 2개의 작은 자석이 될 뿐이다. 그리고 아무리 작게 토막을 내더라도 역시 N, S극을 가진 더 작은 자석이 된다.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인 폴 디랙(Paul Dirac 1902-1984)은 반물질에 대한 이론(반물질 이론 참조)을 세운 뒤, 전자와 자성(磁性)을 연관 지어 N극이나 S극 하나만 ..

과학 상식 2025.04.17

폴링의 화학결합 이론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화학결합에 대한 폴링(Pauling)의 이론 화합물은 쉽게 변화되지 않도록 구성 원소들이 화학적으로 단단히 결합하고 있는데, 이를 '화학결합'(chemical bond)이라 한다 미국의 화학자 라이너스 폴링(Linus Pauling 1901-1994)은 화학 결합을 양자역학적 이론으로 1931년에 처음 설명했다. 그의 화학결합 이론은 현대 화학 발전의 중요한 길잡이가 되었다. 폴링은 화합물의 원자들은 강한 화학결합을 하기 위해 전자의 궤도 형태를 바꾸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온 결합’(ionic bonding)과 공유결합(covale..

과학 상식 2025.04.17

머시볼, 목성 대기의 수직 구조 해석을 바꾸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가스 행성 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이지만, 그 내부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는 여전히 많은 부분이 미지로 남아 있다. 대기 상층은 끊임없이 회전하는 소용돌이와 띠 무늬로 덮여 있고, 이 역동적인 겉모습 아래에는 상상보다 복잡한 기상 현상이 감춰져 있다.​최근 UC버클리 연구진은 목성 대기 깊이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기상 현상을 ‘머시볼(mushball)’이라는 복합 얼음 구조로 설명했다. 암모니아와 물이 결합해 형성된 이 구조는, 우박과는 다른 방식으로 대기 성분을 아래로 운반하며 수직 분리와 암모니아 고갈을 유발한다. ​머시볼(mu..

과학 상식 2025.04.17

3D 프린팅 인공 피부, 동물실험 대체할 차세대 실험 플랫폼으로 주목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의약품과 화장품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많은 동물들이 오랜 기간 실험에 동원돼 왔다. 토끼의 눈에 자극 물질을 주입하거나, 설치류 피부에 반복적으로 화학제품을 바르는 방식은 비윤리적이라는 지적을 받아왔으며, 이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동물실험을 규제하거나 금지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에서 실제 인간 세포를 활용한 3D 프린팅 인공 피부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인체 피부 구조를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어 동물실험의 대안으로서 과학적 신뢰성과 생체 유사성을 모두 갖췄다는 평가다.​최근 오스트리아 그라츠 공과대학교와 인도 벨로르 공과대학교 공동..

과학 상식 2025.04.17

우주가 정말 돌고 있다면? 허블 텐션에 대한 새로운 접근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현대 우주론의 핵심 가정 중 하나는, 우주는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팽창하고 있으며 이 팽창 속도는 정밀하게 측정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까지 진행된 다양한 관측 결과들은 이 가정을 흔들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허블 텐션(Hubble tension)’이다.​허블 텐션은 우주의 팽창률을 측정하는 두 방법이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제공하면서 생겨난 이론적 충돌이다. 한쪽은 초신성과 은하 관측을 통해 최근 수십억 년 동안의 팽창 속도를 측정하고, 다른 한쪽은 우주배경복사(CMB)를 바탕으로 초기 우주의 팽창률을 추정한다. 이론적으..

과학 상식 2025.04.17